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루기 힘든 아이 문제는 따로 있다 - 산만한 내 아이에게 필요한 실천적 인지 기능 트레이닝
미야구치 코지 지음, 이광호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2년 2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아동정신과 의사가 개발한 혁명적인 ‘인지 기능 트레이닝’
이 책은 감정 조절이 안 되고 또래와 잘 지내지 못하고 산만한 아이를 위한 인지 기능 트레이닝을 담고 있다. 우선, 인지 트레이닝이란 ‘인지 기능에 특화한 트레이닝’으로 목적별로 학습과 사회성, 신체능력과 같은 3가지 면에서 훈련한다. 이는 학교나 사회생활에서 어려움을 겪지 않는 데 필요한 3가지 면(사회면, 학습면, 신체면)을 개선·강화하고 아이를 지원하기 위한 포괄적인 프로그램이다. 인지능력을 키우기 위한 방법으로는 점 연결하기, 사과 세기, 똑같은 그림 찾기 등이 있다. 대인관계능력을 향상하는 방법으로는 자신 알기, 감정 조절하기, 시간차 일기 등을 제안한다. 신체능력을 키우는 방법으로는 한 발로 서기, 봉 돌리기, 테니스공 쌓기 등이 있다. 아동정신과 의사인 저자가는 오랜 기간 소년원의 아이들을 통해 자신이 개발한 방법으로 효과를 보았다. 이것을 토대로 이 책은 쓰여졌다.
아이가 초등학생 때는 스트레스가 쌓여도 어떻게든 주위 어른의 도움으로 헤쳐나간다. 하지만 중학교에 들어가면 상황이 완전히 달라진다. 잘 적응하지 못하고 생활하기 힘듦의 신호가 간과된 채 중학생이 되면 어떤 일을 맞이 하게 될까? 중학생이 되면 사춘기에 접어들어 신체 변화와 더불어 정서적으로 불안정해진다. 개인의 상황 변화에 적응하기도 전에 학교에서는 정기적인 테스트, 선후배, 클럽 활동, 이성과의 관계 등 주변 환경도 큰 폭으로 변동하는데 이것이 아이에게 큰 스트레스로 작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아이라면 이 문제를 부모에게 의존하면서 한 편으로 반발하기도 하지만, 그런 과정을 반복하면서 부모와 아이는 변화를 인정하며 점차 안정되어 간다. 하지만 변화에 잘 적응하지 못하거나 자기표현에 서툰 아이는 혼자 대처해 나가며 좌충우돌하게 된다. 그로 인해 성숙하지 못한 모습이나 불만이 표출된다. 학교에 가서 욕설이나 폭력을 사용하기도 하고 물건을 부수거나 불량한 패거리와 어울리거나 밤을 배회하며 범죄에 가담하기도 한다. 이른바 ‘문제 행동’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다. 그로 인해 학교에 갈 수 없게 되거나, 경찰의 보호관찰 대상이 되거나 범죄 행위로 체포되기도 한다.
아이가 잘 적응하지 못하고 생활하기 힘듦은 초등학생 무렵부터 가시화된다. 소년원에 있는 아이들은 난폭한 불량배가 아니라 모든 일에 서툴고 잘 적응하지 못해 생활하기 힘든 아이들이다. 아이가 드러내는 어려움에 처한 신호를 알아채고 보완해주어야 한다. 학교에서 잘 적응하지 못하고 생활하기 힘든 아이는 살아가는데 필요한 3가지 능력(인지, 대인관계, 신체)이 결여되어 있다. 서투른 아이가 적절한 지원을 받지 못한 채 어른이 되면, 사회생활이 곤란해져 범죄 등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크다. ‘그레이존’(경제선 지능-IQ 70~84)은 세계 인구의 약 16%가 해당된다. 한 반이 30명이라면 그중 5명은 그레이존인 것이다. 청소년이 변하는 계기를 아는 것은 잘 적응하지 못하고 생활하기 힘든 아이를 돕는 데 정보가 된다. 잘 적응하지 못하고 생활하기 힘든 아이에게 어른이 해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것은 안심의 토대가 되는 것과 반주자의 존재가 되는 것이다.
책에에는 장애아라는 표현 대신 서툰른 아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즉, 인지 능력이 대인관계가 신체 능력이 서툰 것 뿐이다. 학교와 집에서 충분한 교육을 통해 극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른 아이보다 느린 것뿐이지 잘못된 것은 아님을 기억해야 한다. 아이는 교육을 통해 실패와 좌절이 아닌 성공과 성취를 느낀다면 자신의 길을 찾고 꿈을 향해 묵묵히 걸어나갈 수 있다. 공격적이고 무기력한 아이를 가진 부모라면 한 번쯤 책 속에 나와 있는 다양한 트레이닝을 실천해보고 자신의 아이가 그레이존에 해당 되는지 살펴보면 좋을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