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컬러愛 물들다 - 이야기로 읽는 다채로운 색채의 세상
밥 햄블리 지음, 최진선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2년 4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이야기로 읽는 다채로운 색채의 세상
이 책은 알아두면 쓸모 있는 여러 가지 색에 얽힌 교양과 상식이 가득 담겨 있다.
- 올해의 트렌드를 선도할 색은 뭘까?
- 미국 대통령 관저는 왜 하얀색의 백악관이 되었을까?
- 세상에서 가장 불쾌한 색은 뭘까?
- 1억 가지 색을 구별하는 초능력자 테트라크로맷의 정체는?
- 미국 지폐를 그린백(Greenback)이라고 부르는 데는 이유가 있다!
- 하얀색 웨딩드레스는 누가 처음 입었을까?
- 이발소 회전간판은 언제부터 빨강, 파랑, 흰색이었을까?
- 우수한 사람에게 왜 파란 리본을 수여할까?
이발소를 상징하는 줄무늬 회전 간판의 유래는 1500년대 이전의 이발소는 이발과 면도 외에도 많은 편익을 제공하는 곳이었다. 머리에서 이를 잡아주고, 치아도 뽑아주고, 피 뽑기 같은 간단한 외과적 시술을 행했다. 피를 뽑으면 몸속 체액의 균형이 바로잡혀 병이 치료 된다고 믿었던 당시 사람들은 이발소에서 이러한 행위를 하였다. 이발소 회전 간판은 이 모든 과정을 담은 상징물이다. 먼저 회전 간판 기둥 맨 위에 붙어 있는 놋쇠 공은 환자의 피를 모아두는 놋쇠 양동이를 의미한다. 기둥은 이발사가 혈관을 잘 찾을 수 있도록 환자가 꼭 붙잡던 막대기이다. 빨간색과 하얀색의 줄무늬는 사혈 과정에서 사용된 붕대를 뜻한다. 하얀색은 깨끗한 붕대를, 빨간색은 수술 후 피로 물든 붕대를 나타낸다.
패스트푸드점 간판은 유난히 빨간색과 노란색이 어울어져 있다. 이런 현상이 '케첩 머스터드 이론'이다. 이 두 가지 원색이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기운과 힘을 복돋아주면서 동시에 패스트푸드점의 회전율을 빠르게 촉진시킨다. 빨간색과 노란색으로 내부를 디자인하면 느긋하게 쉬고 휴식을 취하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는다. 맥도날드, 버거킹, 웬디스, 인앤아웃버거, 하디스 등 많은 패스트푸드점이 회사 로고에 빨간색이나 노란색이 들어가 있다.
컨테이너는 다양한 색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색깔이 나타내는 숨은 의미는 다음과 같다. 흰색과 황갈색은 한 번 사용 후 보관 기구나 조립식 구조물로 용도가 바뀔 가능성이 큰 컨테이너를 일컫는다. 오래되어도 크게 티가 나질 않는 갈색과 밤색은 선박 회사 간에 사고팔기 쉬워 인기가 있다. 파란색, 녹색, 빨간색, 주황색 등 외관이 밝은 컨테이너는 눈에 잘 띄어 세계적인 대형 해운사가 자주 이용하는 편이다.
1814년 영국군이 미국의 수도 워싱턴 D.C를 점령했다. 이때 ‘대통령의 관저’까지 불태워버렸다. 미국은 영국군이 퇴각하고 복구 작업에 들어갔을 때 ‘대통령의 관저’의 검게 그을린 자국을 지우기 위해 건물 외벽을 흰색으로 칠했다. ‘백악관(White House)’ 이름의 유래라고 알려졌지만 이건 사실이 아니다. 진짜 유래는 1792년 대통령 관저를 짓기 시작했다. 건물 외벽 자재로 사암을 이용해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건축되었다. 외관에는 금이 가거나 훼손될 경우를 대비히 석회로 된 백색 도료를 표면에 칠했다. 장시간 날씨에 영향을 받으면 변색될 것에 대비해 추가로 코팅 작업도 했다. 주위의 빨간 벽돌 건물들과 너무나 대조되는 흰색 건물 외관이어서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백악관’이라 부르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