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대한 가족의 고향 - 2020 칼데콧 아너상 수상작 ㅣ 꿈터 지식지혜 시리즈 69
켈리 스탈링 라이언스 지음, 다니엘 민터 그림, 김선희 옮김 / 꿈터 / 2021년 1월
평점 :





2020 칼데콧 아너상 수상작
이 책은 수많은 인종 차별을 겪으면서도 꿋꿋하게 살았던 아프라카계 미국인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주인공 '릴 알란'은 오늘 시골 할머니 집으로 가는 날이다. 할머니를 만나고 사촌들과 놀 생각에 웃음이 난다. 과연 어떤 가족 행사를 하려는 것일까? 릴 알란은 어떤 감정을 느끼고 돌아오게 될까?
릴 알란은 자려고 했지만 자신도 모르게 웃음이 나온다. 곧 할머니를 만나 사촌들과 놀기 때문이다. 하지만 가족 행사에 선물을 준비하지 못해 이내 웃음이 사라져버렸다.
오랜 시간 달려 도착한 할머니 집은 너무 좋았다. 많은 친척들과 함께 이야기를 하고 가족 행사를 준비했다. 릴 알란 아빠가 이야기를 시작했다. 아프리카에서 붙잡혀 사슬에 묶은 채 배를 타고 이 땅에 왔다. 하지만 누구도 우리의 꿈을 가둘 수는 없었다. 노예 생활을 하면서 이 땅에서 우리는 꿈을 꾸었다. 길이 없는 곳에 길을 내며 이 땅에서 꿈을 꾸었다. 흑인 차별 정책 '짐 크로 법'을 없애려 싸웠다. 75년 전 한 농부와 교사가 이 땅을 샀다.
가족, 친척 많은 사람들이 고향으로 몰려왔다. 제이 삼촌이 아빠 머리를 닮았다고 놀린다. 누가 봐도 동일한 핏줄임을 동화에서는 흑백인 피부와 머리 모양으로 묘사하고 있다.
책에는 특별한 내용을 언급하지 않는다. 지난 과거에 있었던 일을 기억하는 장소에서 가족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잊지 않으려 노력한다. ‘피는 물보다 진하다’라는 말이 있다. 이 속담은 “Blood is thicker than water.”와 같이 영어권에도 보이고 일본어권에도 있다. 아무래도 혈통은 속일 수 없어, 남보다도 집안 간의 연결은 강하다는 것을 인식하는 듯 하다. 노예 제도는 폐지 되었다. 하지만 여전한 차별은 존재 한다. 계급 제도는 페지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신분의 차이는 존재 한다.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겪었던 지난 세월의 아픔을 잊지 않고 당당히 현실에서 살아갈 수 있는 힘의 원천이 가족에게 있음을 보여준다. 그렇기에 할머니를 중심으로 손녀, 손자까지 모두 모여 하는 가족 행사가 더욱 뜻깊게 다가오는 듯 하다. 점점 의미를 잃어 가고 있는 한국의 설날과 추석의 의미가 아련하게 느껴지는 동화인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