-
-
땅따먹기 ㅣ 스콜라 창작 그림책 86
김지영 지음, 남형식 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24년 8월
평점 :
놀이는 순기능을 많이 갖고 있다. 이긴 자가 가져야 할 매너, 패배로부터 얻는 교훈, 규칙의 중요성, 어울림의 가치..... 하지만 이런 경지에 도달하려면 수없이 많은 시간 동안 놀면서 부딪치고, 목에 핏대를 세워가며 싸우는 갈등이 수반되어야 한다. 몸으로 체득하는 것이기에 절대적 시간의 총량을 뛰어넘기란 쉽지 않다.
어느 날 작대기 하나 들고 나타나 땅에 선을 그으며 "누구 나랑 놀래? 여기여기 붙어라!"를 외치는 '아이'. 반달가슴곰, 여우, 산양이 아이와 놀기로 한다. 놀이 종목은 바로 땅따먹기! 어렸을 때 손뼘으로 집을 그리고, 납작한 돌멩이를 손가락으로 튕겨 세 번 만에 다시 집으로 돌아오면 방금 지나온 길을 내 땅으로 만들 수 있는 바로 그 땅따먹기다. 물론 내가 아는 룰과는 약간 다르지만 보드게임이란 것은 로컬룰이 작용되는 것이니 작가가 경험한 땅따먹기는 이럴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든다. 추억의 한 페이지를 꺼내며 흐뭇하다 '아이'의 반칙이 눈에 띈다. 반칙은 계속 이어지고, 이들이 밟고 있는 공간이 무참히 찢어지기 시작한다. 이기고 지고에 크게 관심이 없고, 날아가는 나비나 파랑새에 더 관심이 많은 산양이 가장 먼저 탈락하고, 손이 두툼한 반달가슴곰도 '아이'의 계략에 마음의 상처를 입고 만다.
우리 주위에서 이 책의 '아이'같은 아이를 흔히 볼 수 있다. 고집이 쎄고, 자기 마음대로 하려고 하고, 반칙을 했으면서 안 했다고 우기고, 상대방의 마음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자기 기분이 가장 중요한 아이. 이 아이의 행동으로 이들의 세상이 어떻게 처참하게 변해가는지 느낄 수 있도록 그림을 인상 깊게 그려냈다. '아이'의 승리가 진정한 승리가 아님을 결국 주변엔 아무도 남지 않음을 잘 알려준다.
책엔 반전이 남아있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아이'외에도 그런 '아이'를 너무나 쉽게 용서하고 포용하는 반달가슴곰 같은 아이, 여우 같은 아이, 산양 같은 아이도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음을 알려준다. '나랑 놀래?'가 '우리 같이 놀자'로 바뀌는 마법의 그림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