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베르 인명사전
아멜리 노통브 지음, 김남주 옮김 / 문학세계사 / 200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몇편 읽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노통의 글쓰기에 질력이 난다. 어째서 노통은 소설을 소설답게 쓰지 않는지 모르겠다. 이게 자신의 글쓰기의 특징이라면 야 할 말없지만 내가 생각하는 소설의 정의와 그녀의 방식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내가 생각하는 소설이란 말 그대로 픽션이다. 작은 우주와도 같은 하나의 창조적 세계. 그래서 소설에 등장하는 지명과 인물이 실제로 있을 법하지만 실은 가상의 존재였다는 걸 알때는 배신감과 분노와 함께 그 작가에 대한 질투심이 솟구치는 걸 느낀다.

나를 이렇게 감쪽같이 속이다니. 그런 글을 쓰다니 대단해 라고. 하지만 그 반대의 경우, 자전적 소설은 딱 질색이다. 좋아하는 작가의 경우는 조금 용서가 되지만 대놓고 자전적 이야기를 하는 소설은 글쎄, 그 작품을 두고 소설이라고 말 할 수 있을까? 사건, 즉 이야기로 보여주기가 아닌 설명 투의 서사 방식. 그것도 절제되지 못한 감정 과잉의 상태로 끌어가는 소설의 경우에도 짜증나기는 마찬가지다.

작가가 독자에게 자신의 세계관을 억지로 주입시키고 설득해내려고 하는 게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일으킨다. 아멜리의 경우도 유년시절에 대한 집착이 느껴진다. 이 소설도 ‘이토록 아름다운 세 살’의 유년기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동경의 연장선에 있다.

노통, 자신의 유년기가 그런 시절이었던 거 같다. 이래서 비슷한 내용은 두 번 다시 다른 소설에 인용해서는 안 된다. 그건 작가의 신뢰도 문제다. 취향은 어쩔 수 없지만 서도. 하지만 늘 유혹 받는 일이기도 하다. 소설가 소설에 대한 유혹을 뿌리치지 못하듯이.

노통의 저런 글쓰기(타당성 없이 무턱대고 찬미하고 자기 생각대로 끌고 나가기)가 언제까지 갈려는지 모르겠다. 아마도 얼마 안가 아멜리 신드롬은 쏙 들어갈 게다. 이 소설은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뭐에 대해 쓰려고 한 것인지 마지막 작위적 반전에서는 이 책을 안 사고 빌려보길 잘했다는 생각뿐이었다.

오, 노통. 이런 식의 글쓰기가 유럽에선 먹히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