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매기 씨의 달리기 도란도란 우리 그림책
일루몽 지음 / 어린이작가정신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외로운 상처투성이 갈매기 씨의 조금 특별하고 아주 소중한 만남





이 책은 날개를 다쳐 날지 못하는 갈매기 씨의 소중하고 특별한 만남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주인공 '갈매기' 씨는 갑자기 혼자가 되었다. 사고로 가족을 모두 잃고 자신도 한쪽 날개를 다쳐 두 번 다시 날지 못하게 되었다. 가족도, 하늘도 잃은 갈매기 씨는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았다. 잠도 잘 수 없었다. 이대로는 안 된다는 생각에 갈매기 씨는 방방곡곡 멋진 곳을 모두 갔지만 어디에서도 즐겁지 않았다. 소문 난 음식도 전혀 맛있지 않았다. 과연 갈매기 씨는 앞으로 어떻게 살아갸 할까? 갈매기 씨는 어떤 선물을 받게 될까?



갈매기 씨는 달릴 때는 딴 생각이 들지 않자 밤낮으로 달리기를 시작했다. 그러던 어느 날 아침에도 보았던 벤치 위에 알 하나가 저녁에도 여전히 있는 것을 발견한다. 갈매기 씨는 곧 알을 깨고 세상에 나올 아기 새의 가족이 되어 주기로 했다.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 보고 집 안을 청소하면서 곧 태어날 아기 새를 기다렸다. 그런데 알을 깨고 나온 건 새가 아니라 오리너구리였다.




이제 한쪽뿐인 날개로 아기를 돌보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었지만 그래도 갈매기 씨는 힘든 줄 몰랐다. 맛있는 음식도 함께 멋진 곳도 함께 할 가족이 생겼기 때문이다. 동화 책 속 갈매기 씨는 단순히 외로움을 극복하는 인물로만 보이지 않는다. 편부모 혹은 피부색이 다른 입양을 한 부모로 보이기도 한다. 여전히 한국 사회에서는 다문화에 대한 거부감이 있고 이혼하여 혼자 아이를 키우는 부모를 색안경 끼고 보는 것이 남아 있는 듯 하다.





책을 보면서 불과 30년 전이지만 골목길에서 아무 이유 없이 지나가는 아이를 향해 애비 없는 놈, 에미 없는 년이라는 말을 아무렇지 않게 하는 어르신들의 모습이 떠올랐다. 지금은 거의 들을 수 없는 말이지만 현재 그 아이들은 어른이 되었을 텐데 당시 어떤 상처를 받고 자랐을지 생각만해도 까마득 하다. 주인공 갈매기 씨의 내용이 책을 읽는 아이에게 편부모와 같이 자라는 사이, 조부모와 같이 사는 아이, 피부색이 다른 아이를 편견없이 받아들이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