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책 읽는 나는, 특수학교 교사입니다 장애공감 2080
공진하 지음 / 한울림스페셜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통합학급 학생을 만난다. 통합학급 학생은 국어와 수학을 특수학급에 가서 배운다. 어떤 아이들은 완전통합학급 대상자로 분류되어 모든 교과를 같은 반 아이들과 함께 배우기도 한다. 그런데 가르쳐보니 난감하다. 솔직히 어렵다. 해당 학년에서 요구하는 성취기준에 도달하기 어려운 아이이기에 특수교육대상자다. 국어, 수학은 특수학급에서 배운다고 하더라도 학년이 올라가면 사회, 과학을 비롯한 다른 교과는 다른 아이들과 함께 배운다. 교사도 어렵지만, 아이는 더 어렵다. 모든 수업을 특수학생에게 맞출 수도 없고, 모든 수업을 투트랙으로 진행할 수도 없다. 박자 치기를 힘들어 하니 악기 연주는 더 어렵고, 다른 아이들은 높은 뜀틀을 뛸 때 낮은 뜀틀을 뛰니 효능감을 느끼도 어렵다. 그러다 느 날 가르쳤던 아이가 고학년이 되어 결국 특수학교로 갔다는 얘기를 듣고 '그 아이를 위해 다행인건가' 싶다가 '통합교육의 한계구나' 씁쓸함에 속이 쓰리다. 


"우리가 보는 모든 것은 진실이 아니라 관점이다"라는 말이 있다. 전담교사로 만난 학생, 옆 반 교사로 어쩌다 한두 시간 수업하는 학생, 학교 주무를 맡으면서 만나는 특수교사, 특수교육대상자의 부모를 통해 은연중 형성된 관점으로 교육은 만인에게 평등하다는 진실, 특수교육대상자도 충분한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진실을 제대로 보고있지 못했다.  


어느 날 특수교사로부터 특수학생에 대한 강의를 듣고, 어떻게 환경을 만들어줘야 하는지 배우며 시각을 넓히긴 했지만, 여전히 부족하다. 매번 만나는 것이 아니다보니 막상 만나면 온갖 시행착오도 겪을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며 내가 가진 관점의 위험성과 나의 한계를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다. 안목을 키울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