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불 위험한 불 풀빛 지식 아이
샬로트 세델룬드 지음, 데이비드 헨슨 그림, 이계순 옮김 / 풀빛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우리 아이 소방 안전 교육



이 책은 불을 안전하게 다루는 방법을 알려준다. 우선, 불이란 무엇일까? 불은 물질이 빛과 열을 내면서 타는 것이다. 연소는 물질이 산소와 반응하여 빛과 열을 내는 현상을 말한다. 연소가 일어나려면 연료, 산소, 열이 필요하다. 이 세 가지가 모두 있어야 불이 일어난다. 불은 타는 온도에 따라 색깔이 다르다. 온도가 높은 불은 푸른 빛을 띠고 덜 높은 불은 노란 빛을 띤다.



화재의 가장 큰 원인은 생활 속 부주의이다. 뉴스에서 자주 나오는 ‘방화’는 누군가 일부러 불을 지른다는 뜻이다. 그렇담 불이 나면 어떻게 해야 할까? 어린이는 불이 나면 무조건 화재 현장에서 빨리 빠져나가 안전하게 대피해야 한다. 어른이라면 '불이야'라고 큰 소리로 외치고 비상벨을 눌러 화재 현장에 있는 사람들에게 화재 사실을 알려야 한다. 그리고 침착하게 119에 신고 해야 한다. 작은 불이라면 소화기를 통해 진화를 시도 할 수 있다. 






화재, 불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건 역시 119 소방대원, 소방차 일 듯 하다. 책 속에는 소방 구조대의 장비들이 상세하게 나와 있다. 그간 소방 구조대 차 안이 궁금했던 아이라면 누구나 좋아할 듯 하다. 




그 밖에 불을 끄는 방법, 불의역사, 불과 자연 등이 책 속에 있다. 이 책에서 유의 깊게 볼 부분은 바로 ‘화재 예방법’ 인 듯 하다. 휴대 전화나 태블릿 PC등을 침대나 의자, 소파 같은 곳에서 충전하지 않는 곳이 좋다. 모두가 잠든 밤에 충전하는 일도 피하는 거시 좋다. 백난로가 집에 있다면 가연성(可燃性)물질을 가까우에 두면 안 된다. 가스렌인지 주변은 늘 깨끗하게 유지 해야 한다. 커피 머신과 같은 전기 주방 기기는 사용할 땜나 콘센트를 연결 하는 것이 좋다. 


집에 화재경보기가 잘 작동하는 지 주기적으로 확인 하고 불말용 소화기 그리고 소방용 덮개를 구비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집에 '경량칸막이'가 있다면 그 부분에 물건을 적재 하면 안 된다. 여기서 '경란칸막이'란, 공동주택 주거자의 피난 수단 확보를 위하여 베란다, 발코니 등에 석고보드로 설치된 임시 가벽이다. 불은 쉽게 금방 나지만 그 불이 꺼지고 나서는 복구 하는데 수 년 혹은 평생이 걸릴 지 모른다. 재산 피해는 그렇다 치더라도 인명피해는 정말 상상도 할 수 없기에 불은 늘 조심하고 안전하게 다루도록 아이에게 이야기 해주기 좋은 책인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