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해파리입니다 철학하는 아이 17
베아트리스 퐁타넬 지음, 알렉상드라 위아르 그림, 김라헬 옮김, 이지유 해설 / 이마주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파리의 입장에서 세상을 바라본 이야기

이 책은 해파리의 입장에서 세상, 인간을 바라보고 있다. 여름철 해수욕장에 나타나는 해파리는 공포의 대상이자 혐오의 대상이 되어 버렸다. 모든 해파리가 독성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독성이 있는 것은 버섯처럼 색깔이 아름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해파리에 쏘이면 부풀어 오르기에 사람들은 피할 수 밖에 없다.

책은 해파리를 주인공으로 대두시킴으로써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해파리의 입장을 들어볼 수 있도록 구성 되어 있다. 이제 막 태어난 작은 해파리가 있다. 나울나울 헤엄치고 둥둥 떠다니고 방울방울 물보라를 일으키고 빙그르르 재주를 넘는다. 머리를 한껏 부풀렸다가 오므리면서 앞으로 나아간다. 해파리의 몸의 98%는 물이다. 해파리는 뇌도 심장도 없다. 때때로 해파리는 기다란 촉수를 뻗어 사람들에게 인사를 건넨다. 하지만 사람들은 해파리의 인사를 무척 싫어한다. 촉수는 불에 댄 듯한 상처를 남긴다. 사람들은 나를 피하고 내게서 도망친다. 한 소녀가 울음을 터뜨린다. 그만, 소녀의 손목에 팔찌 같은 상처를 남기고 말았다. 소녀의 아빠는 커다란 그물을 들고 나를 낚아 모래 위에 내동댕이친다. 과연 작은 해파리는 어떻게 될까? 해파리는 고의 없는 행동의 끝은 죽음일까?

뜨거운 태양 아래 익어 가고 있는 해파리를 향해 갈매기는 쪼아 대고 사람들은 자리를 피한다. 점차 몸은 말라 간다. 내가 인사를 해서 상처를 입은 소녀가 바닷속에 다시 놔둔다. 덕분에 살게 되었다. 시간이 흘러 우연히 죽을 뻔한 해변으로 다시 오게 되었다. 해파리는 누군가와 눈이 마주친다. 바로 어릴 때 자신이 쏜 촉수에 맞아 손목에 상처가 생긴 소녀이다. 소녀는 이제 숙녀가 되었다. 그 숙녀를 위해 해파리는 춤을 춘다. 이렇게 동화는 끝난다.

동화 중간에 작은 해파리가 껴안고 춤춘 것들은 야광해파리가 아닌 커다란 비닐봉지, 오렌지주스 병이다.라는 문구가 나온다. 다시금 해양, 자연 생태계를 생각하게 만든다. 또한 위험하다고 여겼던 해파리의 입장에서 본 이야기는 해파리는 사람을 공격하려는 마음이 전혀 없었고 해변으로 왔고 가까이 있던 사람에게 자신만의 인사를 건넨 것 뿐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자연과 공존하면서 살아가기란 여간 쉽지 않다. 하지만 이 책을 모든 살아 있는 생물은 존중 받아야 됨을 알게 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