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의 최전선 - ‘왜’라고 묻고 ‘느낌’이 쓰게 하라
은유 지음 / 메멘토 / 201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시중에 나와 있는 글쓰기 책은 대체로 비슷하다. 그럼에도 글쓰기 책에 끌리는 이유는? 가끔 제목이 꼭 내 사정을 함축한 듯한 자기계발서에 손이 가는 것과 비슷하다. 나는 글쓰기, 독서, 책에 관한 책을 읽으면 의욕이 샘솟곤 하는데, 내 문제와는 별로 상관없어 보이는 책에서 의외의 답을 얻고 기분을 전환한다.

 

글쓰기의 최전선도 비슷한 이유에서 주문했다. 빨간 바탕에 몇 가지 필기구가 그려진 표지가 인상적이다. 손으로 글씨를 쓰고 싶어진다. 책을 펼치고 가장 처음 등장하는 글이 나는 왜 쓰는가저자의 자기고백이다.

 

삶이 굳고 말이 엉킬 때마다 글을 썼다. 막힌 삶을 글로 뚫으려고 애썼다. () 낱말 하나, 문장 한 줄 붙들고 씨름할수록 생각이 선명해지고 다른 생각으로 확장되는 즐거움이 컸다. () 어렴풋이 알아갔다. 글을 쓴다는 것은 고통이 견딜 만한 고통이 될 때까지 붙들고 늘어지는 일임을. 혼란스러운 현실에 질서를 부여하는 작업이지, 덮어두거나 제거하는 일이 아님을 말이다.”(9)

 

나는 왜 쓰는가에 대한 저자의 고백. 그녀의 고백을 다 읽기도 전에 나는 일기장을 펼쳤다. “삶이 굳고 말이 엉킬 때마다 글을 썼다. 막힌 살을 글로 뚫으려고 애썼다.”는 그 얘기가 꼭 내 얘기인 것만 같았으니까. 그리하여 내 일기, 나의 글은 내 삶을 얼마나 잘 보듬고 풀어주었는지 다시 살펴보기 위해 일기장을 뒤적였다. 왜 그런 순간이 있지 않은가. 딱 꼬집을 수는 없지만 뭔가 가슴을 답답하게 하는 문제가 있는 날. 원래부터 있었던 문제인지도 모르겠지만 어느 순간 그게 신경이 쓰여서 당장 해결해야 할 것 같은 느낌. 하지만 그 문제가 정확히 뭔지를 모르겠고, 어디서부터 생각해야 할지도 모를 만큼 막연한 기분에 사로잡히는 날 말이다. 나는 그런 날이면 일기장에 생각나는 대로 다 털어놓고 싶다. 막상 일기장을 펼치면 하고 싶은 말이 없어서 몇 줄짜리 밋밋한 기록만 할 때가 많지만.

 

이 책은 글쓰기 방법을 알려주는 책이 아니다. 저자가 어떻게 해서 글 써서 먹고 살게 되었는지, 글쓰기란 어떤 것이고 어떠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등이 잘 드러나 있다. 특히 연구공동체(수유너머R)에서 직접 수업한 경험을 바탕으로 삶과 관계와 글쓰기에 대한 생각을 풀어놓은 부분에 공감되는 부분이 많았다.

 

세상에는 여러 종류의 글이 있다. 그 모든 글들을 좋은 글과 그렇지 않은 글, 두 가지로 나눈다면 기준은 무엇일까? 아름다운 문장? 구성? 정확한 단어 사용? 내 생각엔 나 자신의 글이 좋은 글이 아닌가 싶다.(이것은 저자와 공통된 생각이기도 하다) 다른 사람의 생각과 감정을 마치 나도 그렇다는 듯이 표현한 글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나를 표현할 수 있는 나의 말이 필요하다는 것, 그것을 가꿔 가야 한다는 것에 대해 책을 읽는 내내 생각했다. 그리하여 읽고 쓰는 것이 스스로를 더 잘 이해하는 방법이며, 나아가 타인을 이해하고 관계 맺는 방식이 된다는 저자의 말에도 깊이 수긍하게 되었다.

 

나 자신으로 살아간다는 것(?), 내 얘기를 쓴다는 것은 쉬운 말처럼 보이지만 두루뭉술하기도 하고 어렵기도 하다. 어쩌면 글쓰기가 를 선명하게 해주는 하나의 방법이자 과정인지도 모르겠다. 지금껏 내 생각을 말하기보다 주어진 (일반적인) 생각을 받아들일 때가 더 많았고, 내가 하고 싶었던 것들이 사실은 남들이 원하는 것이었을 때도 많았다. 자식으로, 학생으로, 선후배로, 동료로, 친구로, 배우자로 내게 기대되는 역할, 행동, 사고방식, 태도 등으로부터 나는 얼마나 자유로울 수 있을까? 글쓰기의 최전선은 말 그대로 글쓰기의 최전선이 곧 삶이라는 것, 그렇게 서로 맞닿아 있다는 것, 내 글이 곧 나라는 것을 가감 없이 보여준다.

 

우리가 붙들어야 할 것은 안 읽히는김수영의 시-삶이지, 김수영의 시-삶을 이론의 형틀로 찍어낸 잘 읽히는지식인의 해석이 아니다. 소박하고 거칠더라도 자기 느낌과 생각으로 시를 읽어내고 해설하느라 낑낑대는 것이 공부다. 독서의 참맛이다.”(100)

좋은 글은 질문한다. 선량한 시민, 좋은 엄마, 착한 학생이 되라고 말하기 전에 그 정의를 묻는다. 좋은 엄마는 누가 결정하는가, 누구의 입장에서 좋음인가, 가족의 화평인가, 한 여성의 행복인가. () 하지만 평균적인 삶도 정해진 도덕률도 없다. 천 개의 삶이 있다면 도덕도 천 개여야 한다. 자기의 좋음을 각자 질문하면서 스스로 자신을 정의할 수 있는 힘을 갖는 게 중요하다.”(118)

 

나는 어떤 사람인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어떤 삶을 살고 싶은지, 어떤 글쓰기를 하고 싶은지, 왜 글을 쓰고 싶고 써야 하는지 생각해볼 수 있는 책이다. 부록으로 실린 공동체 학인의 글 세 편도 좋았다. 저마다의 삶을 잘 보여주는 글이었고 추상적이지 않았기 때문에 감동적이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현인 2015-07-26 13: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책 사고싶은데 집에서 넘 멀다.

서울와우북페스티벌 2015-09-23 21: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은유 작가님을 비롯하여 글쓰기의 유명한 작가 4분이서
와우북페스티벌에서 글쓰기 강연을 하신답니다!!

지금 사전등록 받고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이원시인 글쓰기 강좌: http://onoffmix.com/event/52416
박수밀 작가 글쓰기 강좌: http://onoffmix.com/event/52431
함돈균 평론가 글쓰기 강좌: http://onoffmix.com/event/52445
은유 작가 글쓰기 강좌: http://onoffmix.com/event/52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