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주이야기 꽃이 피었습니다 - 잘 들어주는 것보다 더 좋은 교육은 없다!
이서현 지음 / 렛츠북 / 2018년 10월
평점 :
품절



마주이야기 교육법
이 책은 아이를
셋 둔 워킹맘 저자를 통해 아이들의 내면을 볼 수 있다. 아이가 태어나면 거의 모든 부모들이 찰나의
순간을 기억하고 추억하고 싶은 마음에 카메라로 연신 셔터를 누르고 동영상을 촬영한다.
그렇게 태어난 순간부터
뒤집고 서고 걷고 뛰고 말하는 모든 순간을 사진과 영상으로 기억할 수 있게 된 좋은 세상에 살고 있다. 언제든지
이전에 추억을 꺼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아이들이 그 상황에서 했던 말은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 일상을 살아가는 부모에게는 아이들의 일거수일투족을 알고 함께 생활한다고 생각하지만 막상
아이가 하는 작은 소리에 귀를 기울일 여유가 많지 않다.
아이를 위해 음식을
하고 청소를 하고 빨래를 하고 집안일과 여러 가지 활동을 하다 보면 잠시 눈을 마주면서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아이에게 좋은 책을 읽어주고 도움이 되는 활동을 하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지만 정작 이야기 꽃이 핀 적은 손에
꼽는다.
이 책은 다른 육아서, 자녀교육서와 다르게 무엇이 좋다, 무엇을 해라, 이것을 피해라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 다만 자신이 경험했던
일들을 적은 일기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기에 자녀를 키우는 같은 부모로써 많은 공감이 가기도 하고 때론 웃음이 나고 눈물이 나는 것 아마도 모든
부모가 비슷한 경험을 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아이들의 눈에는
부모가 전부일 수 밖에 없다. 그렇기에 아이들은 수 많은 질문을 부모에게 던진다. 알든 모르든 상관 없이 전지전능한 사람은 자녀 입장에선 부모 밖에 없다. 이러한
끊임없는 질문들은 아이가 커 가면서 점점 줄어들고 결국은 대화의 단절로 이어질 수 밖에 없는 현실 속에서 이러한 마주이야기 나눈 흔적을 기록으로
남긴다면 부모와 자녀에게 모두 즐거운 추억을 공유 할 수 있을 듯 하다.
책을 읽는 도중
몇몇 구절이 눈에 들어왔다.
‘아이들이 하는 말을 가만히 듣고 있다 보면 깜짝깜짝 놀란다. 내가 언젠가 했던 말을 그대로 따라 한다. 내가 하는 말뿐만 아니라
행동이나 말투까지 비슷하게 따라 하는 걸 보면 등골이 서늘해진다.’(56p)
‘집에 오자마자 한번 앉을 시간도 없이 움직인다. 아침에 못하고 간 설거지부터 시작. 설거지가 끝나면 널어놓은 빨래를
개고, 저녁을 준비한다. 저녁을 먹고 나면 아이들 옷을 갈아입히고, 씻기고, 조금 놀다가 책을 읽어준다.’(63p)
‘아이들은 엄마가 다 해주기보다 자기 스스로 해내고 싶어 한다는 것을, 그렇게 해냈을 때 더 좋아하고 기뻐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정말
도움이 필요할 때는 아이들이 먼저 나를 찾고 부른다. 그때만 옆에 있어주면 된다.’(98p)
아이에게 멋진 장난감을 사주기 위해 동분 서주 하고 좋은 경험을 시켜주기 위해 휴대폰으로 주말에 어디 나들이를
갈까 검색에 수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는 요즘, 아이의 눈을 보고 아이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는 시간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이 들게 하는 책인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