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보라가 치던 날 마음똑똑 (책콩 그림책) 71
셀린 클레르 지음, 친 렁 그림, 김유진 옮김 / 책과콩나무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따뜻한 등불 같은 그림책





이 책은 이방인이 아닌 ‘손님’에게 베푸는 친절의 힘을 알려준다. 아침이 밝아 오면 숲속의 동물들이 잠에서 깨어난다. 어떤 집은 하나둘 느릿느릿 몸을 일이키고 어떤 집은 보드라운 잠에서 깨어나기 싫은가 보다. 또 어떤 집은 떠들썩하게 아침을 맞이한다. 아침 식사로 빵에 달콤한 꿀을 발라 먹고 있으면 모두에게 새로운 소식이 배달된다. 그런데 오늘은 폭풍이 다가오고 세찬 바람이 불고 거센 눈보라가 몰아 칠 것이라는 나쁜 소식이 있었다. 나쁜 소식을 들은 동물들은 잘 준비하여 무사히 지나갈 수 있을까?





나쁜 소식을 들었으니 미리 준비를 하면 된다. 나뭇가지를 주워 모으고, 먹을 것을 쌓아 두면 눈보라도 끄떡 없다. 숲속 동물들은 부지런히 일했다. 다 같이 힘을 합쳐서 동물들은 준비를 마치고 가만히 귀를 기울였다. 바람이 점점 거세시지 시작했다. 다들 궃은 날씨를 피해 집에 들어갔다 하지만 꼬마 여우는 마음이 놓이지 않는지 자꾸만 바깥을 살폈다. 바람이 무섭게 부는 가운데 저 멀리서 두 개의 그림자가 안개를 뚫고 마을로 다가왔다. 모두가 작은 창 너머로 그림자를 지켜보았다.




'실례합니다. 바람이 몹시 차서요. 차를 나누어 드릴 테니, 댁의 난롯불에 손을 조금 녹여도 될까요?.



'우리 집 불은 다 꺼졌소이다. 옆집으로 가 보시오'


'우리도 먹을 게 없어서요'


'우리 집은 좁아서요' 








곰 형제는 서로에게 꼭 붙어서 바람을 맞으며 걸음을 옮겼다. 바로 그때 등 뒤에서 누군가의 목소리가 들렸다. 꼬마 여우는 먹을 것도 아니고 별로 따뜻하거나 밝지도 않지만 자신의 등불을 나누어준다.  어느새 어둠이 싸늘하게 가라앉았다. 눈은 펑펑 쏟아져 내리다가 어느새 땅을 하얗게 덮었다. 곰 형제는 웃으며  서로에게 장난을 쳤다. 오늘 밤에는 푹신한 눈 이불을 덮고 잘 수 있겠다. 한편 여우네 집에서는 위험한 일이 벌어지고 있었다. 눈이 너무 많이 쌓인 나머지 지붕이 무게를 견디지 못했다. 집이 무너지기 전에 서둘러야 한다. 여우네 가족은 허둥지둥 밖으로 빠져나갔다. 여우네 가족은 불빛 쪽으로 걸음을 옮겼다. 가까이 다가가자 향긋한 계피와 생강 냄새가 느껴졌다. 눈보라가 휘몰아치고 달이 보이지 않아 깜깜한 밤, 두 낯선 이들이 만든 작은 보금자리의 문이 활짝 열렸다.











난민 [refugee, 難民] 이란 인종, 종교 또는 정치적, 사상적 차이로 인한 박해를 피해 외국이나 다른 지방으로 탈출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난민의 일반적 의미는 생활이 곤궁한 국민, 전쟁이나 천재지변으로 곤궁에 빠진 이재민을 말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주로 인종적, 사상적 원인과 관련된 정치적 이유에 의한 집단적 망명자를 난민이라 일컫고 있다.  2015년 세계를 충격에 빠트린 사진 한 장이 있었다. 그것은 ‘알란 쿠르디’라는 3살배기 어린 아기의 사진이었다. 그 아이는  시리아 내전으로 인해 가족들과 함께 유럽으로 이주하던 중 지중해에서 배가 난파되었고 터키 보드룸의 해변에서 사망한 채로 발견되었다. 마치 엎드려 자고 있는 듯한 그 모습은 세계인의 가슴을 울렸고 난민과 내전에 대한 경각심을 다시금 일깨워 주는 큰 계기가 되었다. 난민에 대한 기본적인 생각과 불신, 또한 그들이 저지를 수 있는 범죄 행위, 종교 문제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이다.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랜 기간 전쟁이 없이 지내오고 가장 부유하고 부강한 요즘이지만 현실에서는 여전히 전쟁과 기근, 내전이 끊이질 않는다. 인간의 탐욕, 욕심, 이기심은 줄어들지 않기에 그 피해는 어린아이, 여성, 노약자 등이 받는다. 무분별한 포용정책은 독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죽어가는 이들에게 어떠한 도움도 주지 않는 다면 그들은 굶어 죽거나 폭탄에 맞아 죽거나 아니면 바다를 표류하다가 제2의 쿠르디가 발생 할 수 밖에 없다. 하루 속히 머리를 맞대고 난민 문제에 대해 끊임없는 토론으로 상생의 길이 속히 이뤄지길 바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