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 개정판
김훈 지음 / 푸른숲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보리’가 본 인간 세상




이 책은 진돗개 ‘보리’를 통해 인간 세상을 본 소설이다. 2005년에 소설 「개」의 2021년 개정판이다. 저자는 서문을 통해 이야기의 뼈대는 유지하면서 내용의 상당 부분을 손보았다고 한다. 책을 다 읽고 나니 더 거칠고 투박한 2005년 판도 보고 싶어졌다. 댐 건설로 수몰이 될 예정인 마을에 살고 있는 진돗개 ‘보리’가 주인공이다. 보리는 어미로부터 태어난 다섯 마리 진돗개 중 하나이다. 보리밥을 좋아하기에 주인 할머니는 모두 이름을 다 보리라고 지어준다.


하지만 태어나면서 몸이 빈약했던 첫 째는 결국 죽음을 맞이하고 어미는 자식을 다시 뱃 속에 품는다. 이것을 본 주인 할머니는 자기 새끼를 잡아 먹는다고 어미 개를 모질게 때린다. 그 매를 어미는 묵묵히 견뎌 낸다. 결국 보리는 주인 할머니의 둘째 아들네 집으로 강제 이사를 가게 되고 그곳에서 새로운 삶을 살게 된다. 


바닷가 마을에 정착한 보리는 둘째 아들인 새로운 아저씨네 가족과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초등학교 오학년인 영희, 이제 막 두돌이 된 영수와 같이 생활한다. 영희가 학교에 갈 때면 같이 따라 가고 아저씨가 밀물과 썰밀을 이용해 바다를 나갈 때면 아줌마와 같이 아저씨를 배웅하기도 한다.


이러한 보리의 시선으로 인간의 희노애락을 그리고 있다. 삶과 죽음, 만남과 헤어짐 등 다양한 인생의 순간들을 진돗개 보리를 통해 되돌아 보게 한다. 김훈 소설의 특징 중 하나는 술술 너무 잘 읽힌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너무 잘 읽히면서 중간중간 소름이 돋을 정도의 묘사가 있다는 것을 깨닫곤 한다. 



‘개의 공부는 매우 복잡하다. 개는 우선 세상의 온갖 구석구석을 몸뚱이로 부딪히고 뒹굴면서 그 느낌을 자기 것으로 삼아야 한다. 그리고 눈, 코, 귀, 입, 혀, 수염, 발바닥, 주둥이, 꼬리, 머리통을 쉴 새 없이 굴리고 돌려가면서 냄새 맡고 보고 듣고 노리고 물고 뜯고 씹고 핥고 빨고 헤치고 덮치고 쑤시고 뒹굴고 구르고 달리고 쫓고 쫓기고 엎어지고 일어나면서 이 세상을 몸으로 받아내는 방법을 익힌다. (28~29p)’ 이러한 묘사를 읽으면 미소가 뜨지만 한편으론 어떻게 이렇게 묘사할 수 있는지 놀랍기만 하다. 한국 소설의 맛을 정말 맛보기 좋은 소설인 듯 하다. 보리는 결국 어미 개의 죽음, 둘째 아들의 죽음, 좋아하던 흰순이의 죽음등을 맛본다. 자신의 끝이 곧 오고 있지만 묵묵히 주인 할머니의 곁을 지킨다. 진돗개 ‘보리’가 들려주고 보는 인생을 통해 다시금 우리의 인생을 되돌아 보게 해주는 소설인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