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네 손가락의 피아니스트 - 눈높이 책꽂이 18 눈높이 책꽂이 18
고정욱 지음, 원유미 그림 / 대교출판 / 200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이 이야기에서 나오는 이희아 언니를 TV에서 본 적이 있다.

책에서 봤을 때는 초등학생이었는데, TV에서 봤을 때는 대학교에 입학한다고 했다. 

 

책에는 희아언니가 예술의 전당에 가는 이야기가 있다. 거기서 라울 소사 라는 사람을 만났다.

라울 소사라는 사람은 오른쪽 손을 못 써서 왼쪽 손만 가지고 피아노를 치는 사람이다.

희아 언니는 네 손가락으로 피아노를 열심히 쳤었지만, 당시에는 콘서트에서 피아노를 엉망으로 쳐서 다시는 피아노를 치지 않겠다고 생각했었다. 그런데 재호 아빠가 희아 언니를 데리고 예술의 전당에 가서 희아 언니에게 용기를 주었던 것이다. 희아 언니는 집으로 돌아오는 차 안에서 눈물을 흘렸다.  자신이 부끄러웠고, 더 열심히 피아노를 치겠다고 다짐했다.

그러던 어느날 라울 소사 아저씨가 희아 언니에게 이메일로 편지를 보내왔다.

희아 언니를 잘 가르쳐서 멋진 피아니스트로 만들어 주겠다는 내용이었다.

희아 언니는 앞으로도 피아노를 열심히 칠 것이라고 다짐했다.

 

나도 1학년 입학하고 3월부터 지금까지 피아노를 쳤다. 피아노 학원에 다니는 동안 한번도 결석하지 않았다.  그런데 가끔은 피아노 치기가 싫어지기도 한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희아 언니가 너무나 존경스러웠다.  장애를 부끄러워하지 않고, 열심히 하는 희아 언니의 이야기를 읽고 좀 더 열심히 피아노를 쳐야 겠다고 생각했다.

나는 10손가락으로도 아직까지 피아노를 잘 못 치지만, 희아 언니는 4손가락을 가지고 피아노를 너무나 멋지게 치는 것을 텔레비전에서 보니 희아 언니가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다시 한번 들었다.

(2005년 2월 24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학교에 간 사자 동화는 내 친구 72
필리파 피어스 지음, 햇살과나무꾼 옮김 / 논장 / 200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에는 8개의 이야기가 있는데 나는 그 중에서 <무지무지 잘 드는 커다란 가위>라는 이야기가 가장 재미있었다. 어느 마을에 팀이라는 아이가 살았다. 그런데 어느날 팀의 엄마가 할머니가 편찮으셔서 병원으로 갔게 되었다. 할 수 없이 팀은 혼자 집에 남아있어야 했다. 그런데 몇 분 후에 어떤 아저씨가 팀의 집에 찾아 왔다. 그 아저씨는 칼과,가위,전투용 도끼를 파는 사람이었다. 팀은 그 중에서 무지무지 잘 드는 커다란 가위를 샀다. 그러고 나서 팀은 단추와 두툼한 양탄자,나무 의자의 다리,소파,어항을 모두 잘라 버렸다.그러다 팀은 덜컥 겁이 났다. 그래서 의자에 앉아 엉엉 울었다.

그런데 갑자기 초인종 소리가 들렸다. 팀은 문을 열어보았다. 그랬더니 어떤 할머니가 접착제를 판다고 했다. 팀은 너무 반가워 그 가위를 할머니한테 드리고 그 접착제를 받았다. 그리고 단추, 양탄자, 나무 의자의 다리, 소파, 어항을 다시 붙였다. 신기하게도 그 접착제는 모든 것을 깜쪽같이 다시 원래대로 붙여 주었다.

그때 마침,  엄마가 집으로 돌아왔다.그리고 팀은 아무렇지도 않은 듯 엄마와 함께 빵과 차를 마셨다.

 나는 팀이 겁도 없이 아무거나 마구 잘라대서 나도 겁이 났는데, 다행스럽게도 마법의 접착제가 나타나 아주 다행스러웠다. 난  엄마,아빠가 안 계실때도  장난을 안 칠것이다.

(2005년 2월 23일 수요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까막눈 삼디기 - 웅진 푸른교실 2 웅진 푸른교실 2
원유순 글, 이현미 그림 / 웅진주니어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이야기에서 나오는 까막눈은 엄삼덕의 별명이다. 아이들은 삼덕이를 삼디기라고 부른다.  삼디기는 글자를 잘 쓰지 못하고, 책도 잘 읽지 못한다. 삼디기의 아빠는 돌아가셔서 안계시고, 엄마는 소식이 끊겨버려서 삼디기는 할머니와 같이 살고 있다.

그런데 어느날 연보라라는 아이가 전학을 오게 되었다. 보라는 삼디기가 책을 못 읽는다는 소리를 듣고 삼디기 한테 책 읽는 것을 가르쳐 주었다. 그러면 삼디기는 집으로 가서 할머니께 그 책을 읽어 드렸다.

나는 보라가 참 착한 아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다른 아이들은 삼디기를 막 놀리지만, 보라는 삼디기를 까막눈이라고 놀리지도 않고, 오히려 삼디기에게 글자도 가르쳐 주기 때문이다. 보라는 한달 동안 삼디기에게 10권도 넘는 책을 빌려주면서 읽는 연습을 시켰다. 그래서 삼디기는 점점 더 책을 잘 읽게 되었다.

나는 삼디기가 커서는 책도 잘 읽고 글씨도 잘 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왜냐하면 보라가 삼디기한테 책읽는 것을 아주 많이 가르쳐 주었기 때문이다.

엄마, 아빠도 안 계신 삼디기 같은 친구가 내 곁에 있다면, 나도 보라와 같은 따뜻한 마음으로 사이좋게 지낼 것이다.

<2005년 2월 23일 수요일>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phens 2005-02-23 16: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삼덕이의 성격이 어떤지, 삼덕이와 보라의 따뜻한 우정이 책에서 어떤 식으로 나타나는지 궁금해지네요. '귀염둥이 지호님'이 책을 읽고난 후의 느낌이 어땠는지 조금 더 자세히 써 주었으면 좋았을 것 같아요. (500^^*)
 
아빠의 수첩 - 희망과 감동이 담긴 18편의 가족사랑 이야기 고학년을 위한 생각도서관 1
양태석 지음, 전필식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0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날 일규네 가족은 저녁을 먹으면서 식탁에 둘러 앉아 가족 회의를 열었다.

그러면서 일규의 식구는 아빠에게 아주 많은 부탁을 했다.

하지만 일규의 아빠는 미안하다는 소리만 했다.

그리고 일규의 아빠는 몇일뒤 지방으로 출장을 간다고 그랬다.

하지만 그 것은 거짓말이었다.

그 다음날 아빠는 비행기를 타고 떠났다.

그런데 갑자기 그 비행기가 추락을 해서 일규의 아빠는 죽고 말았다.

다음날 경찰은 누런 봉투를 들고 왔다.

그 안에는 아빠의 수첩이 들어있었다.

일규의 가족은 그 수첩을 보면서 엉엉 울었다.

(2005년 2월 17일 목요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옹달샘 이야기 한겨레 낮은학년동화 1
이현주 지음, 이태수 그림 / 한겨레아이들 / 200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이 책에서 토끼,다람쥐,오소리,족제비,새끼사슴,나무,꽃들이 옹달샘과 함께 즐겁게 노는 장면이 가장인상깊었다.

그리고 나는 숲속 친구들이 모두모두 싸우지 않고 잘 지내고 있다는 것이 너무너무 좋다.

 

(2005년 5월 2일 4일 금요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