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8만원 세대 - 절망의 시대에 쓰는 희망의 경제학 ㅣ 우석훈 한국경제대안 1
우석훈.박권일 지음 / 레디앙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88만원 세대, 우석훈, 박권일>
'요새 젊은이들은 말이야~'의 대화는 군대와 정치 얘기만큼 제각각이다. 각자의 경험과 시각에 각자의 젊은 시절을 오버랩시켜 지금의 젊은이 - 20대를 바라보곤 한다.
'너희들은 고생을 모른다' 하기도 하고 '너희들은 민주주의를 모른다' 라고도 한다.
난, 당연하다 생각한다. 개인의 안전이 보장되야 내가 아닌 타인을, 사회를 생각할 수 있는 게 아닐까. 아직도 가슴 속에 '혁명' 이라는 단어를 묻고 살아가는 386세대라지만, 다음을 보자.
"우리의 386세대는 대단히 강력하나, 대학개혁에 대해 거의 아무런 청사진이나 의미 있는 노력을 개진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학벌사회를 더욱 강화시키며 교육 엘리트주의를 강화시키는, 일종의 역사에 대한 배신을 행한 세대이다.
지금 10대와 20대가 맞게 된 조금 황당한 상황들은 사실 이 386세대에게 상당한 역사적 책임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세대는 IMF 이전에 이미 사회 진출을 상당 부분 완료한 연공서열의 마지막 세대이다.
세대 간 소득 이전의 가설을 통해서 보더라도 지금의 386들이 자신들의 경제적 성과물을 이전하게 될 다음 세대는 20대가 아니라 지금의 10대 초반, 아직 경쟁에 들어오지 않은 세대들이다."
우리(386세대)는 사회에 대한 뜨거운 고민을 했으나, 그냥저냥 공부해 어려움 없이 사회에 진입해 연공서열의 마지막 혜택을 누리고 있지만, 지금의 20대는 유치원부터 어렵게 공부해 바늘 구멍을 통과 할까 말까다.
386이전 세대는 고생을 많이 했다. 그러나 그들은 자신만 고생한 게 아니다. 나도 힘들고 너도 힘들고 모두가 힘들, 었다.
지금의 20대가 되어 보지 않고 각자의 잣대로 그들을 평하는 건, 위험하다.
88만원 세대, 이제는 너무 유명한 단어다.
"지금의 20대는 상위 5% 정도만이 한전과 삼성전자 그리고 5급 사무관과 같은 ‘단단한 직장’을 가질 수 있고, 나머지는 이미 인구의 800만을 넘어선 비정규직의 삶을 살게 될 것이다. 비정규직 평균 임금 119만원에 20대 급여의 평균비율 74%를 곱하면 88만원 정도가 된다. 세전 소득이다. 88만원에서 119만원 사이를 평생 받게 될 것이다."
그럼, 20대를 어떻게 해야 하나. 우석훈, 박권일의 얘기를 보자.
20를 위해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사회적 합의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한 가지는 현재의 88만원으로 충분히 살 수 있는 생활의 양식을 제시하거나 그런 사회를 만드는 방법이다. 이 길은 생태주의자들이 제시할 수 있는 해법이다. 현재까지 이런 방식으로 한 사회 전체를 재구성한 사례는 관찰되지는 않는다. 또 다른 해법은 이들의 소득이 높아지고 직업 안정성이 높아지는 방식으로 기존의 노동과 사회를 재구성하는 방법이다. 스웨덴이나 스위스가 대체적으로 이런 방법을 택했다."
생활양식, 그런 사회를 만드는 방법. 너무 먼 이상일 뿐 현실적이지 않다. 88만원 세대는 88만원으로 이렇게 살면 된다....로만 읽혀진다. 나는 이렇게 살테니 너는 요렇게 살라, 한다. 가혹하다.
스웨덴, 스위스 방식은 국가가 나서야 한다. 기득권을 다 내려놓고 어떤 협박과 위협에 굴하지 않고 reset 버튼을 누를 용기와 무모함을 단 5년에 해야,한다.
20대를 위해 필요한 어떤 것들, 저자의 얘기를 보자.
"다양하고 수준 높은 독서로 무장한 지금의 10대가 ‘지식경제 1세대’ 로 등장한다면 그 10대에 기대어 그나마 나을 것"
"20대들은 자신의 문제를 각자 알아서 풀게 될 확률이 높다."
'각자 알아서' 는 다음과 같다. 40대와 50대는 같은 돈을 지출하더라도 자기가 아는 사람이 있는 곳으로 간다. 그리고 ‘그 사람들도 먹고 살아야지’라는, 지역공동체가 살아 있던 시절에 배운 대로 조그만 가게에서 단골이 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지금의 20대는 상징적으로 표현하면 아는 사람이 운영하는 작은 카페보다 스타벅스를 더 선호하는..등등 문화적 배경이 스스로에게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20대 스스로를 위해 해야 하는 것을 보자.
"지금의 88만원 세대는 자신들이 있는 곳에 서 있기 위해서라도 어떤 식으로든 바리케이트가 필요하고, 만약 한 발이라도 자신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짱돌이 필요한 상황이다."
저자는 짱돌이 필요한 상황이라 말한다. 그러나, 내겐 '짱돌을 들어라' 로 읽혀진다. 네가 그렇게 힘들고 절박한 거 안다. 지금 상황에서 버티든가, 한발이라도 내딛고 싶다면 '좌우상하 살펴보지 말고 혼자 짱돌을 들라' 로 읽혀진다.
20대, 명품과 브랜드를 선호하는 너희들이쟎아! 공동체를 위한 소비, 안 하쟎아. 그런 성향대로 혼.자. 짱돌을 들어! 라고.
난 20대가 아니다. 88만원 세대란 신조어를 만들어 낸 그들의 날카로운 분석력을 높이 사지만, 마음에 울림이 없다. '희망' 찾기가 어렵다.
정작 20대는 이 <88만원 세대>를 어떻게 읽을까?

읽은 날 2008. 9. 22 by 책과의 일상
http://blog.naver.com/cji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