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록 불편한 쇼핑 이토록 불편한 4
오승현 지음, 순미 그림 / 그레이트BOOKS(그레이트북스)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카페에서 텀블러를 사용하면 수백 원을 깎아주고, 비닐봉지는 마트에서 쓸 수 없고, 종이 봉투를 구입하는데 돈을 내야한다는 내용은 모르는 사람이 없게 되었다. 얼마 전엔 에베레스트 얼음이 녹으면서 그동안 등산객들이 버리고 간 쓰레기가 남쳐난다는 소식을 들었고, 남극에 풀밭이 만들어지고 있다며 지구온난화의 위험을 강조하고 있고, 비가 쏟아지고 있는 요즘은 연일 역대 최고치의 강수량을 기록할 것이라는 예측과 함께 하루 수십통의 안전문자를 받고 있다. 정치에 큰 관심을 갖지 않아도 우리나라도 탄소 저감 국제 협약을 맺었지만 국제 기준에 한참 못 미치거나 인정되지 않는 에너지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는 것, 그리고 목표치까지 해내야 하는 날이 이제 정말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도 들어봤을 것이다. 


이 책은 아이들 눈높이에 맞춰 잘 쓰여졌다. 왜 물건을 계속 사게 되는지 생각하고, 행동을 멈추지 않으면 어떤 일이 벌어지게 될지 알려준다. 1장 제목인 '죄송합니다만 오늘은 아무것도 살 수 없습니다'와 같은 날이 정말 온다면 지구는 이미 월-E 영화 속 장면처럼 고철과 쓰레기가 넘쳐나 버려진 행성이 되었거나 아포칼립스를 맞았겠지만 말이다. 아무튼 책에서 2053년이라고 꽤나 긴(?) 시간을 설정한 것은, 2050년 완전한 탄소중립을 실현하지 못해 결국 쇼핑금지법이 생겨날 수 밖에 없는 세상이 되었다는 설정에서 출발 한 것 같다. 작가도 지금 상태로는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겠지.


당연한 얘기지만 이 책도 결국 개인의 노력에 기댈 수 밖에 없는 현실을 반영했다. 국가 차원에서 소비를 줄이게 하는 것은 기업의 이윤을 줄이는 정책을 펼치게 되는 것이라 녹0당과 같은 특정 정당이 집권하기 전엔 일어나기 어려운 일이기에 일단 개인의 행동 변화를 촉구하는 내용을 담은 거겠지. 아나바다, 비건, 당근 등은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이지만, 이메일을 삭제하는 것이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는 정보는 새롭다. 눈에 보이지 않는 데이터를 없애는 것만으로도 탄소를 줄일 수 있다니!!   


아주 조금의 아쉬움을 보탠다. 버려지는 쓰레기의 양을 그래프로 시각화(19,738만톤이 얼마나 되는지 실제 건물(면적=축구장 몇 개, 높이=63빌딩 보다 oo)) 해주면 더 경각심을 줄 수 있을 것 같다. 


"당신이 버린 쓰레기를 알려 주면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말해 줄 수 있어요."라는 작가의 말이 오래도록 울림으로 남을 것 같다. 오늘 나는 어떤 쓰레기를 버릴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