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Z세대 부모를 위한 SNS 심리학 - 소셜 미디어는 아이들의 마음과 인간관계, 삶을 어떻게 바꾸는가
케이트 아이크혼 지음, 이종민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9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소셜 미디어는 아이들의 마음과 인간관계, 삶을 어떻게 바꾸는가
이 책은 Z세대(1990년대 중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걸쳐 태어난 젊은 세대)를 키우는 부모들이 알아야 하는 SNS의 중요성을 알려준다. 스마트폰이 세상에 나온 지 10년이 넘었다. 그로 인해 우리의 삶에 많은 변화를 일으켰다. 이제는 사진을 찍기 위해 카메라를 따로 구입하지 않는다. 노래를 듣기 위해 기기를 구입하지 않는다. 그 뿐 아니라 라디오, 네비게이션, 게임 등 수 많은 것이 스마트폰 하나로 하는 시대가 되었다.
어린 시절부터 스마트폰을 다루는 이들에게 SNS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SNS로 인한 아이들의 누리는 장점도 많지만 단점도 무시 못할 정도 이다. 책에서 강조하는 부분은 바로 ‘망각’이다. 사전적 의미로 망각(忘却)은 어떤 사실을 잊어버리는 것이다. 아이들은 유년 시절의 일상을 잊어 버릴 수 없게 되는 삶을 살고 있다.
언뜻 들으면 좋은 것처럼 여겨지지만 가만히 생각하면 모든 것이 기록되고 저장되는 삶은 희극이 아닌 비극이다. 잊고 싶은 과거, 지우고 싶은 일들,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자라는 것이 어린 시절, 청소년의 삶이라면 지금 아이들의 삶은 모조리 본인과 타인에 의해 기록되고 저장되고 있다. 또한 그것은 영원히 지워지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어린 시절 길을 걷다 한눈을 팔아 크게 넘어진 기억, 미취학 아동 때 바지에 볼일을 봐서 낭패를 겪었던 기억등 어떠한 사진, 영상도 남아 있지 않고 본인과 타인의 기억 속에만 있는 이러한 것들은 현재는 모두 다 저장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기에 디지털 시대의 진짜 위기는 유년기가 소멸 되는 것이 아니라 유년기가 절대 잊히지 않고 유령처럼 되살아나는 데 있다. 어린 시절이 인생의 전부가 아니라면, 성인기까지 간직하고 싶지 않은 모습은 ‘잊고, 잊혀야’ 성장할 수 있다. 이 책은 디지털 미디어 기술이 바로 이 과정을 방해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오늘날 사이버 폭력으로 알려진 행태가 맨 처음 등장한 사례는 스타워즈 키드(Star Wars Kid)라고 불린 한 소년의 영상이다. 이 영상은 유튜브 시작 2년 전인 2002년 캐나다에 사는 한 고등학생이 그저 재미 삼아 어설프게 스타워즈 시리즈의 등장인물을 흉내 내는 자기 모습을 영상으로 만들었다. 이 영상을 반 친구가 발견하여 인터넷에 올렸다. 그 영상은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에서도 상당한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전통적인 언론 매체들까지 그 영상을 보도하기 시작했다. 뜻하지 않게 세계 최초로 인터넷 밈(meme)이 된 학생의 충격을 실로 엄청났다. 그는 친구를 잃었고 학교에서 심하게 왕따를 당했으며 결국 학교를 중퇴하고 어린이 정신병동에 입원해야 했다.
지금의 10대 아이들은 스마트 폰, SNS의 중독이 된 것이 아닌 몸의 일부처럼 여긴다. 그렇기에 이들을 바라보는 부모의 시각이 바뀌어야 한다. 과도하게 사진을 찍고 동영상을 촬영하고 공유하고 서로 주고 받는 모습이 친밀감을 나타내는 것처럼 아이들에겐 느껴질지 모르지만 자칫 잘못하면 그것이 족쇄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책의 겉 표지는 마치 가볍게 읽어도 될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 다 읽고 나서 느낀 점은 논문을 한 편 본 듯하다. 최초의 기억 매체인 그림부터 사진 그리고 현재의 모습까지 역사적으로 알려주고 또한 SNS의 피해를 입은 아이들의 사례를 보여준다.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부정적인 면을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이제 곧 입학을 앞둔 자녀를 둔 부모로써 아이와 어떻게 스마트 기기를 비롯한 SNS를 대해야 할 지 많은 고민을 하게 만드는 책인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