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식객 27 - 팔도 냉면 여행기
허영만 글.그림 / 김영사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식객 시리즈! 식객은 우리 가족들이 너무 좋아해서 그 만화책들이 우리 집에 있다. 이번에 27권을 다시 한 번 봤다. 오랫동안 읽어온 식객의 대망의 완결권이기 때문에 그 결말이 당연히 재미도 있지만, 한편으론 아쉬움도 좀 남는다. 식객의 위상을 지키기 위해서는 더 이상 초라해질 수 없다며 지면 매체를 옮기지 않고 끝냈기 때문이다. 식객을 좋아하신 분이라면 이번에 세트로 싸게 사서 나처럼 집에 구비해두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하다.

식객의 묘미는 군침을 삼키며 직접 가서 먹어 보고 싶다는 생각이 절로 들게끔 만드는 점이 아닐까 싶다. 이 27권은 한 권 전체가 냉면 얘기다. 진주냉면, 승소냉면, 평양냉면, 함흥냉면, 밀면을 소개하며 맛깔나는 음식들에 대해 얘기한다. 읽으면서 ‘우리 아빠가 냉면을 무지 좋아하는데······’하는 생각이 들었다.

한 권 전체가 비슷한 주제인 것은 3권의 소고기 전쟁과 5권의 술의 나라 이후로는 처음인 것 같다. 이렇게 냉면에 대해서 잘 알다니··· 싶었다. 이런 치밀한 구성과 설명은 정말 음식에 대한 철저한 취재 없이는 나오기 힘들 것이다.

재미있는 에피소드들도 많다. 첫 에피소드부터 시작하는 음식에 대한 제 안목이 더 높다는 고집 센 두 사람의 재미난 싸움과, 우여곡절 끝에 진수와 성찬이 결혼에 골인하는 점 등은 빼놓을 수 없는 재미다.


올해의 책 후보 중에 유일하게 올라와 있는 만화가 바로 이 식객인 것 같은데(내가 착각을 했다면 죄송하다) 개인적인 바람이지만 내가 좋아하는 이 허영만 작가의 식객이 꼭 올해의 책으로 선정되어서, 한국 만화계에 오래도록 회자될 하나의 등불 같은 희망이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1세기 먼나라 이웃나라 13 : 중국 1 근대 편 - 청나라의 멸망과 중화민국의 수립 먼나라 이웃나라 13
이원복 지음, 그림떼 그림 / 김영사 / 201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요새 중국이 뜨거운 감자다. 최근의 중미전쟁이란 책도 그렇고, 이 책의 저자도 같은 시리즈에서 몇 번 언급했듯이 긴 잠에서 깨어난 중국이 연일 웅비하고 있다. 지치지도 않고······. 정말 무서운 속도다. 예전의 중국으로 생각하면 큰 코 다치는 세상이 벌써 도래해 있다. 바로 지금!


과거에 세상의 중심이었듯이, 21세기에 가장 주목받는 나라 중 하나인 중국. 몰락과, 새로 급부상해 떠오르고 있는 모습을 이 책은 심도 있게 파헤치려 하고 있다.


이 책을 사고 난 뒤 벌써 두 번이나 읽었고, 이전 먼나라 이웃나라 시리즈를 다시 읽게 되었다. 아마 교양 만화, 특히 역사 쪽에서는 가장 대단하고 유명한 시리즈가 이 책이 아닐까 싶다. 책 구분에서는 비록 어린이 분류에 속해있긴 하지만, 어른이 읽어도 하등 상관이 없다.


총 두 권으로 예정돼 있다는데, 다음 권인 중국 현대 편이 기대된다.


작가의 말을 보면 이번 중국 편을 끝으로 먼나라 이웃나라가 끝날 것 같은데(81년에 연재를 시작해서 30년 간 그려져 왔고 인생의 반 가까이를 이 책과 함께 해왔다니 정말 대단하다. 유아기 등을 제외하면 거의 인생의 대부분을 할애한 것이 아닌가) 더 기다릴 것 없이 바로 사는 게 더 나을 것 같다. 다음 권 나오면 사야지, 다음 권 나오면 사야지··· 하면서 계속 미루지 말고. 완결이 되면 더 이상 ‘다음 권’이란 없으니까······. 아예 시리즈 전체를 구입해서 집에 놔두면 어떨까? 만족감을 느낄 수 있지 않을까?


(먼나라 이웃나라에서는 중국의 과거 역사에 대해 깊게 파고 들어간다기보다, 지금과 관련이 있는 근대와 현대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룬다. 이 점을 참고하기 바란다. 중국에 대해서 알고 싶다면, 이 책과 함께 최근의 중국에 대해 서술한 여러 책을 봐두면 좋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허수아비춤
조정래 지음 / 문학의문학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대작가의 책을 내가 평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감히 말해본다.

이 책은 그다지 문학적이지 않다. 하지만 그 점이 오히려 이 책의 강점이다! ‘소설 작품’이라기보단 현실을 다룬 책이다. 그래서 여타의 다른 소설들만큼의 개연성은 있지 않다. 주인공도 없다. 그도 그럴 것이, 어떻게 현실에서 소설 속에 나오는 것처럼 자에 딱 맞춘 듯한 짜임새 있는 전개와 ‘주인공‘을 기대할 수가 있겠는가? 소설은 ‘상상’인데······.

비밀에 싸인 점도 많다. 속 시원하게 해결되지 않는 점 등은, 바로 현실에서 해결해야 할 일이기 때문에 남겨놓은 것이다. 굳이 말하자면 이 책은 계몽적이고, 선동적인 책이다. 대기업의 비리를 폭로하는 용감한 책이 바로 여기에 있다.

나는 책을 읽으면서 작가 조정래의 말을 직접 듣고 있다는 느낌까지 들었다. 물론 작가는 소설로 독자와 대화하지만, 좀 더 직접적으로 그것을 느낄 수가 있었다는 것이다.

작가는 소설가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회적 지식과 과학적 지식을 갖추고 있다.

조정래란 사람에 대해 알고 싶다면 이 책을 읽는 게 가장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은교
박범신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70세 노인이 17살 여고생을 사랑한다. 언뜻 패륜적이다라고 칭할 만한 사랑이지만, 늙은 괴테가 어린 울리케를 사랑했던 것처럼 굉장히 서정적인 사랑의 모습이 연상되기도 한다. 플라톤이 말했던 정신적인 사랑, 플라토닉 러브 같은. 물론 이 소설에서는 육체적인 욕망 또한 좌시하지 않는다(그렇다고 하여도 시인인 주인공의 경우, 손등을 보고 사랑을 느끼는 것처럼 굉장히 감정적인 것이 대부분이지만). 그러나 굉장히 은유적이고 아름답게 표현되어 있어서인지 대부분 야하다고 느껴지지가 않는다. 육체적인 접촉조차 정신적인 사랑의 행위로 여겨지는 듯하다. 사실 진정한 사랑이라면 그러 해야 하지 않을까?

이 이야기는 70세 시인 이적요, 17살 여고생 한은교, 그리고 38살 소설가(‘진짜 소설가’인지 아닌지는, 이 책을 보면 알게 될 것이다) 서지우의 일종의 삼각 관계 이야기다. 하지만 보통의 드라마에 나오는 것과 달리 은밀하고 고요하며 동시에 아주 격정적이다. 특히 초반에 알려지는 살인 이야기는 독자를 단박에 확 휘어잡고, 후반의 반전은 충격적이기까지 하다. 마지막에는 스스로 감동적이다라는 생각이 듦과 함께 만족스럽게 책장을 덮을 수 있을 것이다.

요 근래 안 좋은 일이 있었는데도 집중해서 읽을 수 있었던 대단한 작품이었다. 끝에 작가의 말에서 ‘내가 미쳤다. 이 소설을 불과 한 달 반 만에 썼다. 폭풍 같은 질주였다.’라고 나와 있는데, 이 말이 작가의 심정을 대표함과 함께 이 작품에 대한 열정을 말해주는 것이 아닌가 싶다.


은교는 작가 박범신의 블로그(http://blog.naver.com/wacho)에 ‘살인 당나귀’라는 제목으로 연재되었다. 네이버를 사용하시는 분들 중에 모르셨던 분, 그리고 알더라도 아직 하지 않으신 분들은 지금 당장 자신의 블로그에 이웃 추가를 해도 손해보는 점은 없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