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식의 심리학 - 현대인은 왜 과식과 씨름하는가
키마 카길 지음, 강경이 옮김 / 루아크 / 201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한동안(요즘도?) '먹방', '쿡방'이 대세였다. 어디를 가든 음식, 요리법, 맛집 이야기가 쏟아졌다. 나도 먹는 것 참 좋아하지만 모두가 먹는 얘기만 하는 건 이상한 광경이었다. 거리에 나가면 TV에 안 나온 식당이 드물고, 동네 숨은 맛집은 더이상 '숨은' 상태가 아니다.

 

한편에서는 다이어트가, 늘 그랬듯이 모두의 관심사다. 체중을 줄이는 것이든 늘리는 것이든. 대체로 살을 빼려고 하는 쪽이 많은 것 같다. 이것도 유행이 있어서 돌고 돈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에게 맞는' 체중감량법을 찾기 위해 고심한다. 원푸드 다이어트도 하고 간헐적 단식도 마다하지 않는다. 운동도 열심히 한다.

 

사실 체중을 감량하는 '정답'은 모두가 알고 있다. 적게(덜) 먹는 것이다. 문제는 알면서도 못한다는 거다. 왜? 의지가 약하고 자기 관리를 못해서? 아니다. '더' 먹을 수밖에 없는 환경에서 살아가기 때문이다. 저자는 비만이나 폭식장애, 저장장애가 "과소비병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문화 관련 증후군"(101쪽)이라 말한다. 소비가 미덕일 뿐만 아니라, "비싼 상품이 약속하는 것에 심리적으로 더 끌리는 소비주의 문화"(227쪽) 속에서 나타나는 병리적 현상이라고.

 

저자에 따르면 "더 많이 먹는 것과 더 많이 소비하는 것은 같은 현상이다".(57쪽) 다양한(끝도 없는!) 선택지 속에서 무언가를 선택하고 소유하고 경험한다는 것은 자신이 누구인지를 드러내는 일이다. 소비사회에서는 소비의 대상 혹은 소비 자체가 곧 개인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수단이다. 무엇을 먹느냐는 어디에 사느냐, 무엇을 입느냐, 어떤 차를 타느냐 하는 것과 비슷하다.

 

기업들은 소비자를 위해 '건강한', '자연적인', '무(저)지방', '무가당' 식품들을 판매한다고 광고하지만 대부분 속임수다. 결국 더 많은 열량을 섭취하게 되고 살 빼려고 다이어트식품과 프로그램을 소비한다. 살쪄서 생긴 질병 때문에 의료서비스와 약품을 소비한다. 돌고 돈다. 이러한 소비주의 문화가 개인에 미치는 강력한 효과는 82쪽 '소비의 깔때기'에 잘 나타나 있다.

 

그래서 어떻게 하라는 거야? 저자는 솔직하게 말한다. 과식은 소비주의 문화를 바꾸지 않는 한 개인적 노력만으로는 고치기 '매우' 어렵다고. 점진적으로 설탕, 소금, 지방을 줄이고 가공이 덜 된 식품을 먹자고. 먹는 것뿐만 아니라 소비주의 문화 자체에 대해 생각하고 문화를 점차 바꿔나가자고. 논지의 흐름상 당연한 결론이다. 문화가 문제니까 문화를 바꿔야 한다는 거다. 그건 엄청 더디고 힘든 일이니까 여유를 갖고 조금씩 해결하자는 것이다.

 

아... 뭔가 자꾸 알맹이가 빠진 느낌이다. 내가 적은 것보다 훨씬 풍부하고 생각할 거리도 많은 책인데. 더 공부해서 멋지게 글로 쓸 수 있다면 좋겠지만 지금은 너무 피곤하고 졸리다.

 

아쉬운 점 _

1. 책의 후반부로 갈수록 교정 담당자의 집중력이 저하된 탓인지 오탈자가 꽤 있었다. 읽기 불편할 정도는 아니었지만 눈에 띌 정도니 아주 사소한 정도도 아니다.

2. 미주 처리한 부분(참고문헌)이 283~335쪽으로 방대한데, 모두 영어 원서다. 한국어로도 나온 책은 함께 기록하는 게 좋지 않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