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처럼 아름다운 수학 이야기 - 최신 개정증보판
김정희 지음 / 혜다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포자에서 수학자로


이 책은 산수가 아닌 수학이 필요한 시대에 걸맞은 이야기가 담겨져 있다. 수학이라는 용어는 학창시절에만 익숙하고 사회에 나오면 전혀 무관하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많이 있다. 특히 문과 출신이거나 인문계열 출신이 아닌 이들은 더 심하게 생각하는 듯하다. 수학[mathematics, 數學]이라는 뜻을 요약 하면 물건을 헤아리거나 측정하는 것에서 시작되는 수(數)•양(量)에 관한 학문이다. 다른 학문의 기초가 되기도 하며, 인류의 역사상 가장 오래 전부터 발달해 온 학문이다. 그렇기에 수학은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개개인과도 깊은 관계를 맺으면서 살아가고 있다.


삶의 모든 순간을 수학으로 증명 할 수는 없지만 이러한 노력이 있었기에 지금의 문명이 가능 했음을 인식해야 한다. 이 책의 저자는 소설가이지만 어느 날 아마추어 수학자가 되는 과정을 이야기 하면서 인류 역사에 길이 남을 수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쉽게 풀어서 설명하고 있다.


저자는 수학이 취미가 될 수 있다고 이야기를 한다. 흔히 취미라고 하면 영화보기, 음악감상, 낚시, 쇼핑 등을 생각하기 쉽지만 취미란 누가 시키지 않았는데도 밥 먹는 것조차 잊어버릴 정도로 몰입하게 되는 행위, 개인의 행복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건전하고 자발적인 유희를 말하기에 수학이 취미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많은 이들이 수학은 학교를 떠남과 동시에 벗어나야 할 감옥처럼 여겨지고 있다. 현재 중고등학생의 30%이상은 수포자(수학을 포기한 자)로 살아가고 있다. 이들은 수학을 포기함으로써 진로와 진학에 많은 애로사항이 있음에도 결코 수학을 정복하거나 극복하려고 하지 않는다. 이들이 느끼는 수학은 딱딱하고 어렵고 난해하며 학문으로써의 가치를 느끼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수학은 오랜 역사를 거쳐 오면서 많은 철학자와 수학자들이 일생을 바쳐 연구한 업적이고, 어떤 이는 자신의 목숨까지 내던지며 수학적 진실들을 밝혀내기도 했다. 수학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처럼 고정된 것이 아니라 생동감 있고 자유롭고 창조적인 학문이다. 


4차 산업 혁명이 대두된 요즘 가장 이슈가 되는 것은 창의력이고 그 창의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되는 것은 아이러니 하게도 수학이다. 수학 공부는 머리에 기름을 둘러주며 답답한 마음을 풀어 주기도 하고 지적인 사고의 바탕이 되는 논리력을 키워준다.


수학은 천재들만 하는 지루하고 한심한 학문이라는 고정관념 따위는 과감하게 버려야 한다. 수학은 음악이며, 문학이며, 놀이이며, 움직임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이려 노력해야만 한다. 


흔히 역사 속의 수학 천재들을 생각하면 머릿속에 계산기가 있어서 눈 깜짝할 사이에 엄청난 공식을 풀고 암산을 척척 해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암산 실력이 계산기 정도로 뛰어났던 사람은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 암산에 능한 것은 기계적인 기능이지, 수학적 깊이와는 무관하다. 간단히 분류하면 도형을 취급하는 것이 기하학이고, 수식을 취급하는 것이 대수학이다.


이 책 2장에는 역사 속 수학이야기 펼쳐진다. 여기에 수 많은 낯익은 이름들이 등장을 한다. 이들에 대해 공식을 배울 때 들어본 경험이 많거나 우화로 전해지는 이야기로만 알고 있던 이들의 삶과 업적에 대해 소설처럼 잘 묘사되어 있다. 

 

논증수학을 처음으로 체계화한 탈레스, 비밀 결사 단체 형식인 피타고라스(a^2+b^2=c^2), 무리수(√2)를 발견한 히파수스, 기하학의 성서를 집필한 유클리드, 동화적이자 만화적인 인물로써 유레카를 외쳤던 아르키메데스, 악마성이 다분한 천재이고 삼차방정식의 해법을 제시한 카르다노를 비롯한 케플러, 데카르트, 페르마와 파스칼, 뉴턴과 라이프니츠, 오일러 등이 쓰여 있다.


아마추어 수학자가 되려면 첫째는 감수성이다. 이 감수성을 키우기 위해서는 문화생활이 필수이다. 저자는 독서와 영화, 연극 감상을 추천한다. 또한 수학에 관심을 갖게 해주고 도움을 책들을 소개해줌을써 더욱더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책은 수학을 잊고 살아가고 있는 기성 세대들 뿐만 아니라 현재 수학을 포기한 학생들이 읽으면 좋을 책인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