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똥보다는 불씨가 좋아! 맑은아이 6
이이나 지음, 변우재 그림 / 맑은물 / 2022년 4월
평점 :
일시품절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불의 좋은점과 위험성





이 책은 불과의 적당한 거리, 불을 안전하게 다루는 방법 등 불과 관련한 생각할 거리가 담겨 있다. 불은 인류의 발전과 뗄 수 없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현재도 생존과 직결된 요소 중 하나이다. 잘못다루면 큰 화를 입게 되지만 잘 다루면 너무나 좋은 도구가 될 수 있다. 그럼 불에 대해 어떻게 대해야 하는 지 또한 무엇을 조심해야 하는지 숲속 동물들이 피운 모닥불을 통해 한 번 알아보자.

 





모닥불을 피우자 솔솔 부는 가을바람에 밤이랑 고구마가 더 맛있게 노릇노릇 구워진다. 나뭇가지와 솔방울이 타닥타닥 소리를 내며 자그많고 따뜻한 불씨를 낸다. 밤잠 없는 고양이가 모닥불이 일렁이는 모습에 맞춰 경쾌하게 춤을 추다 그만 따뜻한 모박불에 가까이 다가간다. 발을 다치고 수염이 그슬려 다쳤다. 




갑자기 부는 거센 바람에 모닥불 불길이 커졌다. 숲속 친구들은 불길을 잡기 위해 부엉이와 참새가 커다란 잎사귀에 물을 담아 뿌리고 토끼는 깡충깡충 뛰어올라 흙을 뿌린다. 곰이 물에 적신 담요를 가져와 덮자 순식간에 불길이 잡혔다. 








곰은 작은 불씨를 조심스럽게 대하고 계속해서 지켜보기로 한다. 불길이 커지면 흙이나 물을 뿌리기로 한다. 불길이 작아지면 낙옆이나 나뭇가지를 놓기로 한다. 혹시라도 큰불이 나면 부엉이는 훨후러 날아서 모두 알려주고 참새는 둥지마다 찾아가 잠자는 친구를 깨우고 토끼는 깡충깡충 뛰어서 불길이 어디까지 번졌는지 망보고 고양이는 모래가 많은 구덩이를 아니 그쪽으로 안내하기로 한다. 어떻게 다루는지 알면 더 이상 무섭지 않다. 불장난만 치지 않으면 불은 언마든지 상냥하다. 너무 가까이 불이 화를 내니 딱 좋은 거리까지만 가야 한다는 사실을 재미있게 알려주는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