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소심해요 ㅣ 철학하는 아이 12
엘로디 페로탱 지음, 박정연 옮김, 이정화 해설 / 이마주 / 2019년 1월
평점 :



있는 모습 그대로
이 책은 내향적인 기질을 가진 아이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주인공은
소심한 기질을 타고 내어났다. 하지만 이러한 자신의 기질에 대해 못마땅해 한다. 세상에는 말을 하는 사람도 필요하지만 남의 말을 귀 기울이는 사람도 있어야 하는 식으로 합리화를 해보기도 한다. 그러나 여전히 다른 사람들의 시선이 두렵고 우습게 보일까 봐, 눈에
뜨일까 봐, 남들과 달라서 따돌림 받을까 봐 걱정이 많다.
결국, 자신의 소심함을 극복하기로 결심을 하고 노래도 불러보고 타인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하기도 하지만 결국은 포기 하고 만다. 그러던 중 누군가 사람들인 모습 네 자체를 사랑한다는
말을 듣고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 들이고 살기로 결심을 한다.
~답게 라는 말을 자주 한다. 남자답게, 여자답게, 아이답게, 학생답게, 청년답게, 어른답게 이러한 기준들을 정해놓고 조금이라도 어긋나면
가차없이 변화를 강요하는 모습을 종종 본다. 어린 아이가 낯선 어른 앞에서 몸을 배배 꼬기 시작하면
으레 ‘부끄럼 타는 구나’라고 말을 한다.
여기까진 좋지만 한발 더 나아가 남자 아이에게는 사내 대장부 운운 하면서 행동 거지를 바꾸려고 하는 사람이 많다. 또 반대로 여자 아이가 잘 뛰어 다니고 크게 웃으면 조신하지 못하다는 말을 한다.
개성을 중시하고 성향과 기질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자신도 모르게 암묵적인 사회적 틀 안에 아이들을
가두려는 것은 아닌지 반문하게 만든다. 기질은 극복하는 것이 아니다.
타고 나는 것이다. 그것을 키우고 극대화를 해야만 한다.
소심하다는 말은 다른 표현으로는 섬세하고 배려심이 강하고 인내심이 높다고 평가 할 수 있다.
외향적인 것이 결코 내향적인 것 보다 우월하지 않다. 겉으로 좋아
보인다고 그것이 결코 좋은 것은 아니듯 성격, 성향, 기질에도
높고 낮음이 없음을 인식하고 아이의 기질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주고 아이가 자신의 기질을 일부러 바꾸려고 노력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인식 시켜
주는 것이 중요할 듯 하다.
내향적인 기질로 인해 힘들어 하는 아이가 읽으면 좋을 동화 인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