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복순과 김참치 ㅣ 내친구 작은거인 64
홍종의 지음, 이예숙 그림 / 국민서관 / 2021년 6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매력 넘치는 섬, 보길도
이 책은 섬에 사는 아이를 통해 고정관념을 깨는 것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주인공 ‘고태이’ 는 보길도라는 섬에 살고 있다. 아이의 별명은 ‘전복순’이다. 다섯 살부터 생 전복을 한 입에 베어물고 그 맛을 정확히 판단 하기에 많은 어른들이 전복순이라고 불렀다. 전복순의 친구인 ‘이준서’는 ‘김참치’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그 아이는 주인공 전복순과 다른 여느 시내 아이와 같은 일상을 보내고 있다. 여러 학원을 다니고 숙제를 하고 쉬는 시간에는 핸드폰 게임을 하면서 시간을 보낸다.
전복순의 외할아버지가 집에 찾아오셨다. 이유는 섬에서 데리고 나가 평범한(?) 아이들의 삶을 살게 해주게 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엄마의 극렬한 반대에 못 이겨 이번에도 할아버지는 빈 손으로 뭍으로 나간다. 자꾸만 섬에 살고 있는 손녀의 미래를 걱정하는 아빠의 모습이 이해는 되지만 속상한 엄마는 눈물이 나온다.
이러는 와중에 전복 값이 폭락을 했다. 결국 전복 양식을 하는 사람들이 모여 '전복 소비 촉진 대회'를 하기로 하였다. 그 행사장에 따라간 ‘전복순’은 심심하기만 하다. 그러다 배가 고파 출출 하던 차에 직접 가지고 온 전복을 평소처럼 크게 한 입 베어물었다. 그 모습을 어느 한 멋쟁이 아줌마가 보곤 전복을 왜 이렇게 먹냐고 묻는다. 전복순은 '누가 전복을 썰어 먹어요?' 라고 당당하게 대답을 하는게 그 말을 ‘전복 소비 촉진 대회’ 문구로 활용하자는 아이디어가 나오고 그 모델로 실제 거주하며 맛나게 한 입 베어무는 ‘전복순’을 모델로 기용하자고 이야기가 모아졌다. 과연 전복순의 모델 데뷔 및 소비 촉진 행사는 잘 마무리 될 수 있을까?
주인공 전복순이 묘사한 전복 맛을 가만히 읽고 있으면 당장 전복을 먹고 싶은 충동이 일어난다. ‘먹이가 되는 다시마를 많이 먹고 자라면 살이 단단해지고 약간 아린 맛이 난다. 미역을 많이 먹으면 전복이 살이 찌고 단맛이 강해진다. 바닷물의 소금기가 세면 비린내가 좀 많이 난다. 바닷물 온도가 안 맞으면 전복 살이 미끄덩거린다.’ 섬에 살면 많은 부분 문명의 혜택을 받지 못할 수 있다. 그렇다고 그 아이가 불행하거나 불운한 미래를 살 것이라 단정하는 것은 엄청난 우를 범하는 것이다. 주인공 ‘전복순’의 모습과 전복을 업으로 삼는 섬에서 살지만 전복을 잘 먹지 않는 또 다른 친구 ‘김참치’의 모습을 통해 고정관념을 타파하는 것이 무엇인지 재미있게 설명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