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든 교인은 교회의 리더다 - 건강한 교회를 세우기 위한 제직 양육 교과서
김원태 지음 / 브니엘출판사 / 201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건강한 교회 세우기 위한 제직 양육 교과서
이 책은 건강한 교회를 위한 첫 걸음을 시작하는 이들이 읽으면 좋을 듯 하다.
현재 기독교인의 수는 점차 줄어 들어 통계마다 다르지만 많게는 천 만명 적게는 사백 만명으로 보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 속에서도 수평으로 수적 부흥이 아닌 새신자들이 몰려오고 있는 교회는 엄연히 존재한다.
과거에는 카리스마, 영적 능력을 가진 목회자로 인해 부흥을 했다면
현재는 셀 교회가 세계적으로 부흥하는 교회들의 표범이 되고 있다. 셀 교회 부흥 전략은 교인 전체를
리더로써 키우고 양육 시키는 것에 방점을 찍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영접하기 전 많은 사람들은 ‘교회’라는 단어를 들으면 건물을 떠올린다. 현재 매주 예배를 드리고 교회를
다니고 있는 사람들도 ‘교회’를 건물에 한정 지어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성경에서 말하는 교회는 건물이 아니다. 교회는
우리 개인을 말하고 우리가 모여서 예배 드리는 장소를 교회라고 지칭하는 것 뿐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예배를 드리는 교회가 건강해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모든 교인은 교회의 리더다>책을 통해 하나씩 배워 나가보자
우선, 교회는 친목단체가 아니다. 교회는
종교행위를 하는 곳이 아니다. 교회는 자선사업을 하는 곳도 아니다. 교회의
본질은 예수님의 보혈과 성령의 불이다. 이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많은 교인들이 자신의 예전의 뜨겁던 신앙을 고백을 한다. 청소년, 혹은 청년 때 이야기 한다. 하지만 믿음은 언제나 현재형이다. 믿음은 지속성이다. 현대 교인들의 최고의 질병은 영적 미지근함이라는
난치병이다. 매일 하나님을 만나고자 하는 갈망이 유지되어야 한다.
교회는 세상의 조직과 다르다 교회는 성령 충만한 사람이 리더가 되어야 한다. 만약
성령 충만하지 않은 자가 교회의 리더가 된다면 언제나 인간의 이성에만 갇혀서 교회의 모든 사역에 걸림돌이 될 것이다.
예수님을 믿어도 여전히 죄를 짓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예수님을 믿어도
못된 성격을 고치지 못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생명의 성령이 나를 지배할 때 모든 문제가 해결 가능해진다.
왜 교회의 교인수가 자꾸 줄어드는가? 예수를 믿는다고 말은 하지만
내 안의 내가 가득하고 생명력이 넘치는 성령님이 역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스도인이라고 하면서도 삶에
아무런 기쁨도 활력도 기적도 없이 염려만 가득한 사람들이 많다.
우리에게 기쁨이 넘치게 하고 소망이 넘치게 하는 것은 성령의 능력이다. 교회를
오래 다녀도 성령을 모르면 하나님과 친밀감을 누릴 수 없다. 교회를 다닌다고 하지만 세상 충만, 욕심 충만하면 무능한 그리스도인이 된다. 그러나 내 욕심, 내 고집을 버리고 순간순간 성령으로 내 마음을 채우면 성령께서 지혜를 주시고 능력을 주신다.
교회와 가정은 아주 흡사하게 닮았다. 왜냐하면 둘 다 하나님께서 직접
만드신 기관이기 때문이다. 가정은 육체적인 가족의 모임이고, 교회는
영적인 가족의 모임이다.
현대인은 옳은 일에 목숨을 건다. 그러나 옳은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존경과 사랑이다. 사랑 없이 진실만 강조하면 수많은 사람들을 다치게 할 수도 있다. 사실보다 더 중요한 것은 상대방을 향한 사랑이다. 내가 남들에게
존중받기를 원하면서 남은 존중하지 않는다.
노아의 홍수 이후 인류의 첫 번째 죄악은 ‘존중’을 버린 일이었다. 하나님은 내 인생이 망하길 원하지 않으신다. 지금 이해가 되지 않아도 순종의 삶을 살면 하나님은 반드시 놀라운 축복을 부어주실 것이다. 순종은 부유함을, 기적을, 아름다운
인생을 살게 해준다.
교회에 다니는 사람들은 누구나 종으로 사는 게 큰 사람이 되는 것임을 수없이 많은 설교를 통해 들었고 인정하지만
실제로 종으로 사는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십일조는 돈의 문제가 아니라 믿음의 문제이다. 하나님의 살아계심을
믿지 않는 자는 결코 십일조를 할 수 없다. 십일조는 마음을 바치는 온전한 예배이다. 십일조는 신앙의 가장 기본이다. 하나님께 온전한 십일조를 드리는
자에게 하나님은 축복을 약속하셨다. 하나님은 온전한 십일조를 하는 자에게는 하늘 문을 열고 복을 쌓을
곳이 없도록 부어주겠다고 약속하셨다.
우리 신앙 생활에도 솔트라인(salt line-바다와 강물 사이에
그 경계선)이 있다. 우리는 세상과 영원을 동시에 살고 있다. 믿음이 커지면 세상의 욕심을 밀어내고, 믿음이 작아지면 세상의 욕심이
밀려온다. 인생을 살면 살수록 믿음이 커져서 신앙의 솔트 라인, 즉
영원한 땅을 향한 비전, 복음전도의 비전이 더욱 커져야 한다. 이것이
우리의 열정이 되어야 한다.
많은 기독교인이 건강한 교회를 찾아 이리저리 헤매고 다닌다. 심지어
몇 년 전부터 ‘가나안’교인이라는 신조어도 생겨났다. 이러한 현상의 주 원인은 대형 교회와 몇몇 목회자들의 타락이라고 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교인들이 교회의 리더라는
생각을 하지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훌륭한 목회자를 통해 좋은 교회, 건강한 교회를 만들 수는 있지만
그것을 개인의 노력만으론 지속 할 수 있다. 교인들 개개인이 교회의 리더라는 생각으로 교회를 사랑하고
아끼며 자신의 잘못된 부분을 고치며 성경에서 원하고 바라는 모습으로 변해 가는 과정 가운데 이뤄질 것 이다.
모나고 상처 있고 버림 받은 이들이 모인 곳이 바로 교회이기에 언제나 시끄럽고 소란스럽고 분쟁이 있을 수 밖에
없다. 그렇기에 성령님께 민감하게 반응하고 성경에서 말하는 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