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아 성교육 하자 - 건강한 성 관점을 가진 딸로 키우는 55가지 성교육법 성교육 하자
김민영 지음 / 라온북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건강한 성 관점을 가진 딸로 키우는 55가지 성교육법




이 책은 딸 아이를 어떻게 성교육 해야 하는 지 솔직하게 담고 있다. 작년 말 둘째 딸 아이가 태어났다. 그 순간 세상은 다르게 보이기 시작했다. 아들을 둔 부모와 딸을 둔 부모는 확실히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양육자들이 자녀 성교육을 망설이는 데 크게 세 가지 이유가 있다.첫 째, 모델이 없고 둘 째, 지식이 없고 마지막으로 교육이라는 부담이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자녀, 특히 딸에게 성교육을 시킬 수 있을까?






부모는 자녀를 교육보다 대화를 한다는 생각이 좋다. 그저 일상에서 마주치는 성에 대해서 이야기해주면 된다. 성 지식에 대한 교육이 아니라 일상에서 나눌 수 있는 여러 대화 주제 중 하나에 성을 집어넣고 평상시 자연스럽게 대화를 하면서 아이가 깨닫고 스스로 생각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좋다. 드라마, 영화, 뉴스를 보면서 연결지어 올바른 성 개념을 이야기해준다면 자연스럽게 성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정에서 아이들에게 몸의 명칭과 자신의 성적 기준을 세우고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양육자가 성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관을 심어주어야 아이는 평생 동안 성에 대한 지식과 생각, 느낌, 기준들을 자기 스스로 정리 하면서 필요한 순간에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다.





성교육은 나와 상대방을 이해하고 존중하기 위한 공부이다. 성교육은 인성 교육이고 관계 교육이다. 성교육을 통해 인간과 관계를 배우는 것이며 인간과 관계를 알기 위해서는 남녀의 차이에 집중하기보다 인간 모두에 대한 집중이 더 필요하다. 딸 성교육에서 신경 써야 하는 부분 중 하나는 아이가 스스로 자신을 사랑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키우는 것이다. 딸 성교육에서 엄마의 역할은 좋은 모델이 되어주는 것이다. 아빠가 딸에게 일상에서 해줘야 하는 성교육은 다름 아닌 존중이다.




‘너무 예뻐서 그런데 아빠가 한번 뽀뽀해도 돼?’라고 물어보는 것이 습관이 되어야 한다. 아이가 싫다고 하면 ‘진짜? 이제 뽀뽀 안 해줄 거야? 뽀뽀하면 치킨 사 줄게’식으로 농담을 하는 경우가 많다. 농담이라도 대가를 지불하고 스킨십을 한다는 것은 매우 위험한 발상이다. 아빠들이 조심해야 하는 것이 집에서의 옷차림과 행동이다. 집에서 너무 편하게 입고 샤워하고 나오면서도 팬티만 입거나 팬티도 안 입고 나오는 아빠들이 있다. 아이들이 안 보는 것 같아도 다 보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스킨십을 할 때는 꼭 아이에게 질문하고 대답을 들어야 한다. 어떤 대답이든 존중하고 인정하고 수용해주어야 한다. 일상에서 경계선을 함께 세울 수 있는 것은 집에서 옷 잘 입고 다니기, 샤워하고 옷 입고 돌아다니기, 서로의 방에 들어갈 때 노크하기, 잠자리 분리하기 등이 있다. 경계선을 세우고 존중하며 견고히 하는 일은 일상에서 지속적으로 온 가족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 자녀와의 성 대화에서 양육자가 필수로 갖춰야 할 것은 당연히 태도다. 다른 어떤 것보다 진지하게 들어주고 나무라거나 비난하지 않으며, 본인의 생각과 기준을 강요하지 않고 그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편안하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해주는 양육자의 태도가 가장 중요하다. 아이와 성에 대해 대화한다는 것은 신뢰가 있고 친밀하다는 뜻이다.



디지털 성범죄는 디지털 기기로 성적 가해행위를 하는 모든 것들을 지칭힌다. 디지털 성범죄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을 '몰카'라고 알고 있다. 하지만 정확한 명칭은 '불법 촬영'이다. 이 촬영물을 유포하는 것도 디지털 성범죄이며, 촬영이나 유포에 참여 하는 것, 불법촬영물을 시청하는 것도 당연히 범죄에 해당한다. 최근 개정된 법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성적인 질문을 하는 것도 범죄, 사전에 디지털 성폭력을 모의하는 것도 범죄라고 한다.





디지털 성범죄 예방을 위해 다섯 가지를 명심해야 한다.

첫째, 아이들이 애타게 원하는 인정, 칭찬, 관심, 공감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둘째, 아이들과 대화를 많이 하는 것이 좋다.

셋째, 현실 속에서 관계의 중요성을 느끼게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주기적으로 성교육을 시켜주는 것이 중요하다.

다섯째, 사회적인 흐름에 관심을 가지고 사회 변화를 위해 양육자가 노력해야 한다.






유아들이 자위를 하는 경우는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정서적 교감의 욕구가 큰 아이들이 그 욕구가 충분히 충족되지 않으면 자위를 할 수 있다.

둘째, 워낙 에너지가 강한 아이들은 에너지 표출이 잘 안 되면 자위를 할 수 있다.

셋째, 스트레스를 받거나 지루한 상황에서 자위로 해소하는 아이들도 있다.

넷째, 성폭력에 노출된 경우 아이가 자위를 할 수도 있다.







여성의 생식기는 가장 위쪽에 '음핵((陰核-clitoris)'이라는 가장 예민한 곳이 있다. 음핵 밑으로 조금 내려오면 '요도(尿道-urethra)'가 있다. 요도 밑으로 내려오면 '질(膣-vagina) 입구'라는 곳이 있다. 생식기는 매우 소중한 우리 몸 중에서 특별히 약한 곳이고 소외되기 쉬운 곳이니 계속해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관리해주어야 한다. 생식기는 여성의 건강 상태를 보여주는 통로이다. 생식기는 여성 몸에서 가장 깊숙한 곳에 있는 특별한 존재기에 더 관심을 가지고 사랑해주어야 한다.



<아이가 임신을 했다> 어떻게 해야 할까? 통계청에 따르면 2019년 만19세 이하 산모의 출산 아동은 11106명이라 한다. 일단 아이가 임신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가장 중요한 건 아이를 안심시키는 일이다. 아이가 어떤 상황이고 어떤 선택을 하든 옆에 늘 가족이 함께 있어줄 것이라는 믿음을 줄 수 있어야 한다. 그 다음 아이의 건강상태를 체크 해야 한다. 그리고 상황을 파악해야 한다. 아이 아빠는 누구인지, 알고 있는지, 어떻게 생각하는 지, 어떻게 해결하고자 하는지 등을 파악해야 한다.




<남자 친구가 자꾸 몸 사진을 보내달라고 한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이것은 엄연한 데이트 폭력이다. 남자 친구의 요구들이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내가 원하지 않는데 계속 요구하건 과하게 간섭하고 지적한다면 그것은 데이트 폭력의 시작이 될 수 있다. 만날 때마다 장난식으로 가슴을 만지거나 몸 사진을 요구하는 것은 데이트 폭력 중에서도 데이트 성폭력이라 할 수 있다. 데이트 폭력이라는 강연에서 자주 등장하는 장면이 바로 2004년 방영된 소지섭, 임수정 주연의 <미안하다, 사랑한다>이다. 주인공 소지섭은 달리는 오토바이에서 임수정에게 ‘나랑 밥먹을래 나랑사귈래 나랑 죽을래’라며 협박을 하는 장면이 나온다. 아주 멋지고 박력 있는 모습으로 보여지지만 실제로는 데이트 폭력이 분명하다. 남자들의 관점에서는 여성의 No를 No라고 인식하지 않아도 된다는 잘못된 인식이 있다. 




12세면 한국의 평균 초경 나이. 성교육은 2차 성징을 경험하기 전에 미리 안내해주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아들을 낳자마자 훗날 아이의 군입대를 생각에 먹먹했다는 어떤 엄마의 말이 군대를 다녀왔고 평생 남자로 살아온 나에겐 크게 공감이 되지 않았다. 그러나 딸을 낳자마자 험한(?) 세상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특히, 월경, 연애, 임신, 출산 등과 같은 것이 떠오르는 것을 보면 잘 준비하여서 딸에게 올바르 성 개념을 인식 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할 듯 하다. 나와 같은 막막함을 가진 부모에게 큰 도움을 주는 책인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