밖에서 본 한국사 - 김기협의 역사 에세이
김기협 지음 / 돌베개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밖에서 본 한국사, 김기협의 역사 에세이>

 

과거는 변하지 않는다. 학창시절 국사가 세계사가 그닥 재미있지 않았던 건 변하지 않는 과거

사실만 나열해 배웠기 때문이다. 변하지 않는 과거의 사실이 지금 우리에게 주는 의미를 찾지

못했기에 그저 암기과목으로 받아들였던 거 같다.   때로는 국가가 가르치고 싶어하는 사실만

배웠기에 주체적 역사관을 갖기도 어려웠을 테고.

 

학교 밖, 책을 통해 만나는 역사는 역사가에 따라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 우리 자신을 돌아보고

미래를 조망할 수 있게 해주기에 읽을수록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된다.

 

이 책 <밖에서 본 한국사>는 역사 에세이란 부제로 '밖에서' 우리의 역사를 돌아보고 국가보다

'민족'차원에서 서술했다는데, 솔직히 그 차이는 잘 모르겠다.  그렇지만, 이 책 전체를 관통하

고 있는 우리의 화이부동 和而不同 전통은 매우 인상깊었다.

 

그가 말하는 한민족은   '한반도에 농업국가를 이루고 살아오면서 형성된 민족' 이다.    원류는

만주의 선진문명을  수백 년 시차를 두고  받아들이는  후진지역으로  시작했다.     청동기시대

만주와 한반도에  알타이어계 언어를 가진  수많은 종족집단 중  대부분은   중국문명에 흡수된

반면, 한민족은 궁극적 정체성을 지켜왔는데  그 정체성의 바탕이  바로 화이부동이라 한다.

즉,  중국문명을 거부하지 않으면서  또한 거기에 매몰되지 않았던 것이 생존할 수 있었던 이유

라 한다.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고구려.  학교에서 배운대로  고구려는 삼국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 →  통일신라로 이어지는

흐름에 있는 우리의 고대국가로 다른 나라가 설 틈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었다.

그런데 고구려를 계승한 건  우리뿐만이 아니란다.  신라는 당시 제 코가 석자였기에  고구려의

작은 영토와 백성의 일부만 넘겨받았던 반면,  중국 (당시 당나라)은 고구려의 핵심요소를 계승

받았다.  그러나, 신라는 작게 계승받은 고구려를  반도국가 (고려)로  크게 발전시켰고,    크게

계승받은 만주지역은 뒤쳐져 야만의 땅으로 전락했다.

 

그 후 고려시대.   몽골이 유라시아를 휩쓸던 때   고려처럼 작은 나라가 30년 동안이나 버티고,

그 후 100 여년 간 몽골 지배를 받았지만,   한편으로 문명수준을 높여  적응력  강한  정체성을

만든 기회로 삼은 것 역시 화이부동의 전통이다.

 

그리고, 조선시대.

조선 건국자들이 문명수준이 높은 중국과의 관계를 풀기 위한 답으로 '사대'를 내놓았다. 이는

힘에 눌려 억지로 무릎을 꿇은 것이 아니라 천하질서에 능동적으로 공헌한다는 명분으로 약자

는 자존심을 지킬 수 있고, 강자는 약자의 태도가 일시적 득실에 따라 바뀌지 않으리라 신뢰할

수 있는 길이었다.

우리가 하대했던 '사대주의'는  19세기 말 일본이 조선의 독립성을 부정하고 청나라와의 관계

까지 폄하하려는 그네들의 나쁜 관념이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동화를 열심히 한 우리는  독립국으로 남아 있지만  거부한 지역들은  정복당했는데,

이런 모순된 상황이 바로 '화이부동'의 원리 탓이다.

중국문명에  동화되지  않은  곳은 '정복'의  대상이었고, 동화수준이  높은 곳은 안정된 관계를

자발적으로 추구해 위협으로 인식되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사실 동화란 단어는 불편하다.  우리가  가장 높은  문명국이  아니었다는 세삼스런 자각,  단지

살기 위해 같아지려 노력했다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  대신  동화란  단어를 '변화'로  치환하면

훨씬 수용이 쉬울 것 같다.

거대흐름의 변화를 외면한 채  자신의 고고함만을 지키려 하면  부러지거나 꺽히기 쉽다.  변화

흐름 속에 자신의 것을 추구해야만 온전하게 살 수 있다.

이러한 우리의 전통이  어느날 갑자기  해방을 맞아,  그동안  부끄러움의  대상 속에  같이 묶여

있었다.

 

이제 우리는 다시 우리의 전통을 찾아야 할 때다.

새로운  흐름이  겹쳐지고 있다.  시장  만능의  경제통합이  대다수  인류에게  바람직한 상황을

가져다 줄 것인지  의심되는 거대한 변화 속에  매몰되지도,  외면하지도 않고  우리의 정체성 -

화이부동을 찾아야 할 때다.

남을 깔보지  않으면서도  우리 뿌리에서  아낄만한 미덕을 찾고,  서로를 존중하면서도  우리의

떳떳함을 잃지 않는 '교양'의 정신, 서로간의 경쟁보다 '협력'을 해간다면 온전히 찾아지리라.

 

신영복 선생님의 작품

 

읽은 날  2011. 11. 3   by 책과의 일상

http://blog.naver.com/cjii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