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한가운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8
루이제 린저 지음, 박찬일 옮김 / 민음사 / 199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여러모로 나에게 의미있는 책이다. 나는 책을 많이 읽는 편이나 고전은 잘 읽지 않았다. 그런데 고전을 많이 읽어야 한다는 당위성에 대한 교육을 많이 받아온 터라 항상 다른 책을 손에 붙잡고 있으면서도 '고전을 읽어야 하는데'하는 마음을 갖고 있었다. 그런 마음때문인지 막상 고전을 읽으려고 하면 부담이 되었던 것 같다.그런데 왜 고전을 읽어야 하지? 오랜만에 도전한 고전읽기. '삶의 한가운데'를 읽으면서 그 이유를 상기하게 되었다.

이 소설은 삶의 모습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보여준다. 자신의 신념에 따르는 것이라면 감옥가는 것도 두렵지 않지만, 성적으로는 한없이 분방했던 니나. 그녀의 모습에서 나는 자신의 신념에 따라 사는 것이 어떤것인지, 그것이 얼마나 중요하고 어려운일인지를 알게 되었다.

이 책을 읽고 있던 중에, 친구들과 독서모임을 시작하게 되었는데 첫 선정도서가 '삶의 한가운데'였던 것도 이 소설의 의미를 더하였다. 우리는 모임에서 '삶의 한가운데'에서 사는 것에 경의를 표하긴 했지만, 우리 자신은 삶의 가장자리에 머물러 있기를 택하겠다는 결론을 얻기도 하였다. 니나의 삶은 숭고하지만 그만큼 요원해 보였던 것일까?
하지만 그것은 굴복이나 비굴이 아닌 또 다른 삶의 방식이라는 데도 동의하였다. 니나와 비교했을 때의 슈타인의 온건함을 비난할 수 없는 것과 같은 연유일 것이다. 우리들은 니나보다 슈타인에게 공감을 표했다.

소설에서 니나의 위치가 독보적인 것은 사실이지만, 소설의 실제 화자가 니나의 평범한 언니라는 것 또한 소설로의 몰입을 돕는다.평범한 시각으로 사건을 바라보는 시점덕분에 독자와 소설과의 거리감이 줄어든다는 것도 이 소설의 뛰어난 점이다.한장 한장이 묵직한 의미로 채워져 있는 적절한 책을 선정한 덕분에 첫 독서토론은 성황리에 끝마칠 수 있었다.독서토론을 하면서도 풀지 못한 한 가지 의문은 맨 마지막에 찾아온 남자가 누군가 하는 것이다. 의견이 분분했지만 결국 알수 없다는 답을 얻게 되었다. 혹시 알고 계신 분은 알려주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