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전쟁 - 종교에 미래는 있는가?
신재식 외 지음 / 사이언스북스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 대한 기대가 매우 컸습니다.  

종교 간 전쟁, 종교 밖 전쟁, 그리고 종교 내 전쟁이라는 안내와 함께 따뜻한 전쟁이라는 평을 봐왔거든요. 이 책 한권이면 종교를 둘러싼 각종 논의를 한방에 볼 수 있을거라 생각했습니다. 

 

이 책의 저자는 모두 3명입니다. 

종교가 인류를 괴롭히는 바이러스라 생각하는 과학자 장대익, 

진화론을 수용하는 개신교 목사이자 신학자인 신재식, 

과학과 종교를 특정한 세계관 안의 문제라 생각하는 종교학자 김윤성. 

 

이러한 3명의 조합이기에 종교 간 전쟁과 종교 내 전쟁은 볼 수 없었고, 종교 밖 전쟁만 볼 수 있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개신교와 과학의 전쟁이지만요. 

그들은 진화론자들이나 인지 과학자들이 종교를 어떻게 설명하는지, 종교의 미래에 대해 그리고 창조 과학이 휩쓸다시피 한 한국 개신교 현실에 대해 얘기를 하고 있습니다. 

 

저는 종교가 없고, 무신론자이지만, 신의 필요성을 인정합니다. 진화론을 부정하는 의견을 보면 불편해하는 편이구요. 그런 입장이라 진화론을 부정하는 저자가 포함됐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강하게 남습니다. 그래야 제대로 된 전쟁이라 여겨지거든요. 제목은 <종교전쟁>을 달고 있지만, <개신교와 과학의 대화>라 고쳐야 할 거 같아요. 제목처럼 종교전쟁이 되려면 진화론을 부정하는 저자가 있었어야만 했어요. 

 

종교학자 김윤성은 한국 개신교가 창조과학에 압도적인 지지를 하는 배경에 대해 이렇게 설명합니다. 

미국이 1960년대 이후 소련 인공위성 발사에 자극받아 과학교육이 중요해지면서 창조과학이 퇴출된 것에 비해 한국은 창조과학을 수입한 1세대가 발언권을 여전히 행사하고 있기 때문이랍니다. 한국 교회는 보수적 성향의 선교사(그 당시 미국은 제1차 세계대전과 경제공황 여파로 미국의 주인을 자처해 온 복음주의 개신교들이 결집했었답니다)에 의해 기초가 세워졌었고, 그들이 건재하기 때문이라는 거지요. 

그들 자신으로선 건재할지 몰라도 지금 한국 개신교가 깨달아야 할 것은, 보수주의라는 신앙의 '온실'에서 나와 바람 한 점 없는 광야로 나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무엇보다 개신교 자신의 생존을 위해서요. 

진화론이 허구라 하기 전에, 과학의 본질이 '내용'이 아니라 절차 또는 검증이라는 것을 이해했으면 좋겠어요.  

 

따뜻한 대화로 표현되지만 그들의 이견은 결코 좁혀지거나 메워지지 않습니다. (창조과학 개신교가 없음에도요!) 그저 상대방 입장을 듣고 원위치할 뿐이지요. 그 이유는 언제나 되풀이 되는 '신앙 체험'  때문인거 같아요. 종교 혹은 신적 체험은 타인에게 그대로 전달하기 어렵고, 각자 체험도 지극히 개별적이고 상이하기 때문일 터지요. 

그럼에도 이 책은 우리 사회의 건강한 비판적 담론을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의미가 있습니다. 

한 편에선 창조 과학이 휩쓸다시피하고, 또 다른 한편에선 그들을 몰상식하고 비합리적인 종교라 비난하고 있는게 우리의 엄연한 현실이니까요. 좋든 싫든 우리 사회의 역사와 현재 속에 깊이 자리 잡은 개신교라는 종교가 건강한 비판적 담론위에 우뚝 서길 바라는 마음이 있으니까요. 

 

책 내용 중 '전사 리처드 도킨스, 전략가 데니얼 데닛, 그리고 외교가 에드워드 윌슨'이라는 표현이 재미있었습니다. 그들 표현대로 하면 장대익은 전사고, 신재식과 김윤성은 전략가나 외교가에 가까운 거 같아요. 

저는 전사보다 전략가나 외교가가 편했는데요, 가장 마음에 든 것은 '존 호트'였습니다. 

존 호트는 종교와 과학을 우주를 읽는 중층적 독법으로, 즉 서로 다른 수준의 책 읽기로 이해하면서 둘의 관계를 해명합니다. 종교와 과학은 각자 독자적인 독법인데, 한 가지 독법으로 우주를 읽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지요. 

사물이나 생명에 관한 설명은 다양한 수준의 설명이 있으며, 이것들은 상보적인 것이지 모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겁니다. 

 

그런데 왜, 개신교와의 논쟁이 없을까요? 

저자 3명 모두 창조 과학 개신교인과 친분이 없어서인지, 그들이 논쟁할 가치조차 없어 거부한 건지, 자못 궁금한걸요. 

      

  

           

 

 

 

읽은 날 2013. 1. 13    by 책과의 미래 

 

 http://blog.naver.com/cjii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