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집 투자자들 - 25명의 투자 전문가가 밝히는 성공 투자 비법
조슈아 브라운.브라이언 포트노이 지음, 지여울 옮김 / 이너북 / 2021년 7월
평점 :
절판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25명의 투자 전문가가 밝히는 성공 투자 비법





이 책은 25명의 전문 투자자들이 자신의 포트폴리오(portfolio-주식투자에서 위험을 줄이고 투자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일환으로 여러 종목에 분산 투자하는 방법)를 공개한 내용을 담고 있다. 주식과 비트코인 광풍이 대한민국을 휩쓸고 있다. 책속에 등장하는 25명의 전문 투자자들은 과연 어떻게 자신의 자산을 투자하고 있을까?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이라는 단순한 명제만으로 이들은 엄청난 부를 창출 한 것일까? 우리가 모르는 비법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책을 통해 한번 알아보자. 



미국 전역에서 포트폴리오 매니저의 절반은 자신들이 관리하는 펀드에 자신의 돈은 단 1센트도 투자하지 않는다라고 한다. 이 통계 수치가 일종의 위선을 폭로하고 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그렇다면 어떻게 투자를 해야 하나? 책 속 한 명은 젊은 나이에 일찍부터 더 나은 생활 방식을 갈구하는 욕망에 선을 그었다는 것, 저축률은 상당히 높은 편이지만 절약을 하기 위해 억지로 무언가를 참아야 할 때는 별로 없었다고 이야기 한다. 욕망이 지나치게 커지지 않도록 선을 그었을 뿐이라고 한다. 



적극적으로 주식 종목을 선정하는 일을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그 일을 스스로 하든, 투자 관리 회사에서 돈을 맡기는 방식이든 상관 없다. 시장 평균 수익률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낼 수 있는 사람들이 실제로 존재 한다. 다만 그렇게 하기가 아주 어려울 뿐이다. 모든 투자자들은 자신의 목표에 성공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높은 전략을 선택해야만 한다.



또 한 명은 자신은 자산관리를 가능한 한 단순하게 유지한다는 목적을 이루기 위해 계좌가 몇 개 밖에 없다고 한다. 이렇게 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남편과 25년 넘도록 같은 직장에서 일을 했고 401(k)퇴직연금 계좌에 꾸준히 납입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한 사람은 집을 소유하고 있지만 이를 투자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인생에서 집은 우리가 살고 있는 장소이지 투자의 대상이 아니다. 만약 이사를 가야 한다면 다른 집을 마련하기 위해서 이 집의 가치와 똑같은 가치의 돈을 지출해야 할 가능성이 높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가진 자산에 대해서 생각할 때 집과 연관된 자산에 대해서는 거의 고려하지 않는다. 한국에서는 여전히 부동산 필패 신화가 존재하지만 미국의 상황은 한국과는 다르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적극적 투자와 수동적 투자를 섞는다. 뮤추얼펀드와 개인 투자와 상장지수 펀드를 혼합하여 공적 자산과 개인 자산을 적절히 배분한다. 모든 투자에서 한 가지 일관된 요소는 이 모든 투자는 장기 투자에 편중되어 있다. 당일 매매나 스윙 매매 같은 것은 하지 않는다. 보유하고 있는 개별 주식은 좋아하는 회사이거나 이용하는 회사의 주식이다. 훌륭한 재무 설계란 그 사람이 자신의 목적에 따라 살아갈 수 있드록 해주는 수단과 자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인간은 대부분 재능이 부족하기보다는 용기가 부족하다. 대다수의 경우 끈기가 부족하다. 재무 계획을 끝까지 고수하는 일은 뛰어난 재무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는 일보다 더 어렵다. 




대다수 투자자들은 의외로 보수적으로 투자를 하였고 빚을 내서 투자를 하는 사람도 절반도 되지 않았다. 빚을 내서 과도하게 투자하기 보다는 마음의 여유, 가족과의 시간, 심리적인 요소를 더 중요시 하는 것을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또한 이들은 어린 나이에 주식을 비롯한 각종 투자를 알게 되었고 이것이 복리로 굴러 가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책에는 여러 전문적인 용어들이 등장한다. 인덱스펀드(index fund - 주가지표의 변동과 동일한 투자성과의 실현을 목표로 구성된 포트폴리오), 529 학자금 계좌(미국의 각 주에서 운영하는 학자금 마련을 위한 금융 계좌로 이 계좌에 돈을 넣을 경우 일정 한도에 맞추어 소득공제 혜택이 있으며 나중에 학자금으로 지출하게 되면 세금 면제 혜택이 있다.)등과 같은 말이 나온다. 한국의 사정과 동일하게 볼 순 없지만 이른 나이에 자녀들의 미래와 노후를 생각하고 준비하는 것은 어쩌면 노인대란을 앞둔 한국에 시사하는 바가 있음을 알려 준다. 투자는 손실이 따를 수 있고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그렇기에 높은 수익률이 가능한 듯 하다. 25명의 투자자들의 투자 방법보다는 마음 가짐을 책을 통해 더 배울 수 있을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