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홉 살 돈 습관 사전 : 학습편 - 돈의 흐름을 이해하는 27가지 똑똑한 돈 이야기 ㅣ 아홉 살 돈 습관 사전
박정현 지음, 남현지 그림 / 다산에듀 / 2021년 7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돈의 흐름을 이해하는 27가지 똑똑한 돈 이야기
이 책은 초등 아이의 경제 교육을 위한 필독서이다. 너도나도 주식, 비트코인, 부동산 열풍이 일어나고 있다. 월급을 모아서 새 집으로 이사를 가는 것이 점점 불가능에 가까워지고 있다. 어른들도 아이들 앞에서 자꾸만 돈 이야기를 하고 아이들도 TV, 인터넷, 유튜브 등을 통한 매체를 통해 돈 이야기를 자꾸만 듣는다. 부자가 되고 싶은 아이에게 올바른 돈을 이해 시키고 다양한 경제 기본 지식을 알려줄 수 있는 책이 바로 <아홉 살 돈 습관 사전>이다. 이 책은 기본적인 시장과 가격, 돈과 금융까지 현직 초등학교 교사가 반 아이에게 설명하듯 친절하게 알려주고 있다.
회사를 다니는 아빠, 엄마들은 한 달에 한 번 '월급'을 받는다. 이 돈으로 대부분 가정은 생활을 한다. 이때 부모님이 벌어들인 돈을 '소득'이라고 한다. 직장에서 일하고 받는 돈은 '근로소득'이라고 한다. 식당, 가게 등 사업을 통해 버는 돈은 '사업소득'이다. 일을 하지 않고 버는 돈은 '불로소득'이라고 한다. 돈을 더 벌고 싶다고 아이가 말을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리나라는 만 15세 이상 청소년부터 일할 수 있도록 법으로 정해놓았다. 그렇기에 아이가 돈을 벌겠다고 하면 잘 알려주어야 한다. 많은 가정의 지출 1위는 식료품이다. 2위는 음식, 숙박이고 3위는 교통 4위는 보건 순으로 쓰인다. 각각 가정마다 지출은 다르지만 그 지출이 얼마나 비율을 차지 하는 지 아이에게 설명해주면 좋을 듯 하다.
최근 달걀 가격이 한 판에 만 원가까이 올랐다. 작년만 해도 한 판에 5천원 하던 계란이 왜 갑자기 이렇게 올랐을까? 조류독감이 퍼져 많은 닭들이 죽었고 그래서 달걀을 낳지 못하는 상황이 되었다. 달걀이 크게 부족해졌지만 사려는 사람은 여전히 그대로 많아 가격이 오른 것이다. 반대로 물건의 양이 늘어나면 가격은 내려 간다. 가격이 조금씩 움직이는 건 자연스러운 것이다. 다만, 갑작스럽게 변하면 많은 혼란과 어려움이 생긴다. 부모님을 비롯해서 많은 어른, 노인, 심지어 아이들까지 네모난 카드를 들고 슈퍼에 가든 미용실에 가든 혹 버스를 타거나 지하철을 탈 수 있다. 마치 만능 카드처럼 보인다. 그 카드는 바로 '신용카드'이다. 현금이 없이도 물건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주식회사는 무엇일까? 주식회사는 돈을 벌면 나누어 주겠다고 약속하고 사람들에게 돈을 모아 차린 회사를 말한다. 이때 약속한 증거를 '주식'이라고 한다. 주식을 가진 사람은 회사의 주인이 된다. 가지고 있는 주식만큰 큰 주인이 된다.
물질만능주의, 배금주의는 경계해야 하지만 돈을 터부시 할 수 없는 상황 속에 처해 있다. 물질이 많을수록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그렇기에 어린 시절부터 돈에 대한 명확한 개념을 아이에게 가르쳐 주고 싶다면 올바른 경제 교육을 시켜야 할 듯 하다. 그 첫걸음이 바로 <아홉 살 돈 습관 사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