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장의 포식자들
장지웅 지음 / 여의도책방 / 2021년 10월
평점 :
절판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피식자의 프레임을 벗어 던지고 포식자의 논리를 깨닫자!




이 책은 시장경제의 민낯을 알려준다. 금융시장은 거대 자본, 외국인과 대기업, 대주주가 패권을 쥐고 있다. 그들은 목적을 위해 정의를 의용한다. 이익을 위해서라면 언제든 정의로움을 연출할 수 있다. 착한 기업이란 존재하기 어렵다. 덜 나쁜 기업과 더 나쁜 기업이 있다고 생각하는 게 옳다. 대기업, 기관, 글로벌 기업, 일본과 중국을 포식자로 표현하였고 노조를 피식자로 표현하였다. 그는 왜 이렇게 표현 하였을까? 



기업의 최대 목표는 ‘이윤창출’이다. 사회를 시끄럽게 하고 뉴스에서 연일 범죄 사실을 직시 하더라도 기업은 이윤을 창출하지 못하면 존재할 필요가 없다. 저자는 기업을 판단하는 시각을 바꾸라고 한다. 투자자로서 기업의 부도덕과 불법, 오너의 죄질에 집중하는 것이 아닌 성장을 하고 있는가? 이윤을 창출하는가? 미래 지속적인가를 보라는 것이다. 대기업의 지배구자가 어떻게 승계할 것인지 구조도를 봐야 한다. 개인 투자자는 대기업의 핵심 산업에서 투자의 기회를 엿봐야 한다. 코스피에서는 대기업의 핵심 산업을, 코스닥에서는 핵심 산업의 협력 업체에 투자하면 된다. 투자자라면 바꿀 수 없는 현실을 개탄할 게 아니라 투자의 기회를 어디에서 발견할지에 주목해야 한다. 세상을 바꾸지 전에 나 자신부터 바꿔야 한다. 대한민국 사위 20개 대기업 중 유죄판결을 받지 않은 곳은 카카오와 미래에셋이 유일하다. 유조 판결을 받지 않은 두 기업의 공통점은 기업 승계가 진행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정확히 말하면 2세 미승계가 공식적인 입장이다. 





 







현재 한국에서는 많은 부의 대물림이 일어나고 있고 기업의 자녀 승계는 더욱더 가속화 되고 있다. 저자는 한국의 특유의 상황과 높은 세율이 더욱더 부추긴다고 주장한다. 돈을 벌고 포식자가 되기 위해선 대주주의 관점에서 기업을 바라보고 오너의 입장에서 미래를 생각하는 것을 예상해야만 한다고 말한다. 



지난 번 저자의 <주가 급등 사유 없음> (https://blog.naver.com/chihanjjang/222215016526) 은 주가에 국한 되었다면 이번 편은 기업을 바라보는 시각을 다양하게 제시한다. 많은 증권사가 장기 투자를 권하지만 본인들은 정작 초단위 단타를 한다. 또한 기업과 동반 성장, 가치 투자라고 말하지만 어느 누구도 실적이 악화되거나 주가가 하락하거나 또는 많은 이윤을 창출하였지만 배당을 하지 않고 재투자를 하는 것을 원하는 않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인다. 그것은 아직 우리가 포식자의 모습을 살아가기를 주저하는 것이다. 





주식시장은 5~10년 간격으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한다 경기 역시 5~10년 간 간격으로 ‘호황-후퇴-불황-회복’의 과정을 반복한다. 현재 2021년 경기 확장국면이므로 어떻게 좋은 종목을 찾아 수익을 낼지 집중하는 것이 우선이다. 연준이 본격적으로 유동성을 줄이기 시작하고 기준금리를 올리기 전까지는 조정이 기회가 될 가능성이 더 크다. 실적이 좋고 성장성이 유지되는 기업의 주가는 충분히 오를 시간적 여유가 있다. 큰 리스크를 감내하고 한 번에 큰 수익을 내는 것보다 위험을 관리하고 꾸준히 수익을 유지하는 것이 진짜 능력이다. 꾸준한 수익 유지를 위패 필요한 것은 첫째, 리스크 관리. 둘째, 포트폴리오 관리. 셋째, 멘탈 관리. 넷째, 감각 관리 




월급을 받아 저축을 하여 돈을 불리던 시대는 아마 다시 오지 않을 듯 하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무조건 돈을 안 쓰고 아끼면 될까? 그렇게 살 수도 없고 산다고 하더라도 과연 돈을 벌 수 있을까? 워렌버핏은 돈이 일을 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하며 존 리 대표이사는 은퇴 후 일을 하지 않고 살 수 있도록 미리 준비를 해야 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무조건 주식 투자를 해야 할까? 한다면 주식 투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


 


모든 이들이 돈을 벌려고 하지만 모두 다 돈을 벌 수 없다. 자신에게 지금 무분별한 지출이 있는 지 파악하고 자신의 수입을 늘리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저축만이 능사였던 시대는 이미 지났다. 한국에서는 여전히 부동산 광풍이 불고 있지만 이 바람이 언제까지 지속 될 지는 아무도 모른다. 또한 주식 열풍도 현재 거세지만 커다란 파도에 의연하고 담대하게 수익을 낼 수 있는 이는 극히 드물다는 사실은 자명하다. 이 책은 변화무쌍한 시장경제의 한 복판에서 피식자의 삶이 아닌 포식자가 되어 승리 할 수 있도록 돕는 책인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