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를 꿈꾸는 도토리나무 도토리숲 평화책 5
오카도 다카코 지음, 마쓰나가 요시로 그림, 고향옥 옮김 / 도토리숲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의 히로시마 합천

이 책은 원자폭탄 피폭 피해자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동화책은 사실을 바탕으로 쓰여졌기에 더욱더 실감이 난다. 책의 주인공은 김순기이다. 일본 히로시마에서 태어나 일본이름을 가진 채 성장한다. 엄마가 가르쳐준 한글을 칠판에 썼다가 선생님에게 맞기도 했다. 어린 시절 친구와 같이 근처 신사에서 도토리를 줍고 놀았다.

몇 년 후 일본은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들과 전쟁을 하고 있었다. 그러던 1945 8 6일 원자폭탄이 떨어졌다. 그로 인해 히로시마에 살던 16만명이 목숨을 잃었고 그 중 남한&북한 사람들도 3만명이 숨졌다. 전쟁이 끝나고 한국은 일본에서 독립을 했고 한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힘들었지만 결혼도 하고 아이도 낳고 살고 있었는데 히로시마에서 고향으로 돌아온 사람들이 잇따라 죽어가는 모습을 지켜보았다. 불행의 기운은 날 벗어나지 않고 나도 점점 몸이 아파왔다. 원자폭탄 후유증을 치료 받기 위해 히로시마에 갔다. 치료를 마치고 집으로 가는 날 평화공원에 떨어진 도토리를 보고 그것을 가져와 합천에 심었다. 몇 년 후 도토리나무라 자랐고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을 듬뿍 받고 있다.

일본에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두 지역에 각각 한 개씩 원자폭탄이 떨어졌다. 인류가 처음으로 원자폭탄을 살상무기로 썼고 이로 인한 참상으로 다시는 원자폭탄을 살상 무기로 쓰지 않기로 국제적으로 협약을 맺었다. 히로시마는 42만명이 살던 도시였는데 16만명이 죽었다. 나가사키는 27만명이 살던 도시인데 7 4천명이 죽었다. 그리고 살아 남은 사람들도 열기, 핵폭풍, 열풍, 방사능 피폭등을 포함한 원폭 후유증으로 수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받고 있다.

일제 강점기 시절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는 징용과 징병으로 끌려간 우리나라 사람도 10만명 정도 살고 있었다. 원자폭탄 피해자의 약 10%에 해당하는 7만 명이 피해를 입었고 그 중 4만명이 목숨을 잃고, 살아 남은 3만 명 가운데 2 3천명이 우리나라 고향으로 돌아왔다. 특히 히로시마에는 경상남도 합천에서 온 사람이 많았고 그래서 합천을 한국의 히로시마라고 불린다.

원자폭탄은 과연 무엇이길래 이토록 많은 사람을 죽음과 고통으로 몰아 넣은 것일까? 원자폭탄은 우라늄이나 플루토늄의 원자핵 분열로 발생하는 큰 에너지를 전쟁용 폭탄으로 만든 것이다. 핵분열하는 물질에 따라 우라늄 폭탄과 플루토늄 폭탄이 있다. 원자폭탄은 아주 짧은 순간에 폭발이 일어나며 엄청난 에너지를 방출하여 섭씨 수백 만 도의 열이 발생하고, 큰 폭풍이 생겨 화재와 화상을 입고 건물이 파괴된다. 그리고 방사성물질이 내려 넓은 지역이 방사능으로 오염된다.

일본에 원자폭탄이 떨어지고 그것으로 종전을 맞이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 이면에 수 많은 대한민국 사람들이 그 피해로 죽고 고통 속에 살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제야 특별법이 제정이 되었지만 당사자들에게 속하였기에 제2, 3대까지 피해가 전해지는 만큼 법의 개성이 시급한 현실이다. 도토리를 통해 평화의 씨앗이 심겨지고 후손들이 그것을 보면서 기억이 될 수 있듯이 우리가 잊고 지내지 않도록 이러한 동화책이지만 꾸준히 많은 이들이 읽어야 할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