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지 않는 늑대
팔리 모왓 지음, 이한중 옮김 / 돌베개 / 200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웃을 통해 늑대에 대한 책을 종종 봐왔습니다. 

늑대는 우리가 알고 있던 이미지와 달리, 생각보다 부드럽고 사납지 않다는 내용이었죠. 그래서 선뜻 내키지 않았지만, 숙제를 하는 마음(?)으로 천천히 읽었습니다. 

 

이 책은 자연학자이자 탐험가인 팔리 모왓이 북극 늑대와 1년여를 함께 지낸 생활을 바탕으로 쓴 것입니다. 늑대가 북극권역에서 매년 사람을 수백 명씩 해치고, 순록 수천 마리를 도살하고 있다는 소식에 캐나다 정부의 야생생물보호국은 팔리 모왓을 툰드라 지대에 파견합니다. 팔리 모왓은 그 곳에서 만난 에스키모 마이크의 도움으로 늑대를 연구하지요. 

 

그의 연구 결과는 이렇습니다. 

매년 순록 수천 마리를 도살한 건 늑대가 아니라 사람이라는 거죠. 늑대는 외려 순록을 건강하게 만들어 준답니다. 연약해 무리에 뒤처지는 순록을 사냥함으로써 순록을 더 튼튼하게 해준다네요. (강한 자가 약한 자를 먹는다는 먹이사슬은 생태계 단면만 본 개념입니다. 사실 생태계는 공생적 관계가 더 많아요. 그리고 어른 순록은 늑대보다 더 빠르구요.) 그리고 늑대는 대개의 경우 인간 거주지에 가까이 살려고 하지도 않는다네요. 

그러나 이런 연구 결과는 초기에 여러 전문가들에 의해 허구라는 비웃음을 샀고, 시간이 흐른 후에야 정당한 평가를 받게 됩니다. 

 

사실 이 책 내용에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늑대가 자신에게 너무 몰두한 나머지 15야드 안에 있는 팔리 모왓을 보지도 않고 지나칠 뻔 했다라든가, 늑대가 저장해 놓은 음식이 새 나간다는 사실을 분명 알았을텐데(여우의 소행) 전반적으로 관대하고 온화하게 대한다는 부분이 그랬습니다. 

그리고 이 책은 연구 결과라 보기엔 허술한 면이 있구요. 

 

그러나, 오히려 이런 부분이 이 책의 매력이었습니다. 

진짜일까, 가짜일까, 어느 정도가 사실일까...란 의심은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늑대와의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한 마리당 포상금으로 10~30달러를 지급했던 그 시절, 순록이 점점 희귀해져 가는 모든 책임을 늑대에게 돌리던 시절에 약간의 과장이 있더라도 늑대 본연의 모습을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만으로 이 책의 가치는 충분했을 테니까요. 

 

캐나다에서 그런 일이 있었는지 잘 모르지만, 늑대는 우화.동화를 통해 사람에게 해가 되는 동물로 인식되어진 건 사실입니다. 사람은 자신의 공포심을 이용해 순록이 사라진 책임을 늑대에게 뒤집어 씌우고 무차별적으로 공격했습니다. 

현명하기도 하지만 때론 한없이 어리석기도 한 우리, 사람답게 말입니다. 

 

이 책은 잘못 알려진 사실을 바로잡는 가치 뿐 아니라 장난기 넘치고 솔직한 모왓의 인간미가 느껴져 더 좋았습니다. 

모왓이 대학 시절 치열하지 않아(?) 공무원이 되었고, 대학에서 배운대로 높은 수준의 복종감을 발휘해 (까라면 까라는 문장이 떠올랐어요) 유배생활 같은 엘즈미어 섬으로 늑대연구를 갔다는 부분, 

쥐를 잡아먹는 늑대에게 영양적 불균형이 있을까봐 자신이 직접 쥐를 통째로 먹어봤다 하고, 

순록 수가 감소하는 이유가 모피 사냥꾼임을 알게 되자, 이렇게 말하기도 하지요. 

"이걸 그대로 보고하면 갈라파고스에 배치되어 거북이 진드기를 10년 이상 연구해야 할 걸~" 

 

사람들이 예전보다 늑대에 대해 잘 알게 돼도 이 책은 여전히 읽힐 거 같습니다. 

사실 여부를 의심받았던 이 책은 오히려 그 부분으로 독자를 매료시키거든요. 

 

            

 

 

 

읽은 날  2013. 1. 30     by 책과의 일상

http://blog.naver.com/cjii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