뜻밖의 한국 - 전 세계가 놀란 한국식 모순 경영의 힘
유건재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 세계가 놀란 한국식 모순 경영의 힘"

"모순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키워드다!"

"한국인의 4가지 모순이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이유"

집단 vs. 개인 -> 주체적 개인으로 이뤄진 '우리'

개방 vs. 폐쇄 -> 열림과 닫힘의 유연한 공존

속도 vs. 장인정신 -> 뒷심 있는 '빨리빨리'

모방 vs. 개성 -> 다양성의 창조적 융합

며칠 전 인터넷 기사를 통해 블룸버그가 매달 집계하는 코로나 회복력 순위에서 1위를 기록했다는 걸 보게 되었다. 일제강점기와 전쟁을 거치고 황무지나 다름 없는 우리나라였는데.... 이제는 세계인들이 사용하는 반도체, 가전제품 뿐 아니라 누리호 발사 성공, 한식, 영화나 음악까지 ... 비록 경기침체는 어쩔수 없지만... 코로나 회복력 순위까지 좋다고 하니.. 가슴 한켠에서는 자랑스럽기도 하고 뿌듯하기도 하고 또 한편으로는 우리나라의 영향력이 더 넓어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렇다면 그렇게 못 살던 우리나라.. 이렇게까지 세계가 주목할 수 있었던 비결은 어떤 이유일까??

전 세계가 놀란 한국식 모순 경영의 힘!

"모순은 창과 방패라는 한자어의 의미처럼 두 가지 현상이 양립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하지만 발상의 전환만으로 둘 사이의 대립은 공통된 하나의 방향을 띠기도 한다. 이는 모순된 가치를 동시에 달성하는 '한국식 경영'의 본질이며, 전 세계가 한국을 주목하는 이유다"

'우리'를 강조하면서도 '개인'의 주체성을 잃지 않고 '빨리빨리'를 요구하면서도 '끈기' 있는 한국인! 한국인의 특성은 어떻게 성장 동력이 되었을까?

------------------

2002년 미국 경영학자 피터 드러커는 넥스트 소사이어티에서 이렇게 말했다

"기업가 정신을 가장 잘 실천하고 있는 나라는 미국이 아니라 한국이다."

영국의 경제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2011년 아시아의 새로운 모델 기어이라는 커버스토리에서 이렇게 적었다.

"삼성을 비롯한 한국 기업이 아시아의 새로운 모델로 부상하고 있지만 그 전략을 따라 하기는 쉽지 않다"

------------------- 프롤로그 중에서 p12~13


저자는 누구인가요?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한국의 문화와 혁신, 그리고 모순과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한국인의 특징이 기업 속에서 구현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 한국인에 대한 이해가 미래 한국 기업의 성공을 판가름할 중요한 단서라는 생각으로 꾸준히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차례

프롤로그1 미래 경영의 키워드 '모순'

프롤로그2 한국인, 출생의 비밀

PART1 한국식 모순 경영이란 무엇인가

PART2 문화 속에 담긴 한국의 경쟁력

PART3 기업이 맞이할 미래 경영의 변화

PART4 경영학으로 풀어본 진화된 모순

PART5 모순에 흔들리는 리더를 위한 제언

"빠르면서도 느긋한 한국인. '빨리빨리'와 '은근과 끈기'라는 상치되는 특성을 동시에 발현해온 한국인은 기다리는 마음을 갖고 있으면서도 시대의 요청에 따라 신속하게 실행하는 능력도 개발해왔다. 그리고 이런 두 가지 모순을 통해 산업화를 성공적으로 이뤄냈다"p71

"결국 한국식 모순 경영은 조직 속에서 개인의 주체성을 살려 내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그리고 주체성은 자율, 권한, 책임으로 부여될 수 있다. (중략) 구성원이 기민하게 움직이고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목적'이라는 큰 울타리 안에서 구성워에게 '자율'을 부여해야 한다. 이때 한국인이 가진 집단주의는 울타리를 형성하는 긍정적인 기초가 된다"p155

"효율성과 창의성의 모순으로 특정지을 수 있는 세계에서는 개방과 폐쇄 속에서 인고의 시간을 함께 보내되, 홀로 설 수 있는 능력과 시간도 필요하다. 또한 은근하게 긴 목적을 향해 나아가면서 당면한 과제를 재빠르게 해낼 수 있는 능력도 필요하다. 이런 모순의 시대와 한국인의 삶은 잘 맞닿아 있다"p231

한국이란 나라 .. 어떻게? 왜? 라는 질문이 저절로 나온다. 저자는 에필로그에서 미래에는 기업 경영은 물론이고 핵심 상품이나 서비스에서도 한국 문화가 더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이라고 했다. 결국 핵심은 문화이며 문화의 힘은 고유성에서 나온다고 했다.

"뜻밖의 한국"에서는 모순이라는 측면으로 우리 나라를 설명하고 그런 특징으로 하여금 기업경영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가고 있다. 이런 우리만의 고유함으로 앞으로 어떻게 더 성장하고 발전해 나갈지... 앞으로 그려지는 미래가 기대된다.

불펌금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제공 받아 작성한 주관적인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