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누구야, 누구? - 협동 ㅣ 네 생각은 어때? 하브루타 생각 동화
글빛마을 지음, 김세영 그림, 전성수 감수 / 브레멘플러스 / 2018년 3월
평점 :




하브루타 동화
이 책은 여느 동화 책과 똑같아 보이지만 실은 하브루타 교육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우선, 하브루타에 대해 알아보자.
하브루타(havruta)는 나이, 계급, 성별에 관계없이 두 명이 짝을 지어 서로 논쟁을 통해 진리를 찾는 것을 의미하는 유대인의 전통적 학습방법이다. 교사-학생간의 관계와 달리, 하브루타
학습에서는 각자가 분석하고 자신의 생각을 조직화하여 상대방에게 설명하며,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고 질문하면서, 때로는 전혀 새로운 관점을 발견하기도 한다. 유대인의 힘은 바로
하브루타 교육에 있다고 생각하여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교육 방법 중 하나이다.
유대인들은 공부법은 두 사람이 마주 앉아서 큰 소리로 몸을 흔들면서 끊임없이 토론과 논쟁을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또한 1901년부터 시작된 노벨상 수상자의 22%를 차지한 유대인은 전 세계 인구의 0.2%에 불과하기에 언제나
전 세계인의 주목을 끌었다. 그들이 다른 민족보다 우월한 IQ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 할지 모르겠지만 현실은 전세계에서 한국이 2위를 차지 했고 정작 유대인들은 높은 IQ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고로 후천적인 노력으로 그들은 엄청난 성과를 거둔 것이다.
동물 친구들이 꽃놀이터에서 즐겁게 놀고 있다. 그런데 날씨가 쌀쌀해지면서
꽃들이 하나 둘 지기 시작했다. 어느새 찬바람이 휘잉휘잉 불어왔다. 동물친구들은
인사를 하고 겨울잠을 자러 갔다. 따뜻한 봄바람이 아기 곰을 깨웠다.
아기 곰은 매일 놀던 꽃놀이터로 달려갔다. 꽃놀이터에는 부러진 나뭇가지와 나뭇잎들만 어지럽게
널려 있었다. 친구들이 오기 전에 꽃놀이터를 예쁘께 꾸며 놔야지 라는 생각에 아기 곰은 빗자루랑 쓰레받기를
가져와서 나무잎부터 치우기 위해 집으로 돌아갔다. 아기 곰은 빗자루와 쓰레받기를 들고 꽃놀이터에 돌아왔다. 그런데 그새 꽃놀이터는 깨끗해져 있었다. 누가 깨끗하게 했을까? 다른 친구들은 아직도 겨울 잠에서 깨어나지 않은 걸까?
삽을 가지러 집에 다녀온 사이 꽃놀이터의 땅이 벌써 다 일궈져 있었다. 아기
곰은 꽃씨를 심기 위해 집에 다녀온 사이 이번에는 땅에 꽃씨가 심겨져 있었다. 결국 물을 주기 위해
물통에 물을 담아 오자 또 누군가 물을 주었다. 결국 아기 곰은 나무 뒤에 몰래 숨어서 누가 했는지
지켜보기로 하자 동물 친구들이 제각각 하나씩 했던 것이다. 모두들 까르르 웃으면서 책은 마무리 된다.
책을 유심히 보면 나뭇잎 사이로 꼬리가 조금씩 보여줌으로써 책을 읽는 아이에게 다른 동물친구가 한발 앞서 왔다
갔다는 것을 알려준다. 아이는 추운 겨울이 지나 봄이 되면 깨는 동물친구들이 누가 있는지 또 그런 친구들이
있음으로 아기 곰이 느꼈을 감정에 대해 질문하고 대답을 들음으로써 하브루타 생각동화를 더 풍성히 즐길 수 있을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