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옛적, 마을에 하나 뿐인 우물은 으례히 고약한 용이 지키고 있고, 그 물을 마시기 위해 처녀를 상납해야만 하는, 이런 류의 이야기를 어렸을 때 보고 듣고 자랐던 거 같다. 엇비슷한 이런 이야기는, 마을에 평민처녀가 없어 공주가 마지막으로 상납되어지는 순간 짜자잔~ 백마 탄 왕자가 나타나 그녀를 구한다는 해피엔딩으로 끝나기 마련이다.
 
 

올해 초3인 아들녀석이 질문을 한다.
"엄마! 생명은 소중한 건데 물을 구하기 위해 사람을 바쳐야 한다는 건 말이 안되지 않아?"

"어! 어.... -_-;  듣고 보니 그렇네."
그 순간 어렸을 때부터 으례히 그러려니 하고 살았다는 것이 너무나 또렷히 인식되었다.
왜 어렸을 때 이런 생각을 단.한.번.도. 하지 않았던 것일까!  이런 생각이 증폭되면 될수록 아들 녀석이 기특하기만 했다.
순간 당황한 나와 아들의 대화는 '생명은 소중하다. 물을 구하기 위해 딸을 바쳤어야 했다면, 이래도 죽고 저래도 죽으니 차라리 딸 가진 가족 혹은 마을사람들이 뭉쳐서 용과 싸웠으면 됐었을 것을. 고작 왕자 한명으로 용이 KO패 당했는데 말이야. 그치??' 로 급 마무리됐다.

자식의 청출어람은 부모의 큰 기쁨이다.
자의반 타의(부모)반 다독을 한 아이들이 만들어내는 세상은 어떤 세상일까? 진짜 궁금하다.

반면, 지금 10대가 만들어 낼 세상이 궁금한 또 하나 장면이 있다.
지금으로부터 3년전, 강남 유일의 ㄱ사립초교를 보내고 있는 친구의 말은 또 다른 측면에서 궁금증과 염려증을 불러일으킨다.
부모 중 한 사람만이 "사"자 직업을 가진 경우 그 아이를 안쓰러운 시선으로 본다는, 그 학교 학부모인 친구는 집에서 '밥'을 해 식구를 먹인 적이 없고, 자기들은 '유기농 쌀'만 먹는데(가끔 유기농 카레를 데워 먹기 위한 용도의 밥이다) 마트에서 산 쌀이 너무 맛이 없어 막내아들 장난감으로 갖고 놀게하다 버린다며, 진짜로 쌀을 갖고 놀고 있었다!
친구 자식이라도 지나친 행동은 어른으로서 한마디 해야한다는 사명감으로 4살짜리 친구 아들에게 아주아주 살짝 "그건 안되는거지?" 했다가,
자기 애는 태어나서 단.한.번.도. 안된다는 말을 들은 적이 없는데, 가족도 아닌 너한테 그런 말을 들어서 우리 아이가 당황해한다는 얘기를 듣기도 했다.

이건 뭐….
친구집에서 머문 2~3시간은 완전 딴세상 - 너무 아득한 물과 기름의 세상을 붕붕 떠다니는, 자신만 아는 이기적인 엄마가 바로 나였다.
X같이 더러운 기분으로 집에 돌아와 가족으로부터 '니가 정상이다'란 위로를 들으며 현실의 나로 돌아왔지만, 이런 아이들과 평생 살고 부딪혀야 할 우리 아이들이 걱정됐다.
같은 세대를 사는데 경제적 차이로 인한 백만가지 문화적 차이를 겪는, 출발선부터 달라 발생한 이 모든 차이가 과연 극복이 될 것인지...너무 궁금했다.

그 당시 7살이던 아들과의 대화는, 딱히 의견이랄 게 없고 엄마의 생각이 자신의 생각인지라 달리 기억나는 건 없다. 지금도 그럴거 같다. 뭐, 달리 할 말이 있으랴.
생명은 소중한 건데 물을 구하기....그런 생각을 할 수 있는 수준인만큼 백만가지 문화적 차이가 나는 친구들과 잘 조율하면서 살아갈 것이라고 믿을 수 밖에!

아이들이 만들어 갈 세상, 그 세상의 주체에 나도 포함되 있음을 인식하며...아이들과 대화를 많이 할 것이다.

by 책과의 일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