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숙제 손 지우 ㅣ 작은책마을 53
최도영 지음, 최민지 그림 / 웅진주니어 / 2022년 5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어린이의 답답한 마음을 풀어 주는 동화
이 책은 어른들이 무심코 던진 말 때문에 어린이의 마음에 금이 가는 순간을 포착한 동화집이다. ‘파마 임금님’ ‘숙제 손 지우’ ‘맞혀 맞혀 다 맞혀’ 3편의 단편 구성되어 있다. 유치원생,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 입에서 ‘아이 씨~’ ‘짜증나’ ‘죽고 싶어’ 라는 말이 나오면 부모들은 즉각 반응을 한다. 아이들은 알게 모르게 자신이 한 말이 나쁘다는 것을 즉각 인식하고 조심하려고 한다. 하지만 부모들은 아이들 앞에서 아무 생각 없이 혹은 큰 관심을 두지 않고 상처 가득한 말들을 자주 내뱉곤 한다. 책을 통해 아이들의 마음을 한 번 살펴보는 시간이 될 듯 하다.
<파마 임금님>은 주인공 1학년 ‘수호’ 처음으로 파마 하는 날이다. 엄마의 칭찬을 잔뜩 받는 동생 ‘영교’가 늘 신경 쓰였는데 미용사 아주머니의 한 마디 ‘형이랑 동생 중에 누가 더 잘하나 봐야지’라는 말이 너무 못 마땅하다. 그러다 파마 나라의 임금을 보게 되고 임금은 자신을 알아보는 사람 앞에만 나타나고 자신이 선물을 주고 쉬러 가면 깨어난다고 한다. 그리고 수호를 위한 파마 축제를 열어 준다. 수호는 자신이 하고 싶은 파마인 회오리 파마를 하고 동생 영교 머리를 버섯처럼 동그랗게 만들고 어른들은 머리털을 사자 갈기처럼 사자 파마로 우스꽝 스럽게 만든다.
<숙제 손 지우>는 엄마 나 넘어져서 다쳤어 라는 지우의 말에 엄마는 쳐다보지도 않은 채 빠르게 숙제 있니? 라고 답을 한다. 엄마는 지우에게 등을 돌린 채 책가방을 뒤적이자 지우는 발칵 성이 나서 자신이 다쳤음을 알려준다. 그제야 엄마는 찔끔하며 놀라 뭐? 왜?라고 반문한다. 지우는 축구 반에서 뛰다가 엎어졌다고 하지만 상처를 본 엄마는 겨우 조금 긁힌 거 갖고 엄살 부리지 말고 핑계 대지 말고 숙제부터 하라고 한다. 지우의 입, 다리 등이 없어지고 결국 숙제하는 손만 남게 된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에서 ‘아메리칸드림’ 이라는 주제로 ‘당신은 언제 성공했다고 생각하느냐?’라고 1654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했다. 1위는 바로 ‘존경 받는 부모가 되는 것’이었다. 한국의 많은 젊음 부모들은 아이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싶냐는 질문에 친구 같은 부모라고 대답을 한다. 이것은 자신들이 기성 세대인 부모와의 관계가 가깝지 않음을 시사하고 있는 듯 하다. 50~60년대 태어난 기성 세대들은 먹고 사는 것으로 인해 자녀 교육에 소홀하였고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추억을 쌓을 여력이 없었다. 현재 젊은 부모 세대인 70~80년대 생들은 자신들이 경험하지 못한 것을 자녀들과 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투자하려고 하지만 어찌할 바를 몰라 허둥지둥 거리고 있는 듯 하다.
보통 어른과 아이의 대화는 8:2이다. 어른이 80% 비중으로 말을 한다면 아이가 20% 말을 하는 것이다. Yes Case 대화(아이의 잠재된 능력을 믿어주고, 인정, 존중, 지지를 아끼지 않는 대화)를 하게 되면 어른과 아이의 대화가 기본적으로 5:5는 된다. 물론 이상적인 대화는 아이가 더 많은 비중으로 이야기 하는 2:8인 대화일 것이다. 아이들이 부모가 아무리 좋은 이야기를 많이 해도 듣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아마 자신의 마음 속에 있는 답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니 부모로서 정보를 제공해줄 수는 있어도 그것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 그것은 부모의 답이지 아이 답이 아니기 때문이다. 책을 다 읽고 나니 예전에 보았던 한 구절이 떠오른다.
“어리석은 부모는 자녀를 자랑거리로 키우려고 하지만 지혜로운 부모는 자녀의 자랑거리가 되고자 노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