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만 모르는 인생을 바꾸는 대화법 - 말 잘하는 사람들의 여덟 가지 공통점
스쿤 지음, 박진희 옮김 / 미디어숲 / 2021년 5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말 잘하는 사람들의 여덟 가지 공통점
이 책은 말하기 법칙 8가지를 통해 말 잘하는 사람이 되도록 도와준다. 저자는 자신만의 말하기 법칙을 만들었다. 그것은 바로 말하기 법칙 8가지(LANGUAGE)이다. 8가지 법칙의 대문자를 조합하면 ‘말,언어,표현’이 된다. Logic(논리), Analogy(유추), Narrate a picture(장면 묘사), Good story(좋은 사례), Unexpected(예측 불가), Ask(질문), Gain(이득), Empathy(공감)을 중심으로 8장으로 구성된 책을 통해 말 잘하는 사람이 되어보자.
책 목록을 보면 횡설수설하지 않고 할 말 하는 법, 발표를 잘하는 법, 감동을 주는 이야기 3P 법칙, 이야기를 꾸미는 6단계, 내 말에 집중시키는 비결, 상대의 관심을 사로잡는 노하우 7가지, 가장 효과적인 4A 설득 비법, 상대를 설득할 때 4가지를 주의하라, 강력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3단계, 효과적으로 충고하는 법 등 제목만으로도 설레는 것들이 많이 보인다.
콜포비아(call phobia) 라는 신조어가 생겼다. 이 말의 뜻은 전화와 공포증의 합성어로, 전화통화를 기피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이젠 얼굴을 맞대고 대화를 하는 것을 뛰어 넘어 전화 통화하는 것 자체도 두려워하고 기피하는 현상이 뚜렷해진다. 배달 음식을 시킬 때 10대들은 전화를 한 적도 할 생각도 하지 않는다. 배달 어플이 편리하기도 하지만 전화로 주문을 하는 것이 낯설고 싫기 때문이다. 그 만큼 사회는 타인과의 교류대신 비대면이 익숙해지고 편리해지고 있는 듯 하다. 그렇지만 과연 대화를 하지 않고 살아갈 수 있을까? 대입, 회사 등 중요한 면접에서 말하기는 필수이다. 또한 중요한 거래처 및 꼭 필요한 만남도 피할 수 없다. 그럴 때 어떻게 말을 해야 할까? 책을 통해 알아보자.
논리적으로 말하는 법 5단계
➀ 말의 항로를 결정하면 뇌의 과부하를 줄일 수 있다.
➁ 짜임새 있는 말이 곧 논리적인 말이다.
➂ 말에 북마크를 달자.
➃ 말에 힘을 보내는 신비의 숫자 ‘3’
⑤ 말에 힘을 복돋는 ‘수미상관법(首尾相關法-운문 문학에서 첫 번째 연이나 행을 마지막 연이나 행에 다시 반복하는 것)’
발표를 준비하는 6단계
1단계 : PPT를 보며 생각하는 것은 금물
2단계 : 제2의 머리 활용하기
3단계 : 지우고 정리하고 분류하기
4단계 : KFC 법칙(Key point, Fact, Conclusion)
5단계 : 말에 색깔 입히기
6단계 : 발표 연습
유추를 활용한 말하기 3단계
step1. 영감의 원천이 되는 비유 표현 수집하기
step2. 두 사물 간 공통점 찾는 연습하기
step3. 상대가 스스로 유추할 수 있게 유도하기
이야기를 꾸미는 6단계
1단계 : 인물 설정하기
2단계 : 배경 설정하기
3단계 : 시련 만들기
4단계 : 진퇴양난(進退兩難)
5단계 : 새로운 시작
6단계 : 교훈 전달
상대의 관심을 사로잡는 노하우 7가지
노하우 1.목소리에 변화 주기
노하우 2. 상대를 움직이게 하라
노하우 3.기존의 틀 부수기
노하우 4.A를 말하려면 B를 먼저 말하자
노하우 5. 웃음 포인트 갖추기
노하우 6.시한폭탄 던지기
가장 효과적인 4A 설득 비법
Attribute – 본질, 속성, 특성
Advantage – 이 속성과 상관있는 우세한 점(=강점/장점)
A specific benefit – 우세한 점이 가져다주는 이점과 이득
An example – 사실임을 증명할 수 있는 사례
말하기는 재능이라 할 수 있다. 타인의 마음을 움직이고 더욱더 완만한 인간관계가 완성되어 사회적 성공을 돕기 때문이다. 상황에 따라 해야 할 말과 하지 말아야 할 어휘를 선택해야 한다. 의미를 전달하는 데 있어 더 쉽게 전달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런 말재주는 타고난 것일까? 책을 통해 우리는 연습으로 가능하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말하는 능력은 인간관계의 성패를 좌우한다. 말에 강한 호소력을 지닌 사람은 각종 사교 장소에서 호감을 높인다. 우호적인 어감으로 친근감을 주며 상대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폭넓은 대인관계를 형성하며 원하는 일도 순조롭게 잘 풀어간다. 신뢰를 주는 말로 사람들의 마음을 얻을 수 있다. 상대의 부탁을 거절하는 것도 일종의 말하기 방법이다. 상대의 부탁 이유를 거절 사유로 전환 하기, 다음 기회를 약속하며 거절 하기, 상대의 감정을 읽어주기, 화제를 돌려 거절 하기, 동문서답하기 등을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다. 상대의 부탁을 거절할 때 가능한 우호적인 방식으로 표현하고 품격을 잃어서는 안 된다. 어떤 방법으로도 도와줄 수 다면 도움을 청하는 사람의 어려움을 충분히 이해와 동정을 표해야 옳다. 도와주기 어려운 원인을 솔직하게 설명하고 다른 곳에서 도움을 구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주면 좋다. 대화에도 기술이 필요하다. 누군가와 이야기를 나누는 것은 일상생활에서 피할 수 없다. 관계 맺음 속 대화는 더 중요하다. 단순히 말하기가 아닌 소통의 발단이 되는 대화법을 익혀야 한다. 사회생활의 대부분은 설득 과정의 연속이다. 설득하는 언어의 예술을 익히는 것은 필수 덕목이다. 과장이나 강압적 말하기는 설득이 아니다. 상대의 마음을 움직여 자기 의견에 공감하게 하고 동의하게 만드는 일이 진정한 설득이다. 적절한 방법과 부지런한 훈련을 통해 설득의 예술을 장악할 수 있다. 사회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대화법을 배우고 싶어 하는 이들이 읽으면 좋을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