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맛있는 철학이라니 - 일상 속 음식에서 발견한 철학 이야기
오수민 지음 / 넥서스BOOKS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은 그냥 말만 들어도 딴 세상 이야기 같아요..

몇해전 사 놓은 소크라테스의 변명이 담긴 철학책은 부끄럽게도 아직 완독을 못했어요 ...ㅠ

아니 정확히 말하자면 읽기는 읽었는데.. 기억이 안나요 흑흑 ㅠㅠ 무슨말인지도 모르겠고요... ㅠㅠㅠ

그러니 완독을 못한거나 마찬가지죠 ....

항상 저에게 어려운 철학.. 조금만 개념이나 용어가 나오면 도대체 무슨말을 하고 있는거지??라고 머리부터 싸메고 있네요 ㅎㅎㅎ

그 먼 얘기같은 철학을 일상속 음식에서 발견을 한 책이야기라니.. 참 매력적인 접근이에요..

평소에 우리가 먹는 음식을 어떻게 철학으로 승화시켰을지~ 비유했을지~ 너무 궁금해요^^

설레이는 마음으로 책을 읽어 내려갔답니다.

 

붕어빵을 먹다가 칸트를?

붕어빵, 호두빵, 델리만주에 대한 저자의 묘사가 나와요. 붕어빵보다 폭신폭신한 식감과 먹을 때 기분을 이야기하며 이들의 모양은 틀에 구워내기 때문에 이런 아이덴티티가 나온다고 말해요. 왜 갑자기 틀이냐구요?

칸트의 철학을 이해하기 위해 붕어빵이란 틀을 소재로 이용해요. 붕어빵의 틀처럼 이성의 틀을 한번 거친다는 거죠. 이렇게 이미 특정한 모양으로 짜인 틀이고 우리가 외부 세계를 인식한다는 것은 그 모양대로 찍혀진 세계를 받아들인다는 것이지요.. 붕어빵 틀을 보며 이런 칸트의 이야기가 나오니 소재가 참 참신해요.

또 치즈를 어떤 철학과 관련지을까요? 바로 헤겔의 변증법적 방법을 꺼집어냅니다. 치즈가 숙성됨에 따라 치즈의 모양과 맛이 현저히 달라지는 것처럼 헤겔의 변증법은 새로운 단계라는 모습으로 변모한다는 것인데요.. 이때 치즈 종류에 따라 다른 맛을 설명하는 저자의 설명으로 치즈에 대한 새로운 것들을 알 수 있었어요

이처럼 #이렇게맛는 철학이라니 책은 단순히 철학의 내용을 시대별로 기술한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의 먹는 소재로 이끌어 내기 때문에 저처럼 철학의 'ㅊ'자도 모르는 사람이 철학을 흥미롭게 접근하기 좋게 설명이 되어 있어서 ... 어렵던 철학에 대한 거부감이 조금은 사라진 것같습니다. 오히려 철학을 좀 더 배우고 싶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중학교때 도덕책에 나오던 이런 용어들 그냥 외우기만했는데 일상소재와 결부시키니 이처럼 재미있는 내용이 어딨을까 생각이 들더라구요.. 그리고 사실 내용만의 기술이 아닌 저자의 생각을 함께 나눔으로서 철학자와 저자 그리고 저 함께 이야기를 하는 기분까지 들었어요

특히 반전이 있는 남자, 공자에 대해서는 참으로 인상깊었습니다.

저도 사실.. 공자는 제사의 상징, 유교뿌리의 악습 이라고 좋지 않게 생각했습니다. 물론 좋은 말씀들은 많았지만 사회적으로는 어릴때부터 힘들게 제사상을 차리던 엄마의 모습만이 떠오르는건 사실이거든요 ㅠㅠ

저자는공자를 꼰대 중에서도 보스급 꼰대라고 표현을 했었네요 ㅋㅋ그런데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 달리 공자는 춘추전국시대 혼란스러운 시대이기에 질서를바로잡기 위해 자의적인 권력 행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모두가 합의할 수 있는 정명사상을 내세웁니다. 오히려 주체적이며, 질서를 맹목적으로 따르는 것과는거리가 멀었다고 하네요. 오히려 개혁가에 가까웠다고 하네요. 그런데 도덕을 제대로 실천하려면 나 자신의 감정부터 살펴 보라고 하는데요. 이 부분에서 저자의 센스가 돋보이는 탕수육의 부먹과 찍먹 이야기는 참 재미있었네요 ... 중국의 작장면이 유래하여 한국에서는 짜장면으로 다른 음식으로 만들어진 것처럼 공자의 경우도 비슷하다는 이야기를 해요

각자가 비춰낸 그 세상안에서 살아가는 것 같다. p205

하나의 세상을 살고 있지만 그 세상을 모두동일하게 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가 자신에게 주어진 고유한 변화의 내용을 펼쳐내는 것, 그래서 서로 보는 세상이 다를 수 밖에 없는 것이다.p 208

모나드에 대한 설명인데요. 위의 말과 전적으로 동감을 합니다. 같은 내용의 이야기를 듣더라도 어떤이는 그 나라의 어두운 면을 말하는거야~ 이렇게 말하는 반면 다른이는 그 나라의 어두운면에서 나는 주인공의 시련, 눈물, 고통을 보았어. 그 어두운 사회가 인간의 어두웠던 마음을 대변하는 것과 같아 마음이 좋지 않고 슬펐어.. 라고 다른 시각으로 이끌어 내더라구요.. 이것도 같은 맥락이 아닐까 싶어요.... 저자는 모나드를 비빔밥과 샐러드와 같은 음식이 떠올랐다고해요.. 맛의 빅피처를 그리며 그날 아침에도 비빔밥을 비빈다니... 참 참신함이 돋보이는 책입니다. ㅎㅎ

저자는 삶에 뿌리는 소금과 후추를 철학에 비유를 하고 있어요. 소금과 후추가 간을 맞추고 음식의 차원을 바꿔주는 것처럼 철학은 삶에 새로운 차원을 부여해준다고 합니다. 그리고 삶에 철학을 뿌려보세요 라며 책을 끝냅니다.

철학 얘기가 전부는 아니지만 철학얘기가 조금 나와 머리가 아플려고 하면 음식얘기로 장식을 해주기 때문에 흥미롭고 재미있게 책을 읽었어요... 이렇게 철학에 다가가면 저같은 철학을 모르는 사람도 흥미가 생깁니다. 이런게 저자가 원하는게 아닐까 싶네요 .. 가끔은 요리의 팁도 들어가고 철학이 가미되는가 하면 음식에 대한 정보도 알 수 있어요. 약간의 상식도 쌓아지는 느낌이랄까요 ㅎㅎ 철학책이지만 어렵지않게 부담없이, 참신한 재미로 가볍게 읽기에 좋은 책 같아요. 이 책을 계기로 철학이 조금은 가깝게 느껴지네요..앞으로는 조금씩 조금씩 철학의 매력에 빠져들고 싶어지는 그런 책입니다..인문교양과는 먼 얘기의 저지만 저자의 말처럼 저도 삶에 철학을 뿌릴 수 있는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인문교양 #이렇게맛있는철학이라니

불펌금지, 상업적 사용금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나 2020-01-17 16: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