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년 왜란과 호란 사이 - 한국사에서 비극이 반복되는 이유
정명섭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명섭 작가의 신작 "왜란과 호란 사이 38년"이 출간되었다.
정명석 작가는 조선전쟁 생중계, 조선의 명탐정들, 미스 손탁 등 다양한 역사 교양서와 역사 추리소설을 썼고, 간결하고 쉬운 문체를 자랑한다.

이번 저서는 왜란에서 호란까지 38년 동안을 10개의 장으로 나누고,
각 장마다 조선의 소년병 부대인 아동대 출신인 홍현수를 주인공으로 이 격랑의 시대의 파고에 어떻게 휘말리고 쓸려나가는지 소설 형식으로 묘사 후 뒤이어서 그 시대에 있었던 사건들을 재미있고, 평이하게 설명해 주고, 이해를 돕기 위한 그림, 사진 등의 시각적 자료들이 동반된다.
한 마디로 술술 읽힌다.

 

 

본 서적은 일부 역사 서적과는 다르게 광해군에 대한 전적인 칭찬만이 아니라,내정의 다양한 실책으로 정권이 무너짐을 지적하였다.
특히 리더인 광해군이 냉소적 태도로 일관한다는 묘사는 광해군이 바람직한 리더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리더는 어떤 상황에서도 조직원들의 의지를 붇돋으면서 문제게 해결되게 조직을 구성하고 이끌어야한다.)
그리고 광해군 이후 인조 정권의 상황, 청의 흥기를 그리면서 명과의 일전을 앞두고 조선을 굴복시키려는 홍타이지의 모습을 그려준다.


특히 홍타이지의 야욕은 '홍타이지가 선택한 희생양, 조선'이라는 소챕터 제목에서도, 아래의 홍현수전의 대화에서도 보여진다.

"당장 쳐들어가겠다는 말이 나오겠는 걸?"
"아니, 좀 더 지켜볼 것 같아."
"왜?"
"언제든 손에 넣을 수 있잖아. 굳이 화낼 필요도 없고, 무엇보다 지금은 때가 아니잖아."

(중략)

"조선은 약한 나라고, 아무런 위협이 되지 않습니다. 굳이 쳐들어갈 이유가 있습니까?"
"이유야 차고 넘치지,

(중략)

"남조와의 결전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그 전에 조선을 미리 굴복시켜 놔야지."

 

병자호란은 홍타이지의 야욕으로 시작되었고, 조선은 이를 막지 못했다.

그러나 직장 생활한 사람들은 알겠지만, 월급쟁이들조차, 시황으로 인한 실적 달성 실패가 변명이 될 수 없듯이, 하물며 나라를 운영하고 이끌었던 인조정권은 병자호란에 대한 책임이라는 역사적 평가를` 피해갈 수 없다. 망해가는 회사에서 제대로된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고, 인지하더라도 제대로된 대책을 세우지 못하며, 생각이 다른 사람에 대한 비난이 쇄도하는 모습을 보이곤 한다. 본 책을 읽으면 조선도 마찬가지였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물론 전쟁은 홍타이지가 시작했지만...

 

초입부의 소설, 간결한 문체, 빠른 흐름, 다양한 시각적 자료로 왜란과 호란 사이 38년을 그린 본 책은 해당 시기에 대한 쉬운 교양서로 권할만 하다.

 

ps) 아래는 10장의 제목과 내용이다.

 

1. 비극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홍한수전, 첫번째, 선조 28년(1595) 5월, 한양 훈련도감
-> 임진왜란의 전개, 백성들의 고통, 소년병 부대인 아동대의 탄생

2. 그들이 모이면 천하가 감당하지 못한다
홍한수전, 두번째, 선조 28년(1595) 12월, 압록강
-> 누루하치의 부상

3. 북쪽에서 부는 검은 바람
홍한수전, 세번째, 광해군 11년(1619) 2월 27일, 요동 배갈동령 십리 밖
-> 사르후 전투의 패배, 광해군 대의 상황

4. 반역과 명분 사이
홍한수전, 네번째, 광해군 15년(1623) 3월 12일 밤, 한양 창덕궁 앞
-> 광해군의 실정, 인조반정, 바뀌지 않는 상황

5. 가장 아플 때 스스로의 몸에 상처를 내다
홍한수전, 다섯번째, 인조 2년(1624) 1월 24일, 평안도 영변
-> 조선의 새로운 전술, 이괄의 난, 난의 여파로 인해 정권 수호가 최우선이 됨

6. 첫 번째 조짐, 정묘호란
홍한수전, 여섯번째, 인조 5년(1627) 1월 22일, 평안도 안주성
-> 누르하치의 죽음, 정묘호란

7. 무너진 동아시아의 균형
홍한수전, 여섯번째, 인조 11년(1633) 4월 13일, 구련성 마타자 인근
-> 전함을 얻은 후금

8. 무릎을 꿇어도 죄, 꿇지 않아도 죄
홍한수전, 일봅번째, 인조 14년(1636) 1월 22일, 심양 황궁
-> 몽골을 복속시킨 후금, 빼앗긴 조선의 국서, 전쟁의 서막

9. 그 후로 38년, 반복되는 비극
홍한수전, 여섯번째, 인조 14년(1636) 12월 29일, 남한산성
-> 병자호란의 발발

10. 예정되었던 슬픈 결말
홍한수전, 열번째, 인조 `15년(16`37) 1월 22일, 삼전도
-> 광교산 전투, 삼전도의 굴욕, 전쟁 이후 백성들의 고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동왕국과 동아시아
권오중 지음 / 영남대학교출판부 / 2012년 8월
평점 :
품절


189~238년간 사실상 독립왕국을 운영했던 공손씨정권의 성립, 해외에서의 역활, 패망을 그렸다. 고대 동아시아 세계 형성에 영향을 준 시기를 사료적근거를 통해 읽기 쉬우면서도 맥락을 잃지않게 서술한 책이다. 중국삼국.고대한국사 관심자들 모두 재미있게 있을수있을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기 백제사의 제문제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총서 82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 지음 / 동북아역사재단 / 2018년 12월
평점 :
품절


초기백제사쟁점인 백제의기원.백제국가형성.요서백제문제와 중국의백제사 연구동향을 다뤘다. 해당문제들에대한 문헌적.고고학적연구결과들 및각 이론들정리하여 초기백제사쟁점들을이해하기쉽다. 백제기원문제는 복잡하고 영원히해명할수없을지도 모른다는 책속문장이 확 이해되게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펀맨 One Punch Man 20 - 간다!
ONE 지음, 무라타 유스케 그림 / 대원씨아이(만화) / 201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20권도훌륭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실제로 제도가 중요하긴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하고 결정적인 것은 사람과 제도의 관계다. 이 관계는 세 가지 측면으로 구성된다. 제도가 국정과 민심에 부합하는지 여부, 제도가 문화와 전통에 부합하는지 여부, 제도른 만들고 집행하는 사람이 제도와 잘 어우러지는지 여부다. 부합하면 성공하고 부합하지 않으면 실패한다.
p9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