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려움과 떨림
아멜리 노통브 지음, 전미연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아멜리 노통의 자전적 소설. 매우 지적인 소설이다.
하지만 내 취향과는 거리가 좀 있다. 나는 아무래도 에쿠니 가오리식의 '감각적인' 소설을 더 좋아한다. 물론 뒤렌마트식의 위트와 재기발람함도 사랑한다. 같은 재기발랄과 기막힌 반전이라도 나는 노통보다 뒤렌마트식이 더 좋다.

노통의 등단이 문단의 신드롬과 같은 현상이라며 평단의 열기가 뜨겁지만 하루키가 그랬고 그 이전에 시드니 셜던이 그랬던 것처럼 지나고 나면 유행지난 T셔츠처럼 초라해질거다. 그 시대의 문화를 유추해 볼 수 있는 작품은 되되 세기의 명작, 불후의 작품이 될지는 의문이다.

지금 내가 질투를 하고 있나? 아니다. 이건 정말 가슴을 울리고 온몸을 전율시키는 작품을 만났을때의 미치고 팔짝 뛸것같은 질투심이 아니다. 내 코드와 맞지 않아서 일까. 오히려 노통에 열광하는 사람들이 좀 이해가 안될 뿐. 다만 그녀의 이력과 환경이 부럽고 자칭 글쓰기 광이라하는 그녀의 이색적인 소재와 사고의 독특함은 그녀의 환경이 만들었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여기에 그녀의 타고난 몽상가적 기질이 더해져 '노통'이 만들어 진게 아닐까. 유년시절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느껴진다. 생후 5년 동안의 기억이 꿈만 같아서 그 시절의 그 아련한 향수로 인해 일본을 제 2의 고향으로 여기며 동경해 마지 않는 노통이 이 책에서 일본을 조롱하고 있는 부분은 비아냥이나 경멸이 아닌 자국에 대한 연민이나 따듯한 질책, 또는 관망이라는 느낌이 든다.

외교관인 노통의 아버지가 일본이 아닌 한국의 대사관을 배정 받았더라면 노통은 한국을 사랑했을까? 한국을 제2의 고향으로 여기며 한국에 동화되기를 갈망했을까. 그러면에서 우리는 운이 없었고 일본은 운이 좋았다. 아멜리 노통이라는 발군의 인재를 사로잡다니. 그런데 노통은 독도를 두고 뭐라 부를까? 독도? 다케시마? 과연 그 섬을 두고 뭐라 이름 부를지 궁금하다.

노통은 자신의 유년기를 사로잡은 일본에 깊이 매료되어 일본에 남겠다고 결심한다. 그리고 일본에 동화되기 위해 일본 굴지의 무역회사인 유미모토사에 입사한다. 유미모토사는 위계질서가 뚜렷하고 실용보다 형식을 추구하는 일본의 전형적인 기업이다.

그곳에서 노통은 자신의 바로 직속 상관인 모리상의 지시를 받게 된다. 모리상은 사이토상의 지시를 받고 사이토 상은 오모치상의 지시를, 오모치상은 사장인 하네다상의 지시를 받는다. 이 피라미드 단계를 건너뛰어서는 안된다. 불만이나 의견을 말하고자 할때는 자신의 직속 상관에게 얘기해야하며 자신에게 주어진 일 이외의 다른 일에 능동적으로 혹은 자율적으로 참여해서는 안된다.

오직 주어진 업무와 내려오는 지시만이 있을 뿐이다. 할당된 업무가 없었던 노통은 부서마다 찾아다니며 달력을 넘겨준다던지 우편물을 챙겨준다던지의 소소한 일을 하며 기뿜을 느끼나 이마저도 상부의 허락이 없었다는 이유로 징계를 받는다.

그러던 중 유제품 부서의 덴시상을 만나서 노통의 고향인 벨기에 저지방 버터에 관련된 프로젝트 제의를 받고 성공적인 보고서를 작성하였으나 허락없이 수행한 업무로 인해 덴시와 노통은 상부의 징계를 받게 된다. 그리고 이를 밀고한 모리상과는 그동안의 우호적인 관계가 무너지고 원숙이 된다. 스물여덟의 모리상은 아름답고 능력있는 여자지만 야심이 커서 노통이 자신보다 잘되는 모습을 견디지 못하고 짓밟는 낙으로 산다.

그래서 노통이 소질없는 계산업무를 주고 자신의 능력의 한계를 인정하게 하거나 화장실 청소를 업무로 부여하는 등의 최악의 모욕을 준다. 그러나 노통은 일본의 사무라이 정신, 명예를 지키기 위해 1년의 계약기간을 채우고 유럽으로 돌아가 집필을 시작한다.

일본 특유의 문화와 사상, 병폐들이 잘 그려져 있다. 이 소설을 읽는 중 영화 ' 춤추는 대수사선'이 떠올랐다. 탁상공론을 하는 고위상부와 현장에서 발로 뛰는 경찰들의 대비를 보여주며 일본의 형식주의와 고지식한 위계질서를 통렬히 비웃는 장면 말이다.

그러나 자전 소설의 특징인 객관성 상실이 좀 거슬렸다. 자신의 실명이 거론되고 자신의 경험이 등장하는 만큼 주관적으로 흘러가지 않았나 싶다. 아무래도 '자전적' 이라는 말은 '픽션' 이라는 단어를 깜박깜박 잊혀지게 하기 때문이다.

때때로 낯선 단어들, 고어가 등장하기 했는데 처음엔 번역가의 나이를 의심했다. 이런 엣날말을 쓰다니 이 사람, 도대체 몇살이야? 그런데 알고 보니 문헌학광이라 자부하는 노통의 의도적 사용이었음이 역자후기에서 밝혀졌다. 역자도 그런 고어들 때문에 번역에 애를 많이 먹었다고. 그런면에서 노통은 고전적이면서도 신세대적 감각이 탁월한 독특한 작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