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염 없는 고양이 즐거운 동화 여행 79
김현정 지음, 이소영 그림 / 가문비(어린이가문비)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구를 지켜라

 

이 책은 환경오염으로 고통 받는 동물들의 이야기이다. 4개의 단편으로 이뤄진 이 동화책은 환경오염 인한 생태계 파괴를 겪는 동물들의 입장을 대변하고 있다. 최근 태평양 한가운데 거대한 플라스틱 섬에 관한 뉴스와 비닐로 인해 죽어가는 고래와 바다거북이의 모습은 전세계인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그간 산업 발전이라는 이름하에 저질러온 환경오염으로 인해 다시금 인간의 식탁은 물론 삶까지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수염 없는 고양이>

주인공 카얀은 다른 고양이처럼 사냥을 하는 것이 아닌 마음씨 착한 할머니가 주는 음식을 받아 먹으면서 살아간다. 이러한 주인공의 모습을 못마땅해하거나 걱정하는 친구들의 염려를 뒤로 한 채 카얀은 자신의 삶의 방식을 고수 한다. 어느 날 할머니 딸이 버린 검은색 음식물 쓰레기를 먹고 나서 카얀은 수염이 없어진 것을 발견하게 된다. 알고 보니 음식물 폐기물을 먹은 것이었다. 단순한 이 동화를 통해 아이는 음식물 쓰레기가 동물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게 되고 어른들또한 다시금 자신이 올바르게 음식물을 분류하는지 되돌아 보게 된다.

동화 마지막에 음식물 쓰레기의 올바른 활용법에 대해서도 나와 있다.

 

<어느 여름밤의 소동>

주인공 해랑이는 부모님이 결혼 10주년으로 여행을 떠나 일주일간 할머니 집에 머무르게 된다. 겨우 잠이 든 해랑이는 박쥐가 되어서 빛으로 인해 고통 받는 것이 무엇인지 알게 되고 모래 사장에서 깨어나 바다로 가야 하는 거북이들은 도로의 자동차들로 인해 목숨이 위태로워 지는 것을 직접 목격을 한다. 빛 공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해가 지고 나서도 오히려 더 밝은 빛으로 살아갈 수 있는 환경에 살아가고 있다. 이로 인해 많은 질병이 발생되고 면역력이 저하되는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인간의 편리를 위해 존재하는 가로등은 많은 생물들이 방향감각을 잃게 만들고 더 나아가 목숨까지 빼앗기게 하기도 한다. 낮에는 환하고 밤에는 컴컴해야 하는 자연의 순리를 거스른 댓가에 대해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다.

 

 

<위험한 놀이터>

갈매기 아라는 엄마가 말렸지만 끝내 갯바위로 놀러 간다. 그곳에서 사람들이 버린 살코기를 먹으면서 좋아하는 것도 잠시 낚시꾼들이 버리고 간 그물에 걸려 꼼짝달싹 못한 채 고통을 당한다. 다행히 인심 좋은 사람이 나타나 풀어주는 바람에 아라는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 낚시 예능프로가 생겨날 정도로 최근 낚시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하지만 아직도 몰지각한 낚시꾼들로 인해 강과 바다, 호수, 개곡 등 물고기가 존재하는 곳에는 쓰레기를 비롯해 위험천만한 낚시 용품들을 쉽게 볼 수 있다. 이것들은 결국 그곳에 존재하는 생물들에게는 커다란 위협이 될 수 밖에 없다.

  

<거미들은 어디로 사라졌을까?>

어느 날 솔숲에 거미들이 떠나 버렸다. 솔숲 동물들은 거미가 떠난 이유에 대해 이야기를 하면서 솔숲을 떠날 것인지 지킬 것인지 열띤 토론을 한다. 그러는 사이 갑자기 땅이 흔들리고 나무가 쓰러졌다. 그것은 산을 관통하는 터널 공사가 시작 되었기 때문이다. 나무가 넘어지면서 하늘다람쥐 아기들이 나무 밑에 깔렸다. 두더지가 땅을 파서 하늘다람쥐 새끼들을 구하려고 할 때 터널을 공사하는 사람들이 전기 톱을 가지고 떡갈나무 근처로 왔다. 이에 고슴도치, 왕거미, 하늘다람쥐가 덤벼들어 사람들을 쫓아낸 끝에 새끼들을 구출하고 결국은 다른 숲으로 모든 동물들은 거미들을 쫓아 떠나게 된다. 우리나라는 유독 많은 산들이 많이 있다. 그로 인해 도로를 내기 위해 산을 망가트리는 것을 당연하게 여겨오기도 했고 커다란 산 중간에 큰 터널을 뚫고 지나가기도 했다. 산과 산끼리 연결 되었던 산맥들이 끊어지고 도로로 막히자 수 많은 동물들은 도로를 지나치다로드킬을 당할 수 밖에 없었다. 숲은 공기를 깨끗하게 해주고 홍수와 가뭄을 막아주고 미세먼지를 정화해준다. 인간은 자연이 무한정하지 않음을 깨닫고 적절한 개발과 더불어 무분별한 환경오염과 자연파괴를 멀리 해야 할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