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평화를 꿈꾸는 도토리나무 ㅣ 도토리숲 평화책 5
오카도 다카코 지음, 마쓰나가 요시로 그림, 고향옥 옮김 / 도토리숲 / 2018년 6월
평점 :


한국의 히로시마 ‘합천’
이 책은 원자폭탄 피폭 피해자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동화책은
사실을 바탕으로 쓰여졌기에 더욱더 실감이 난다. 책의 주인공은 김순기이다. 일본 히로시마에서 태어나 일본이름을 가진 채 성장한다. 엄마가 가르쳐준
한글을 칠판에 썼다가 선생님에게 맞기도 했다. 어린 시절 친구와 같이 근처 신사에서 도토리를 줍고 놀았다.
몇 년 후 일본은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들과 전쟁을 하고 있었다. 그러던 1945년 8월 6일 원자폭탄이
떨어졌다. 그로 인해 히로시마에 살던 16만명이 목숨을 잃었고
그 중 남한&북한 사람들도 3만명이 숨졌다. 전쟁이 끝나고 한국은 일본에서 독립을 했고 한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힘들었지만 결혼도 하고 아이도 낳고 살고 있었는데 히로시마에서 고향으로 돌아온 사람들이 잇따라 죽어가는 모습을
지켜보았다. 불행의 기운은 날 벗어나지 않고 나도 점점 몸이 아파왔다.
원자폭탄 후유증을 치료 받기 위해 히로시마에 갔다. 치료를 마치고 집으로 가는 날 평화공원에
떨어진 도토리를 보고 그것을 가져와 합천에 심었다. 몇 년 후 도토리나무라 자랐고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을
듬뿍 받고 있다.
일본에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두 지역에 각각 한 개씩 원자폭탄이 떨어졌다. 인류가
처음으로 원자폭탄을 살상무기로 썼고 이로 인한 참상으로 다시는 원자폭탄을 살상 무기로 쓰지 않기로 국제적으로 협약을 맺었다. 히로시마는 42만명이 살던 도시였는데 16만명이 죽었다. 나가사키는 27만명이
살던 도시인데 7만 4천명이 죽었다. 그리고 살아 남은 사람들도 열기, 핵폭풍, 열풍, 방사능 피폭등을 포함한 원폭 후유증으로 수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받고 있다.
일제 강점기 시절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는 징용과 징병으로 끌려간 우리나라 사람도 10만명 정도 살고 있었다. 원자폭탄 피해자의 약 10%에 해당하는 7만 명이 피해를 입었고 그 중 4만명이 목숨을 잃고, 살아 남은
3만 명 가운데 2만 3천명이 우리나라 고향으로
돌아왔다. 특히 히로시마에는 경상남도 합천에서 온 사람이 많았고 그래서 합천을 ‘한국의 히로시마’라고 불린다.
원자폭탄은 과연 무엇이길래 이토록 많은 사람을 죽음과 고통으로 몰아 넣은 것일까? 원자폭탄은 우라늄이나 플루토늄의 원자핵 분열로 발생하는 큰 에너지를 전쟁용 폭탄으로 만든 것이다. 핵분열하는 물질에 따라 우라늄 폭탄과 플루토늄 폭탄이 있다. 원자폭탄은
아주 짧은 순간에 폭발이 일어나며 엄청난 에너지를 방출하여 섭씨 수백 만 도의 열이 발생하고, 큰 폭풍이
생겨 화재와 화상을 입고 건물이 파괴된다. 그리고 방사성물질이 내려 넓은 지역이 방사능으로 오염된다.
일본에 원자폭탄이 떨어지고 그것으로 종전을 맞이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 이면에 수 많은 대한민국 사람들이 그 피해로
죽고 고통 속에 살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제야 특별법이 제정이 되었지만 당사자들에게
속하였기에 제2대, 제3대까지
피해가 전해지는 만큼 법의 개성이 시급한 현실이다. 도토리를 통해 평화의 씨앗이 심겨지고 후손들이 그것을
보면서 기억이 될 수 있듯이 우리가 잊고 지내지 않도록 이러한 동화책이지만 꾸준히 많은 이들이 읽어야 할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