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좋아서 껴안았는데, 왜? - 2021 국가인권위원회 인권도서관 어린이인권도서 목록 추천, 2021 경기도학교도서관사서협의회 추천 ㅣ 바람그림책 40
이현혜 지음, 이효실 그림 / 천개의바람 / 2015년 11월
평점 :




경계선을 넘으면 그것은 사랑이 아니다.
이 책은 경계선의 의미와 중요성을 알려준다. 주인공인 준수는 자신이
좋아하는 여자 아이를 껴 앉는다. 하지만 여자 아이는 싫어하고 화를 낸다. 준수는 그런 태도에 당황하고 이해 할 수 없어진다.
국가들 사이의 경계선이 존재 하고 차도와 인도 사이의 경계선이 있다.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장난감 사이의 경계선이 존재 한다. 그리고 각자 몸에도 경계선이 있다. 세상 모든 것에는 경계선이 있다.
만약 이러한 경계선을 지키지 않으면 나라들 끼리 전쟁이 나거나, 차
사고가 나거나, 다른 사람과 싸우거나, 몸이 위험해 질 수
있다. 그렇기에 경계선을 함부로 넘으면 안 된다.
경계선을 넘을 땐 먼저 ‘똑똑’ 두드려
봐야 한다. 선생님 방에 들어갈 때처럼 똑똑! 화장실에 들어갈
때처럼 똑똑! 경계선을 넘어가도 되는지 먼저 물어보는 것이다.
경계선은 나와 다른 사람을 구분해 주는 선이다. 하지만 방심하면 쉽게
경계선을 넘어갈 수 있다.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어떻게 표현할 지 몰라 극단적으로 표출 될 때가 있다.
화가 났을 때 물건을 집어 던진다거나 우울할 때 소리를 지르기도 한다. 때론 좋아하는 감정을
어떻게 표현할 지 몰라 주인공 준수처럼 일단 무턱대고 껴안거나 뽀뽀를 하기도 한다.
어린 아이들의 이러한 행동에 대해 제대로 제재하고 알려주고 바로 잡지 않으면 아이는 잘못된 인식이 머릿속에 자리
잡을 수 있다. 요즘은 양성평등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 성폭력 예방 교육의 문제점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크게 소리 질러라’ ‘싫어요! 안
돼요!’라고 말해라 하지만 아동 성폭력은 상대방의 힘이 더 강할 때 일어나는 범죄 행위이기에 아동이
자기 몸을 스스로 보호하는 게 거의 불가능 하다. 더욱이 성폭력 상황에서 소리를 지르지 못하거나 싫다고
말하지 못한 아동에게 책임이 있다는 잘못된 메시지를 줄 수 있다. 성폭력은 무조건 가해자에게 책임이
있다.
아동 성폭력 교육은 피해 상황에서의 대처가 아니라, 성폭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 예방’이 중요하다. 일상생활에서 성폭력 예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가장 좋은 방법은
아동이 평소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솔직하게 표현하도록 훈련하는 것이다. 아동이
자기 표현을 잘할 수 있으려면, 가정, 유치원, 어린이집, 학교 등에서 대화 분위기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
편안한 분위기에서 평소 대화를 많이 하면 아동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금방 알 수 있고, 무슨 일이 발생 했을 때 아동 스스로 이야기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성폭력 사전 예방을 위한 '경계존중교육'이 필요하다. 경계(boundary)란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누구나 존중 받아야 하는 신체적, 물리적, 언어적, 정서적인 개인 영역을 의미한다.
일상생활에서의 경계존중교육의 법칙
1.자신의 경계를 존중 받고 상대방의 경계도 존중해야 한다.
2.상대방이 자신의 경계를 침범하려고 할 때는 '싫어요' '안 돼요'라고
말해도 괜찮다.
그리고
말을 하지 못했다고 자신의 잘못은 아니다.
3.자신이 스킨십 등 상대방의 경계를 침해해야 할 경우에는 반드시
동의(허락)을 구해야 하며,
상대방이 '싫어요' '안 돼요'라고 말하면 존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