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지금 고전인가 - 서양고전 입문자를 위한 안내서
네빌 몰리 지음, 박홍경 옮김 / 프롬북스 / 2019년 10월
평점 :
절판


서양 고전 입문자를 위한 안내서 왜 지금 고전인가

몇 년 전 한참 인문학 열풍이 불었다. 인문의 중요성은 지금도 여전한데, 사실 인문의 기초는 고전이 시작이라고 해도 괜찮을 거라 생각이 든다. 예전부터 고전 소설은 심한 거부감 없이 조금씩 보기는 했었는데, 시대적 배경이나 지식을 갖고 읽으면 훨씬 도움이 된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그냥 기계적으로 읽은 느낌도 없지 않아 있었다. 그래서 프롬북스에서 발간이 된 네빌몰리의 서양고전 입문자를 위한 안내서 왜 지금 고전인가의 표지에 적혀 있는 것처럼 하룻밤에 끝내는 고전 공부의 기초에 대한 기대를 안고 열심히 책을 봤다. 그런데, 내가 기대하던 고전 입문을 하기 위한 팁이라기 보다는 정말 고전의 본질을 깨닫고 중요성을 중요시 하는 책이랄까? 정말 정통에 가까워 사실 나같이 고전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람으로서는 읽으면서 몇번을 다시 보고 또보고 했는지 약간 어려운면이 있었다. 작은 책의 페이지도 적당하여 정말 하룻밤에 끝낼 거라고 생각했는데 ㅎㅎㅎ

 

책은 1장 고전이 마주친 문제(지식의 기초, 고대와 근대, 고전의 발견,우리는 고전학자,모범, 일부고전학자들만), 2장 과거의 추적(경계,부재,접근법,언어,맥락), 3장 현재의 이해(고대의수용,수용의정치,고대의재발견), 4장 미래의 예상(유용한 지식, 우리가알고있듯 세상의종말이다,인간적인것,지나간 미래) 으로 구성되어있다.

라틴어는 고대로마의 문헌을 통해 고위층에 교육이 되었고 관심정도와 상관없이 로마 문학과 문화를 상당량 흡수 할 수 밖에 없었다. 고전은 오늘날까지도 정치이론, 군사학, 예술 등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책에서 말하는 고전은 그리스, 로마로 서양고전에 한정되어 말하는 한계점은 있지만, 저자가 고전에 대한 열정을 얼마나 많이 드러내는지 확연히 알 수 있다. 고전은 엘리트 지위를 부여하는 동시에 엘리트 지위에 의존한다. 고전지식은 계급을 분리하고 잘난 체와 오만의 근원으로 활용되고 문화전쟁과 문명 충돌에서 무기로도 활용되었었다.

"자동화의 확산 위협으로 그 어느 때보다도 미래가 불확실한 상황에서는 10년 안에 로봇과 인공지능에게 빼앗기게 될 일자리에 적합한 기술보다는 일반적인 분석 능력, 유연한 미래 예측의 능력이 필요하다.p150"

4차 산업혁명으로 많은 일자리가 없어지고 다시 새로운 일자리가 생겨난다고 한다. 일자리의 위협에 나도 미래가 걱정이고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막막한 부분도 없지 않아 있다. 지식, 기술등 모두 인공지능이 가져가게 된다면 인공지능이 할 수 없는 무언가를 빨리 찾아서 아이템을 찾아내고 내 고유의 브랜드로 만들어야 하는데.. 그 밑바탕이 인문이 아닐까 싶다. 인문으로 감각을 키우고 감성을 키우면서 나만의 가치를 만들어내는 것...

"과거에 발생한 사건을 통해 우리는 진실하고 믿을 만한 지식을 얻을 뿐만 아니라 현재와미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P152"

"역사를 잊은 자는 과오를 반복하게 된다 라는 미국 철학자 조지 산타야나의 주장이 그 예이다 P152"

E.H 카의 역사란 무엇인가에서 역사는 현재와 과거와의 끊임없는 대화이다 라고 말한다.

과거를 알고 현재를 알고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의미인지 생각해볼 기회이다. 돌고 도는 역사,다시 오는 역사처럼 과거를 통해 비슷한 상황을 비교대조해보고 가정하며 근거를 만들어 미래를 대비하는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입문자들이 고전을 쉽게 접근하기 위한 설명이기보다는 고전의 역사 기술과 본질에 치중을 하고 있지만,

고전의 역사를 되짚어 보고 현재 상황에 적용하고 미래를 예측한다는 것은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나 매우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고전의 본질을 다시 생각해보고 적용할 수 있으면 정말 좋을 것 같다. 책을 읽으면서 약간 힘든 부분도 있었지만 배경지식을 쌓고 고전을 더 가까이 했을 때 더 활용가치가 있는 유용한 책이 될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