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름다운 우리 섬에 놀러 와 ㅣ 우리 그림책 39
허아성 지음 / 국민서관 / 2022년 5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소녀의 마음이 담긴 플라스틱
이 책은 플라스틱병의 바다 여행을 통해 해양 오염을 알려준다. 한 소녀가 플라스틱 병에 편지를 담아 바다에 띄운다. 과연 그 안에는 무슨 내용이 담겨져 있을까? 플라스틱병은 어떤 바다 여행을 하게 될까? 무심코 바다에 던진 플라스틱병은 과연 어떻게 될까? <아름다운 우리 섬에 놀러 와>를 통해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같이 생각해보자.
바다 여행을 하던 플라스틱병은 바다 거북을 만나게 된다. 그런데 바다 거북의 모양이 심상치 않다. 목은 그물에 걸려 있고 등껍질 또한 온전한 상태가 아닌 듯 하다. 이러한 모습을 통해 현재 겉으로 보여지는 파란 색 바다와 그 속에 있는 수많은 쓰레기가 어떻게 동물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지 잘 표현 해 준다.
죽어 있는 고래의 모습, 그리고 부패한 모습과 옆에 같이 죽어 있는 물고기들, 온전하지 못한 갈매기들 지속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파랗고 깨끗한 바다의 이미지와 상반된 현실을 보여준다.
책은 해양 오염, 쓰레기 문제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쉽게 설명해준다. 현재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플라스틱 소비량 1위라는 오명을 가지고 있다. 얼마 전 커피숍에서 일회용 컵 사용을 제한하자 많은 이들이 반 강제적으로 텀블러를 비롯한 다양한 방법으로 변화를 시도할 수 밖에 없듯이 개개인이 무심코 버리는 수 많은 쓰레기들 중 특히 분해가 거의 되지 않는 플라스틱은 바다 속 깊은 곳에 계속 쌓이고 있다. 태평양 한가운데 플라스틱 섬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 떠내려온 쓰레기들을 보면 심심치 않게 한국어를 볼 수 있다. 망망대해를 건너 쓰레기는 모여서 인공 섬을 만들고 있지만 모두 외면하고 있다. 거북이가 그물에 목이 졸려 굶어 죽고 새의 날개가 상처로 인해 곪아 있는 사진으로는 우리의 인식의 변화를 시도할 수 없을 것이다. 나의 작고 미약한 움직임이지만 바로 실천을 해야 한다는 절박함이 책을 통해 전해지는 듯 하다. 해양 오염에 관한 이러한 책을 지속적으로 아이와 같이 봄으로써 재활용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을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