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플랫폼 경제와 공짜 점심 - 네트워크 경제 입문자를 위한 가장 친절한 안내서
강성호 지음 / 미디어숲 / 2021년 5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네트워크 경제 입문자를 위한 가장 친절한 안내서
이 책은 네트워크 경제에 첫 걸음을 내딛는 사람들을 위한 안내서이다.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기술이 등장한 이후의 네트워크를 다룬다. 네트워크 경제가 전통적 경제와는 어떻게 다른지, 네트워크가 만들어 낸 새로운 권력은 어떻게 작동하는지, 정보와 데이터가 우리 경제를 어떻게 바꾸어 나가는지에 대해 알려준다. 네트워크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만큼이나 길다. 네트워크는 우연한 만남, 혈연, 친구, 종교, 경제, 정치 등 다양한 계기로 형성된다. 목적에 따라 촘촘하게 연결되기도 하고 때로는 느슨하게 연결되기도 한다. 사람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생각, 기술, 자원, 인력을 교환했고, 그 교환과정에서 전염병과 잘못된 신념, 악습과 같은 해로운 것들이 뒤섞이기도 했다.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얽히고설키는 과정과 그에 대한 인간의 대응은 인류의 역사가 되었다.
‘문자’는 인류가 맞이한 첫 번째 ‘정보혁명’이었다. 문자는 사람들간 소통의 방식과 깊이를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문자를 통한 ‘기록’이 가능해져 정보의 축적과 확산도 가능해졌다. 문자가 낳은 첫 번째 정보혁명은 인류에게 문명이라는 선물을 선사했다. 두 번째 정보혁명은 15세기 유럽에서 일어났다. 요하네스 구텐베르크는 1450년 세계 최초 대량 ‘활판인쇄술’을 발명한다. ‘인쇄술’이 촉발한 두 번째 정보 혁명은 우리 인류 사회를 송두리째 바꾸어 놓았다. 인쇄술로 인해 소수에게만 독점되었던 정보가 대량생산, 대량소비 되는 시대를 맞이했다. 세 번째 정보혁명은 20세기 끝자락에 나타났다. ‘네트워크’기술이다.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이 네트워크 기술은 무서운 속도로 확장되며 지구 전체를 덮어 버렸다. 24시간 내내 네트워크에 연결 되어 있는 삶이 되었다.
플랫폼 경제가 흥미로운 이유는 전통적인 경제학 이론과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인터넷에서 공짜를 당연하게 여긴다. 네이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유튜브 같은 대표적인 공짜 서비스들이다. 카카오톡이 공짜로 카카오톡 서비스를 제공하여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기만 하면 광고주들은 저절로 몰려들기 마련이다. 가입자만 충분히 확보되면 플랫폼 반대편의 광고기업들은 기꺼이 값비싼 광고비를 부담하려 한다. 광고주들은 더 많은 가입자들을 원하기 때문이다. 카카오톡은 공짜 서비스로 많은 사용자를 확보한 후, 사용료는 반대편에 있는 광고주들에게 부담 시키는 구조다. 기업이 우리의 일상을 관찰하는 오늘날 자본주의 모습을 ‘감시자본주의(Surveillance Capitalism -하버드 경영대학원 쇼샤나 주보프(Shoshana Zuboff) 교수가 2019년 발표한 저서 《감시 자본주의의 시대》에서 처음 사용한 말)’라고도 일컫는다. 감시자본주의란 우리의 일상 행동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방식의 자본주의다. 구글과 카카오가 우리의 검색기록을 활용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감시자본주의의 전형이다. 플랫폼 기업의 현재와 미래를 이해하기 위한 이들이 읽으면 좋을 책인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