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과 결정은 타이밍이다 - 1%의 미련도 남지 않게 최선의 선택과 결정을 하는 법
최훈 지음 / 밀리언서재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선택과 결정의 타이밍을 찾는 법





이 책은 결정장애에서 프로결정러가 되기까지 노력한 저자의 진솔한 경험담이 묻어 있다. 결정 장애 (決定障礙) 라는 말을 최근 많이 쓰기 시작했다. 행동이나 태도를 정해야 할 때에 망설이기만 하고 결단을 내리지 못하는 일을 뜻한다. 끊임없는 삶의 선택 가운데 망설이거나 남에게 의존하는 이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듯 하다. 저잔는 스스로를 결정 장애를 가진 선택불가증후군이라고 표현한다. 그랬던 그가 어떻게 프로결정러가 되었는 지 책을 통해 알아보자.



’선택‘의 사전적 의미는 ‘여럿 가운데서 필요한 것을 골라 뽑는다’이고 ‘결정’의 사전적 의미는 ‘행동이나 태도를 분명하게 정한다’이다. 결정을 두려워하는 사람으로 살지 않기 위해서 나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바로 내 삶의 주체가 ‘남’이 아닌 ‘나’라는 주체성을 가지는 것이다. 내가 주체가 된다는 것의 핵심은 나를 아는 것이다. 내가 무엇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 내가 어떤 것을 꺼리는지, 또 어떤 것을 기꺼이 수용하는지, 내가 하고 싶은 것과 하기 싫은 것이 무엇인지 등을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내 안에 있는 나와 직면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선택과 결정은 우리가 살아가는 데 빠질 수 없는 행위다. 매 순간 선택과 결정을 잘하지 못한다면 선택불가증후군일 수 있다. 선택과 결정에서 자유로워지기 위해 저자가 가장 먼저 한 것은 선택과 결정은 누구에게나 쉬운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다. 누구에게나 선택과 결정은 어렵지만 사안에 따라 쉽게 결정할 수 있는 것도 있지만 많은 시간과 노력, 비용을 투입해서 옳은 결정, 내가 원하는 결정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려고 노력했다.











선택과 결정을 잘하는 긍정주의자들의 세 가지 특징

➀잊어버려야 할 때를 안다.

➁스스로를 용서한다.

➂스스로 동기부여를 한다.

 




선택과 결정을 어려워하는 사람이 단순하게 생각해야 하는 이유

➀생각이 많아지면 불필요한 걱정을 하게 된다.

➁단순하지 않으면 정리하기도 어렵다.

➂중요한 순간 기호를 놓치게 된다.




저자는 장교로 군무하고 나서 취업을 하기 위해 대기업을 포함한 20여군데에 이력서를 넣고 취업을 준비하는 과정, 취업을 하고 나서 직장 생활을 하는 내용, 이직을 준비하는 과정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그런 삶속에서 자신의 선택과 결정이 기회를 만듬을 알고 훈련을 반복한다. 타인이 아닌 자신만의 기준을 가져야만 그 선택에 만족감을 얻게 됨을 알게 된다. 또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망설이지 않고 결정하고 행동하는 것을 강조한다. 머뭇머뭇 거리며 타인의 눈치를 보는 많은 결정 장애를 가진 이들이 읽으면 좋을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