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곁에서 내 삶을 받쳐 주는 것들 - 고전에서 찾은 나만의 행복 정원
장재형 지음 / 미디어숲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고전에서 찾은 나만의 행복 정원

 




이 책은 28편의 고전 문학 속 주인공과 함께 떠나는 인생의 의미와 행복을 위한 여정을 담고 있다. '내 삶을 지탱하는 것들에는 무엇이 있는가?', '사는 동안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어떻게 사랑해야 하는가?' '무엇을 꿈꾸고 욕망해야 하는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왜 살아야 하는가?', '죽음이란 어떤 의미인가?' '어떻게 해야 행복할 수 있는가?‘ 와 같은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저자는 고전을 읽기 시작했다. 살아가면서 누구나 꿈, 희망, 욕망, 죽음, 자유, 자아 등에 대한 고민을 한다. 




2017년 한 조사에서 성인 중 1년에 책 한 권 읽지 않는 사람의 비율이 40%를 넘었다. 또한 책을 읽은 60%의 사람들도 1년에 8권을 읽는다고 하니 점차 책을 읽는 이들이 줄고 있는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즉, 사람들은 점점 책을 멀리하고 다른 매체에 관심을 쏟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속에서 수 십에서 수 백년전 씌여진 고전을 왜 읽어야 할까?













고전의 주인공을 통해 우리는 삶을 투영해 해답을 찾을 수 있다. 많은 이들이 읽었고 또한 후세에도 읽어질 고전은 읽기 어려운 부분이 존재하고 현실과는 동 떨어진 시대적 배경으로 가독성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고전을 통해 인문학적 답을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주인공이 했던 생각, 행동, 말 등이 현재의 나에게 대입시켜 답을 찾을 수 있다. 책에는 각각의 고전에 대한 간략한 줄거리와 저자가 궁금했던 부분이 어떻게 해소 되었는지 알려준다. 또한 책에 등장한 28편의 책 목록을 보면 읽어본 책도 있고 낯선 책도 보인다. 천천히 시간을 두고 한권씩 저자와 같은 목적으로 고전을 접하는 것도 좋은 독서가 될 듯 하다.   

 











<책 속에 등장한 28편의 고전 목록>

-헤르만 헤세 『데미안』

-라이언 프랭크 바움 『오즈의 마법사』

-장 폴 사르트르 『말』

-서머싯 몸 『달과 6펜스』

-안토니오 스카르메타 『네루다의 우편배달부』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어린왕자』

-앙드레 지드 『좁은 문』

-프랑수아즈 사강 『브람스를 좋아하세요...』

-프랜시스 스콧 피츠제럴드 『위대한 개츠비』

-파울로 코엘료 『연금술사』

-앙드레 지드 『지상의 양식』

-니코스 카잔차키스 『그리스인 조르바』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파우스트』

-어니스트 헤밍웨이 『노인과 바다』

-생텍쥐페리 『인간의 대지』

-장 폴 사르트르 『구토』

-톨스토이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프란츠 카프카 『변신』

-빅터 프랭클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

-안네 프랑크 『안네의 일기』

-오 헨리 『마지막 잎새』

-톨스토이 『이반 일리치의 죽음』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

-사뮈엘 베케트 『고도를 기다리며』

-기 드 모파상 『여자의 일생』

-헤르만 헤세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레이먼트 카버 『대성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