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해져라 너구리 ㅣ 파랑새 사과문고 62
이상규 그림, 이미애 글 / 파랑새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엄마, 아빠 너구리와 행복하게 살아가는 너구리 4형제. 황소개구리를 다섯마리나 먹는 꿀꺽이, 이리저리 뒤집으며 까불까불 노는 까불이, 흰눈이의 꼬리별 꼬리같은 꼬리별, 몸도 약하고 별나게 흰 털을 가진 흰눈이는 참 행복한 너구리들입니다. 그러던 어느 날 '입산금지'였던 산에 사람들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행복은 끝이나려나 봅니다.
사냥개를 유인하던 아빠는 총에 맞아 죽게 되고, 엄마너구리는 차바퀴에 쓰러지고 맙니다. 어떻게든 살아남아 후손을 퍼뜨리는 훌륭한 너구리가 되기 위해 꿀꺽이와 까불이와 헤어지는 꼬리별과 흰눈이. 편안히 잠 잘곳도 쉴곳도 먹을 곳도 없는 도시의 인근 야산에서 어렵게 살아가게 되는 꼬리별과 흰눈이과 이들을 도와주는 폼생이와 초롱이
동물들이 이야기가 분명한 '행복해져라 너구리'속에서 우리 인간들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철조망을 빽빽하게 둘러쳐 놓아 숲을 우거지게 만든 모 그룹은 용하게 허가를 받아 대규모 골프장이며 위락시설을 짓는다고 합니다. 흰 너구리만 잡으면 돈 좀 만질 수 있다고 생각해 사냥개 한마리와 산속을 헤매는 엽총을 든 남자, 차에 치인 고라니를 구워 먹자고 말하는 아저씨들.
함께 살아가야 할 자연을 힘들게 하고 있는 우리 인간들은 동물원을 만들었습니다. 갈고리와 채찍으로 코끼리쇼를 만들고, 답답한 시멘트 우리 안에 지내게 만들고, 던져주는 고기를 받아먹는 호랑이를 만들었습니다.
동물원. 과연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동물원일까요?
하지만 보호를 받아야만 살아갈 수 있는 흰눈이는 짐이 되는 것보다 외로운 것이 나을 거라는 생각에 스스로 동물원을 찾아가고 다른 너구리들은 야생의 길을 선택합니다. 더이상 겨울잠을 자지 않는 너구리가 되어버린 흰눈이가 오길 바라는 봄은 어떤 봄일까요?
책장을 덮으며 많은 생각들을 하게 됩니다. 동물원이라는 곳에서도 그 안의 동물들에 대해서도 초등학교 1학년 아이와 다시 이야기를 해봐야겠습니다.
읽고나서 무언가 생각할 꺼리가 주어지는 이야기 저는 참 좋아합니다. 그 이야기속에서 아이의 생각이 커지길 바라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