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고양이는 어디로 갔을까? - 지구를 지키는 친환경 도시 이야기 로빈의 그림책장
올리비에 댕-벨몽 지음, 파흐리 마울라나 그림, 박정연 옮김 / 안녕로빈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지구를 지키는 친환경 도시 이야기

 

 

이 책은 자연과 이웃과 더불어 사는 미래 도시인의 모습을 보여준다. 주인공 '카미유'는 부모님과 함께 퍼머시티로 이사를 왔다. 퍼머시티는 새로 생긴 친환경 도시이다. 이곳은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해 휘발유 모터로 움직이는 이삿짐 트럭은 운행할 수 없다. 이웃 아주머니는 흙으로 지은 집에 산다. 이 밖에 친환경 도시 퍼머시티에는 무슨 특별한 것이 있을까?

 

 

 

 

 

 

 

 

 

 

 

 

 

 

 

퍼머시티 동네의 집들이 아래부터 위까지 층층이 쌓여 있다. 이곳 주민들은 모두 자기 집이 서 있는 땅의 주인이다. 같은 땅에 집을 지은 사람들이 땅값을 나누어 내니깐 적은 비용으로 자기 땅을 가질 수 있다. 개방된 공공장소는 광장, 공원, 체육시설, 문화 공간이다. 지붕 위에는 도시 텃밭과 도시 농장이 있다. 주민들은 각자 자기 땅에서 농사를 짓고 가축을 키운다. 퍼머시티에서 사용하는 전기 에너지는 대부분은 풍력 발전기를 통해 만든다.

 

 

 

 

 

 

 

 

 

 

 

 

 

 

 

이곳 주민들은 음식물이나 식물처럼 잘 썩는 쓰레기를 환기가 잘 되는 통 안에 넣는다. 통 안에는 지렁이나 지네, 민달팽이가 쓰레기를 빠르게 분해해서 퇴비를 만든다. 책 속에는 현재 일어나고 있는 부분도 명시되어 있다. '지역화폐'같은 경우 코로나 사태이후 많은 도시에서 생산과 소비를 촉진하게 위해 사용되는 정책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단순히 자연을 보호하는 것을 넘어 자연과 공존할 수 있는 여러 방안들도 소개되고 있다.

 

 

 

 

 

 

 

 

 

 

 

 

 

 

퍼머시티 라는 단어는 '퍼머컬처(perma_culture 영속농업)'시테(cite 도시)의 합성어이다. 책 속 색으로 표시된 단어는 지구를 지키는 마법의 단어들이다. 그 단어들의 뜻은 맨 마지막에 잘 설명되고 있다. 도시 농장, 로우테크놀로지, 메가스티럭처, 생물기후학 건축, 생물다양성, 생태계, 선스크린, 세 자매 농법, 재생 에너지, 지구온난화, 조작된 기계 고장, 지속가능한 도시, 친환경 단열재, 패시브 건축, 화석 에너지 등과 같은 단어에 대해 아이가 직접 읽고 미래를 꿈꿀 수 있을 듯 하다.

 

 

 

 

 

미래 도시의 모습은 과연 어떤 도시일까? 라는 상상을 많이 하게 된다. 불과 20~30년 전만 해도 스마트폰 세상을 꿈꾸지 못했다. 하지만 지금은 스마트폰 없는 세상을 꿈꾸기 힘들다. 가끔 보이던 전기차, 수소차도 심심치 않게 보인다. 멀게만 느껴지던 드론도 일상으로 점차 들어오고 있다. 그렇다면 아이에게 친환경 도시의 미래를 엿 볼 수 있는 이 책은 더욱더 아이의 상상력을 자극 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